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수돗물 관수에 따른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품질

Water shortage is becoming a serious problem of turfgrass management on sand green. Many superintendents in golf course in Korea have interested in use of irrigation of recycled water for turfgrass water manag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eywater as an irrigation sou...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Weed & turfgrass science Vol. 4; no. 4; pp. 390 - 396
Main Authors 이종진(Jong-Jin Lee), 김영선(Young-Sun Kim), 이재필(Jae-Pil Lee), 윤민호(Min-Ho Yoon), 이긍주(Geung-Joo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15
한국잔디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7924
2288-3312
DOI10.5660/WTS.2015.4.4.39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Water shortage is becoming a serious problem of turfgrass management on sand green. Many superintendents in golf course in Korea have interested in use of irrigation of recycled water for turfgrass water manag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eywater as an irrigation source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creeping bentgrass green. Turfgrass was irrigated with tap water (TW) and greywater (GW), under with or without compound fertilizer application (nonfertilizer + TW, N-TW; non-fertilizer + GW, N-GW; fertilizer + TW, F-TW; fertilizer + GW, F-GW).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green sand soil were not changed by irrigation. Turf color index, chlorophyll index, root length, clipping yield and nutrient uptake of GW treatment were similar to TW treatment. The growth and quality of turfgrass were more likely related with the fertilizer application than irrigation source or qualit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W could be used as alternative irrigation source on the sand greens of golf courses. 물 부족 국가인 우리나라에서도 점차 골프장 코스관리자들이 관개용수 절약 및 재활용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시기적 요구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잔디 물 관리 시 중 수돗물을 관개용수로 사용이 가능한지 평가하기 위해 토양화학성과 잔디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관개용수 종류에 따른 처리구는 중수돗물 처리구(GW)와 수돗물 처리구(TW)로 구분하였고, 각 관개용수별로 생육기간 중 시비하지 않은 관개용수 처리구(N-TW, N-GW)와 시비를 한 관개용수 처리구(F-TW, F-GW) 등 총 4개의 처리로 나뉘었다. 시험기간 중 처리구별 골프장 그린의 사질토양의 화학성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중수돗물 처리구의 엽색 지수, 엽록소 지수, 잔디 뿌리길이, 잔디 예지물량 및 양분 흡수량은 수돗물 결과와 비슷하여 관개용수의 종류에 따른 잔디 생육과 품질에 대한 유의성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잔디조직 내 무기 성분 함량 및 흡수량에 있어서 질소와 칼륨은 중수돗물 처리구에서 높았다. 잔디의 생육과 품질은 관개용수의 종류나 수질 보다는 비료 시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관개용수로서 중수돗물을 사용하여도 골프장 그린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품질 및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502150665818
http://weedturf.org
G704-002185.2015.4.4.012
ISSN:2287-7924
2288-3312
DOI:10.5660/WTS.2015.4.4.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