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을 둘러싼 갈등 완화를 위한 반려견 친화 공원 계획 - 구미동 유휴산업시설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급속한 도시화와 사회적 변화로 인해 증가하는 반려견 관련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하수종말처리장이라는 유휴산업부지를 활용한 반려견 친화공원의 설계를 제안한다. 본 설계는 반려견, 반려인, 비반려인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기존 반려견 놀이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접근 방식을 도입하였다. 공원 내에는 반려견을 위한 특화 공간으로 넓은 규모의 오프리쉬존이 마련되어 있어 반려견이 자유롭게 활동하고 사회성을 기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놀이와 훈련을 위한 어질리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경학회지 Vol. 52; no. 6; pp. 28 - 42
Main Authors 오지우, Oh Jiwoo, 임저스틴희준, Lim Justin Heejoon, 최영준, Choi Youngj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경학회 31.1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1755
2288-9566
DOI10.9715/KILA.2024.52.6.02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급속한 도시화와 사회적 변화로 인해 증가하는 반려견 관련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하수종말처리장이라는 유휴산업부지를 활용한 반려견 친화공원의 설계를 제안한다. 본 설계는 반려견, 반려인, 비반려인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기존 반려견 놀이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접근 방식을 도입하였다. 공원 내에는 반려견을 위한 특화 공간으로 넓은 규모의 오프리쉬존이 마련되어 있어 반려견이 자유롭게 활동하고 사회성을 기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놀이와 훈련을 위한 어질리티 시설과 반려견 전용 수영장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들은 반려견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하며, 반려인과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데 기여한다. 이와 함께, 공원은 반려견과 반려인을 위한 복합적인 여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센트럴스페이스와 문화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비반려인도 일상적 산책과 비일상적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공원 이용의 폭을 넓혀, 공원 전체가 모든 사용자에게 열린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경계 설계에서는 기존의 폐쇄적인 울타리 대신 하하(Ha-Ha) 기법을 적용하여 시각적 개방감을 유지하고, 공원 내부의 경관 연속성을 강화하였다. 이를 통해 공원이 단절된 공간이 아닌, 주변 환경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공간으로서의 가치를 확보하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반려견과 관련된 사회적 갈등을 완화하고, 도시재생과 공공복지 증진의 사례로 기능할 수 있는 포용적 공공공간 모델을 제시한다. 이러한 공원은 반려견 문화와 도시 환경의 조화로운 발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공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도시 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proposes the design of a dog-friendly park utilizing the idle industrial site of the Gumi-dong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Seongnam City to address increasing conflicts related to dogs caused by rapid urbanization and social changes. The park includes specialized areas such as a spacious off-leash zone, agility facilities, and a dog-exclusive swimming pool, which aim to enhance the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of dogs while promoting harmonious coexistence between dog owners and non-dog owners. In addition to these features, central spaces and cultural zones provide diverse leisure opportunities for all users, making the park an inclusive environment that caters to a wide range of community needs. The boundary design employs the Ha-Ha technique to maintain visual openness and ensure seamless landscape continuity within the park. This integrated design approach establishes the park as a sustainable model for urban regeneration and public welfare enhancement, contributing to the armonious development of dog culture and urban living, while also fostering stronger community bonds.
Bibliography:Korean l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ISTI1.1003/JNL.JAKO202407936003887
ISSN:1225-1755
2288-9566
DOI:10.9715/KILA.2024.52.6.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