전국 요양시설과 장애인시설의 연하장애 환자를 위한 식사 실태조사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of meal management and the use of thickening agents for dysphagia in long-term institutions and welfare centers in Korea. The online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comprised six question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16 on meal manage...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식품과학회지 Vol. 54; no. 1; pp. 35 - 42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과학회
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67-6293 2383-9635 |
Cover
Summary: |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of meal management and the use of thickening agents for dysphagia in long-term institutions and welfare centers in Korea. The online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comprised six question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16 on meal management, 10 on dietitians' knowledge, and 30 on dietitians' perceived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meal management for dysphagia. The complete data from 26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d frequent, "difficulties due to no specific guidance on managing dysphagia meal," "lack of caregive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dysphagia meal," "lack of opportunity and time for meal education/counseling," "difficulties with management due to dietitians' lack of experience and awareness of dysphagia," and "limited understanding of cooking staff in preparing dysphagia meal." Importantly, these five parts were categorized in the low-priority region in an IPA of the performance. 본 논문은 연하장애 환자를 위한 식사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국 요양시설과 장애인 시설의 영양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시설의 일반 현황, 영양사 일반 사항 및 지식수준, 연하장애 환자를 위한 식사 제공 실태와 점도증진제 사용 현황, NCP 직무 표준의 업무내용 수행수준으로 이루어졌으며, 온라인 링크를 통해 총 268개의 설문지가 응답되었다. 그동안 기존 선행연구들에서는 점도증진제의 사용에 관한 내용이 미흡하였고, 장애인 시설의 연하장애를 겪고 있는 입소자를 대상으로 한 식사에 대한 조사 또한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살펴본 영양사의 연하장애 환자를 위한 업무의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통하여 최우선 개선 영역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에 따라 연하장애 환자 영양관리에 있어 업무의 우선 순위와 필요한 지원을 파악하였다. Lee와 Lim(2020)에 따르면 요양병원의 연하장애 환자의 의료 비용은 타 의료기관에 비해 높게 측정되고 있으며 연하장애 환자 중 영양불량이 동반된 경우, 재원일수와 의료 비용이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연하장애 환자들의 예후와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연하장애 환자를 위한 식사 관리가 필요하며, 영양사 인력 확충과 연하장애 환자 관리에 필수적인 영양 교육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의료기관에서 연하장애 환자 영양관리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연하장애 환자의 영양관리 실태조사가 요양시설 및 장애인시설에 국한되어 있어, 추후 다양한 병원급에서 추가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210261441695 |
ISSN: | 0367-6293 2383-96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