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주박(Lagenaria leucantha var. gourda)에서 분리한 서브그룹 IB계통의 Cucumber mosaic virus

An isolate of Cucumber mosaic virus (CMV), called as Lag-CMV, was identified from Lagenaria leucantha var. gourda showing mosaic symptom, and its properties was compared to Fny-CMV (subgroup IA) and As-CMV (subgroup IB) by host reaction in several indicator plants, dsRNA analysis, RT-PCR analysis, r...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igmulbyeong yeon'gu Vol. 15; no. 3; pp. 254 - 258
Main Authors 오선미(Sun Mi Oh), 홍진성(Jin Sung Hong), 류기현(Ki Hyun Ryu), 이긍표(Gung Pyo Lee), 최장경(Jang Kyung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물병리학회 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262
2233-919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An isolate of Cucumber mosaic virus (CMV), called as Lag-CMV, was identified from Lagenaria leucantha var. gourda showing mosaic symptom, and its properties was compared to Fny-CMV (subgroup IA) and As-CMV (subgroup IB) by host reaction in several indicator plants, dsRNA analysis, RT-PCR analysis, restriction enzyme profile of the PCR products and nucleotide sequence of coat protein gene. Lag-CMV was similar to As-CMV used as a control CMV by the induced chlorotic spot on inoculated leaves and mosaic symptoms on upper leaves of N. tabacum. cv. Xanthi nc. In the cucumber and zucchini squash, Lag-CMV and As-CMV induced a mild mosaic symptoms than that of Fny-CMV. Size and shapes of local lesions on Chenophodium amaranticolor and Vigna unguiculata induced by Lag-CMV was similar those by Fny-CMV or As-CMV. In experiments of dsRNA profiles and RT-PCR analysis of coat protein gene, Lag-CMV was come within subgroup I CMV. Moreover, restriction enzyme analysis using EcoRI, SalI, MspI, XhoI, and HindIII of the RTPCR products and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he coat protein gene showed that Lag-CMV belong to a member of CMV subgroup IB of the same to As-CMV. 전형적인 모자이크 증상의 표주박(Lagenaria leucantha var. gourda)으로부터 CMV를 분리하고 Lag-CMV로 명명하였다. 표주박에서 분리한 Lag-CMV는 N. benthamiana에서 전신감염되어 전형적인 모자이크 증상을 나타내 대조로 공시한 CMV들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N. tabacum. cv. Xanthi nc에서 접종엽에 퇴록반점이 형성되는 점이 As-CMV와 유사하였으며, 접종엽에 무병징을 나타낸 Fny-CMV와 구분되었다. 또한 Fny-CMV에 감염된 오이와 쥬키니 호박은 매우 심한 모자이크 증상을 나타낸 반면, Lag-CMV와 As-CMV에 감염된 식물은 비교적 엷은 모자이크 병징이 발현되었다. 고추에서는 Fny-CMV와 As-CMV가 접종상엽에 모자이크 증상이 발현되으나, Lag-CMV는 무병징으로 감염되었다. Lag-CMV에 감염된 N. benthamiana로부터 추출한 dsRNA의 전기영동 패턴은 대조의 Fny-CMV나 As-CMV의 dsRNA와 종류 및 분자 크기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Lag-CMV에 감염된 N. benthamiana로부터 추출한 total RNA를 외피단백질 유전자와 IR 및 3' 비번역영역 일부를 포함하는 약 950 bp의 cDNA합성을 위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T-PCR을 실시한 결과 약 950 bp의 cDNA가 검출되었다. 이 cDNA를 제한효소 EcoRI, HindIII, MspI, SalI 및 XhoI으로 처리한 후 RFLP분석을 실시한 결과, Lag-CMV의 RFLP패턴은 As-CMV와 일치하였다. 한편 이 cDNA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염기서열의 유사도는 As-CMV와 99.1%, Fny-CMV와는 94.5%였으며, 외피단백질의 아미노산서열 유사도는 As-CMV는 100%, Fny-CMV와 97.3%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들로부터 표주박에서 분리한 Lag-CMV는 As-CMV와 같은 서브그룹 IB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0911764891636
G704-000936.2009.15.3.014
ISSN:1598-2262
2233-9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