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쥐진드기 피부염의 추정 진단 1예
집쥐진드기(Ornithonyssus bacoti)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주로 쥐를 숙주로 하지만 사람에게도 피부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집쥐진드기에 의한 피부염의 임상증상으로는 가벼운 통증과 소양감을 느끼고 교상 부위는 구진 또는 팽진을 확인할 수 있고 심하면 수포 및 농포를 관찰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37세 남성에게 소양감을 동반한 구진이 나타났으며 증상이 나타나기 약 열흘 전부터 집 천장에서 쥐들이 움직이는 소리를 들었고, 환자가 스카치테이프를 이용하여 집쥐진드기를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추정 진...
Saved in:
Published in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Vol. 57; no. 2; pp. 209 - 214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30.06.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3544 2288-1662 |
DOI | 10.15324/kjcls.2025.57.2.209 |
Cover
Summary: | 집쥐진드기(Ornithonyssus bacoti)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주로 쥐를 숙주로 하지만 사람에게도 피부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집쥐진드기에 의한 피부염의 임상증상으로는 가벼운 통증과 소양감을 느끼고 교상 부위는 구진 또는 팽진을 확인할 수 있고 심하면 수포 및 농포를 관찰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37세 남성에게 소양감을 동반한 구진이 나타났으며 증상이 나타나기 약 열흘 전부터 집 천장에서 쥐들이 움직이는 소리를 들었고, 환자가 스카치테이프를 이용하여 집쥐진드기를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추정 진단하였다. 이에 대한 치료로 병변 부위에 스테로이드 연고 도포와 경구용 항히스타민제를 처방하였고, 집쥐 퇴치를 위한 방역을 실시하여 집쥐진드기 피부염을 치료한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Ornithonyssus bacoti, called the tropical rat mite, causes rat mite dermatitis by biting humans. The symptoms of rat mite dermatitis are erythema, papules, and itching. The patient in this study was a 37-year-old man who exhibited symptoms of rat mite dermatitis. He heard rat sounds on the ceiling and captured four mites in the house using scotch tape, which were observed using a microscope. Two of the four mites captured were in good condition, allowing size measurements. A comprehensive diagnosis of rat mite dermatitis was made. The treatment included steroid ointment, oral antihistamines, and rat quarantine. The symptoms eventually disappeared without recurrence. This report describes a case of presumed dermatitis caused by a tropical rat mite, conside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spected insect or tick bites, and recurring itching and lesions.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KISTI1.1003/JNL.JAKO202518261201888 |
ISSN: | 1738-3544 2288-1662 |
DOI: | 10.15324/kjcls.2025.57.2.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