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아바타의 홍채색과 동공 조절에 따른 시각적 실재감에 대한 실감표현요소

The virtual avatar is a principal way as media for communicating language and affective feelings in virtual environment. As similar purpose, this study evaluates user's visual feeling according to the changes of iris color and pupil size of virtual avatar which is considered as new factors for...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4) Vol. 14; no. 4; pp. 1 - 8
Main Authors 원명주(Myoung Ju Won), 박상인(Sang-In Park), 이의철(Eui Chul Lee), 황민철(Min-Cheol Wh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4.14.04.00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virtual avatar is a principal way as media for communicating language and affective feelings in virtual environment. As similar purpose, this study evaluates user's visual feeling according to the changes of iris color and pupil size of virtual avatar which is considered as new factors for representing realistic avatar. Virtual avatars were configured by pupil accommodation and iris color(green, brown). After presenting above image to 32 participants, a questionnaire(18 items) based on previous studies was created, and reported as a 5-point scale. Experimental result showed that the case of adopting pupil accommodation induced more realistic visual feeling of subjects. This result can be regarded as a basis for designing realistic virtual avatar by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pupil accommodation of avatar in terms of representing visual presence. 가상환경에서 가상 아바타는 말과 감정을 전달하는 주요한 의사소통 수단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아바타의 홍채색과 동공 조절 요소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시각적 실재감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홍채색과 동공 조절 요소를 적용한 가상 아바타를 모델링하였다. 32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상기 이미지를 제시한 후,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설문문항(18문항)을 구성하여 5점 척도로 보고하게 하였다. 실험결과, 동공 크기변화가 적용된 경우 높은 실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채색은 실재감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새로운 시각적 실감 표현요소를 제안하고, 제안된 실감 표현요소의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실재감 있는 가상 아바타를 설계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414753677853
G704-001475.2014.14.4.040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4.14.04.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