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터넷 공간에서 보편적 가치의 실현 가능성
사상초유의 대통령 탄핵을 경험한 한국사회에서 인터넷은 소통의 새로운 방식이자 공간의 확장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중국의 인터넷 공간은 한국과는 사뭇 다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표현의 자유보다는 ‘인터넷 주권’이 우선시되기 때문에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요소들은 모두 검열과 차단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인터넷 만리장성(Great Firewall of China)의 구축, 구글·페이스북·트위터 등 글로벌 인터넷 기업들의 퇴출과 중국 IT 기업의 부상은 중국 내 인터넷 통제가 더욱 견고해지고 치밀해지는 과정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와 동시에...
Saved in:
| Published in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Vol. 71; pp. 1 - 21 |
|---|---|
| Main Author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30.06.2020
대한중국학회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9-9618 2671-7506 |
| DOI | 10.14378/KACS.2020.71.71.1 |
Cover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며 2. 중국 인터넷 공간의 성격 및 특징 3. 공간(장소)이론과 중국 인터넷 현실의 충돌 4. 상상력의 부재와 생명권 경시 5. 그럼에도 추구해야 하는 ‘보편적 가치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