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및 인공지능의 초지능 협력사회 실현을 위한 현대 인공지능 기술의 한계점 분석과 인문사회학적 통찰력에 대한 메타 연구

Due to the recent accident caused by the automated vehicle, discussions on the ethical aspects of AI have been actively underway. This paper confirms that AI is inevitably connected to ethical components through the concepts and techniques related to robots-AI, and argues that ethical aspects are bu...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 25; no. 8; pp. 1013 - 1018
Main Authors 황수림(Su-Rim Hwang), 오하영(Hayoung O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4-4772
2288-4165
DOI10.6109/jkiice.2021.25.8.101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Due to the recent accident caused by the automated vehicle, discussions on the ethical aspects of AI have been actively underway. This paper confirms that AI is inevitably connected to ethical components through the concepts and techniques related to robots-AI, and argues that ethical aspects are built-in, not post facto. Furthermore, this devises a solution to the trolley dilemma that can serve as a clue to ethical problems associated with automated vehicles. Preferentially, that process contains writing Bayesian networks. Next, only important and influential data are left after the pre-processing stage, and crowd-sourcing & extrapolation is used to calculate the exact figures of the networks. Through this process, this argues that humans' subjects are certainly included in implementing algorithms and models and discusses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engineering liberal arts, especially education of ethics that distinguished from major education to prevent distortions and biases abouts AI systems. 최근 자율주행 자동차가 일으킨 사고 때문에 인공지능의 윤리적 측면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인공지능이 윤리적 요소와 필연적으로 결부되어 있음을 로봇-인공지능 윤리 관련 개념과 공학기술로부터 확인하고 윤리적 측면이 사후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내장되어 있음을 논한다. 또한, 자율주행 자동차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의 실마리가 될 수 있는 트롤리 딜레마에 대한 해결방법을 고안한다. 우선적으로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작성하고 전처리 과정을 거쳐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데이터만 남도록 하며, 네트워크의 정확한 수치를 계산하기 위해 크라우드 소싱과 외삽법을 이용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알고리즘 및 모델을 구현할 때에 인간의 주관이 필연적으로 포함될 수밖에 없음을 주장하고 인공지능 시스템에 관한 왜곡과 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전공 교육과 구분되는 공학 교양 교육, 특히 윤리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해 논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125240410706
http://jkiice.org
ISSN:2234-4772
2288-4165
DOI:10.6109/jkiice.2021.25.8.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