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형 스마트 토이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수용성 및 수용의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rstly, to explore the acceptability and acceptance intention of parents for smart animal toys and secondly,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y sex and age.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44 parents of younger children in Seoul...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5(5) Vol. 15; no. 5; pp. 639 - 65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5.15.05.639 |
Cover
Summary: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rstly, to explore the acceptability and acceptance intention of parents for smart animal toys and secondly,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y sex and age.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44 parents of younger childr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relative advantage, aesthetics, social image of smart animal toys, the attitude of the new technology and the parents' acceptability. Whereas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among the acceptance risk and the parents' acceptability. The parents' acceptability showed differences in the relative advantages and social imag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parent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urchasing experience of smart animal toy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ents' acceptability and acceptance intention of smart animal toys were similar with the adoption process of innovative products or smart devices. And it was also informed that the most impact factors on parents' acceptance for smart toy were the relative advantage, social image, and the attitude of the new technology.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in understanding parents purchasing intention of smart toys and provide valuable implication for smart toy companies, manufacturers, and developers. 본 연구는 동물형 스마트 토이에 대한 부모의 수용성 및 수용의도에 대해 알아보고, 이것이 영유아의 성과 연령, 부모의 성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지역 영유아 학부모 344명을 대상으로 설문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동물형 스마트 토이에 대한 상대적 이점, 심미성, 사회적 이미지, 신기술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영유아 부모의 수용의도가 증가하고 위험성이 높을수록 수용의도가 감소했다. 이러한 수용성은 부모의 연령에 따라 상대적 이점과 사회적 이미지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고 실제 동물형 스마트 토이 구매경험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동물형 스마트 토이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수용성 및 수용의도는 기존의 스마트 기기나 첨단 혁신제품수용과 유사한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상대적 이점, 사회적 이미지, 신기술에 대한 태도가 수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 토이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이자, 동물형 스마트 토이개발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517058945453 G704-001475.2015.15.5.029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5.15.05.6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