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상황을 다룬 예술작품에서의 인간의 두려움에 대한 표현 특성 -제2차 세계대전 전후 전쟁 트라우마 관련 작품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인간 내면의 심리들 중 두려움을 대표하는 개념인 트라우마의 개념이 시각예술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표현 가능한지에 관한 통찰적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쟁 트라우마를 다룬 예술작품을 해석하는 관점에서의 방법론의 기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2차 세계대전 전후, 그리고 홀로코스트의 참사 등을 그려낸 전쟁 트라우마 관련 예술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트라우마 관련 제반 이론가들인 카를 융, 도미니크 라카프라, 마리안느 허쉬의 트라우마 관련 이론을 융합하여 작품해석의 틀을 제시한 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4; no. 2; pp. 217 - 232
Main Authors 선영현, Sun Younghyun, 정금희, Jung Kumh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4.2.16

Cov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인간 내면의 심리들 중 두려움을 대표하는 개념인 트라우마의 개념이 시각예술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표현 가능한지에 관한 통찰적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쟁 트라우마를 다룬 예술작품을 해석하는 관점에서의 방법론의 기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2차 세계대전 전후, 그리고 홀로코스트의 참사 등을 그려낸 전쟁 트라우마 관련 예술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트라우마 관련 제반 이론가들인 카를 융, 도미니크 라카프라, 마리안느 허쉬의 트라우마 관련 이론을 융합하여 작품해석의 틀을 제시한 뒤 작품분석을 수행하였고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쟁 트라우마를 그려 낸 작품 중, 인간의 두려움을 표현하는 방식은 크게 잔혹성과 공포, 그리고 불안과 무의식, 죽음의 유형으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2) 잔혹성과 공포의 형상화라는 메시지로 전쟁 트라우마를 그려 낸 작가들의 사례에서는 직접 전쟁을 체험하고, 자신이 경험해 낸 기억들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재구성하거나 일정 시점 이후의 기억을 되뇌어 잔혹성과 공포를 형상화하고 있었다. 이러한 작가들의 의도는 각자의 표현방식에 따라 관람자에게 전쟁 트라우마에 대한 성찰, 비판, 간접적 경험을 유도하고 있었다. 3) 불안과 무의식이라는 메시지로 전쟁 트라우마를 그려 낸 작가들의 사례에서는 완성된 작품 위에 어울리지 않는 공포스러운 붉은 핏자국들을 남겨 전쟁 트라우마가 야기한 죽음을 직접적으로 표현해 내는가 하면, 전쟁 상황이 제공하는 무의미성을 모호함으로 표현해내는 방식을 통해 전쟁 트라우마의 무의식과 공허를 드러내고 있었다. 즉, 작가들은 전쟁의 참혹성, 공포, 그리고 불안에 대한 인류의 집단적 무의식을 자극함으로써 자칫 잊혀질 수 있는 기억들을 되새김질하여 과거를 다시 돌아보고, 현재 우리가 어떠한 태도를 견지해야 하는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insightful perspective on how the concept of trauma, which representing fear among various human inner psychologies, can be expressed through visual art. Through this, we aim to present the methodology for interpreting artworks dealing with war trauma. The subject of the study is a work of art related to war trauma that depicts before and after World War II and the tragedy of the Holocaust. To present a framework for interpreting the work, we fused trauma-related theories of Karl Jung, Dominic Lacapra, and Marianne Hirsc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1) When the results of anlayzing works depicting war trauma were classified in a way that expresses human fear, it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a way that expresses human cruelty and fear, human anxiety and unconsciousness, and daeth. 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ork depicting the war trauma at the content level of the embodiment of brutality and fear, they experienced war firsthand, reconstructed it on the spot based on their experiences, or recalled memories after a certain point to embody brutality and fear. These artists intended to induce reflection, criticism, and indirect experiences of war trauma to viewer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expressions.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ork depicting the war trauma at the content level related to anxiety and unconsciousness, they expressed the unconsciousness and emptiness of war trauma by directly expressing the death caused by the war trauma by leaving scary red blood marks on the completed work and the meaninglessness of the war situation through ambiguity. The final results analyzed through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follows. Writers played a role in reflecting on the forgotten memories by stimulating humanity’s collective unconsciousness of war horrors, fears, and anxiety, reflecting on the past, and conveying what attitude we should maintain.
AbstractList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인간 내면의 심리들 중 두려움을 대표하는 개념인 트라우마의 개념이 시각예술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표현 가능한지에 관한 통찰적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쟁 트라우마를 다룬 예술작품을 해석하는 관점에서의 방법론의 기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2차 세계대전 전후, 그리고 홀로코스트의 참사 등을 그려낸 전쟁 트라우마 관련 예술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트라우마 관련 제반 이론가들인 카를 융, 도미니크 라카프라, 마리안느 허쉬의 트라우마 관련 이론을 융합하여 작품해석의 틀을 제시한 뒤 작품분석을 수행하였고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쟁 트라우마를 그려 낸 작품 중, 인간의 두려움을 표현하는 방식은 크게 잔혹성과 공포, 그리고 불안과 무의식, 죽음의 유형으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2) 잔혹성과 공포의 형상화라는 메시지로 전쟁 트라우마를 그려 낸 작가들의 사례에서는 직접 전쟁을 체험하고, 자신이 경험해 낸 기억들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재구성하거나 일정 시점 이후의 기억을 되뇌어 잔혹성과 공포를 형상화하고 있었다. 이러한 작가들의 의도는 각자의 표현방식에 따라 관람자에게 전쟁 트라우마에 대한 성찰, 비판, 간접적 경험을 유도하고 있었다. 3) 불안과 무의식이라는 메시지로 전쟁 트라우마를 그려 낸 작가들의 사례에서는 완성된 작품 위에 어울리지 않는 공포스러운 붉은 핏자국들을 남겨 전쟁 트라우마가 야기한 죽음을 직접적으로 표현해 내는가 하면, 전쟁 상황이 제공하는 무의미성을 모호함으로 표현해 내는 방식을 통해 전쟁 트라우마의 무의식과 공허를 드러내고 있었다. 즉, 작가들은 전쟁의 참혹성, 공포, 그리고 불안에 대한 인류의 집단적 무의식을 자극함으로써 자칫 잊혀질 수 있는 기억들을 되새김질하여 과거를 다시 돌아보고, 현재 우리가 어떠한 태도를 견지해야 하는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insightful perspective on how the concept of trauma, which representing fear among various human inner psychologies, can be expressed through visual art. Through this, we aim to present the methodology for interpreting artworks dealing with war trauma. The subject of the study is a work of art related to war trauma that depicts before and after World War II and the tragedy of the Holocaust. To present a framework for interpreting the work, we fused trauma-related theories of Karl Jung, Dominic Lacapra, and Marianne Hirsc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1) When the results of anlayzing works depicting war trauma were classified in a way that expresses human fear, it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a way that expresses human cruelty and fear, human anxiety and unconsciousness, and daeth. 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ork depicting the war trauma at the content level of the embodiment of brutality and fear, they experienced war firsthand, reconstructed it on the spot based on their experiences, or recalled memories after a certain point to embody brutality and fear. These artists intended to induce reflection, criticism, and indirect experiences of war trauma to viewer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expressions.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ork depicting the war trauma at the content level related to anxiety and unconsciousness, they expressed the unconsciousness and emptiness of war trauma by directly expressing the death caused by the war trauma by leaving scary red blood marks on the completed work and the meaninglessness of the war situation through ambiguity. The final results analyzed through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follows. Writers played a role in reflecting on the forgotten memories by stimulating humanity’s collective unconsciousness of war horrors, fears, and anxiety, reflecting on the past, and conveying what attitude we should maintain. KCI Citation Count: 0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인간 내면의 심리들 중 두려움을 대표하는 개념인 트라우마의 개념이 시각예술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표현 가능한지에 관한 통찰적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쟁 트라우마를 다룬 예술작품을 해석하는 관점에서의 방법론의 기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2차 세계대전 전후, 그리고 홀로코스트의 참사 등을 그려낸 전쟁 트라우마 관련 예술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트라우마 관련 제반 이론가들인 카를 융, 도미니크 라카프라, 마리안느 허쉬의 트라우마 관련 이론을 융합하여 작품해석의 틀을 제시한 뒤 작품분석을 수행하였고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쟁 트라우마를 그려 낸 작품 중, 인간의 두려움을 표현하는 방식은 크게 잔혹성과 공포, 그리고 불안과 무의식, 죽음의 유형으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2) 잔혹성과 공포의 형상화라는 메시지로 전쟁 트라우마를 그려 낸 작가들의 사례에서는 직접 전쟁을 체험하고, 자신이 경험해 낸 기억들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재구성하거나 일정 시점 이후의 기억을 되뇌어 잔혹성과 공포를 형상화하고 있었다. 이러한 작가들의 의도는 각자의 표현방식에 따라 관람자에게 전쟁 트라우마에 대한 성찰, 비판, 간접적 경험을 유도하고 있었다. 3) 불안과 무의식이라는 메시지로 전쟁 트라우마를 그려 낸 작가들의 사례에서는 완성된 작품 위에 어울리지 않는 공포스러운 붉은 핏자국들을 남겨 전쟁 트라우마가 야기한 죽음을 직접적으로 표현해 내는가 하면, 전쟁 상황이 제공하는 무의미성을 모호함으로 표현해내는 방식을 통해 전쟁 트라우마의 무의식과 공허를 드러내고 있었다. 즉, 작가들은 전쟁의 참혹성, 공포, 그리고 불안에 대한 인류의 집단적 무의식을 자극함으로써 자칫 잊혀질 수 있는 기억들을 되새김질하여 과거를 다시 돌아보고, 현재 우리가 어떠한 태도를 견지해야 하는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insightful perspective on how the concept of trauma, which representing fear among various human inner psychologies, can be expressed through visual art. Through this, we aim to present the methodology for interpreting artworks dealing with war trauma. The subject of the study is a work of art related to war trauma that depicts before and after World War II and the tragedy of the Holocaust. To present a framework for interpreting the work, we fused trauma-related theories of Karl Jung, Dominic Lacapra, and Marianne Hirsc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1) When the results of anlayzing works depicting war trauma were classified in a way that expresses human fear, it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a way that expresses human cruelty and fear, human anxiety and unconsciousness, and daeth. 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ork depicting the war trauma at the content level of the embodiment of brutality and fear, they experienced war firsthand, reconstructed it on the spot based on their experiences, or recalled memories after a certain point to embody brutality and fear. These artists intended to induce reflection, criticism, and indirect experiences of war trauma to viewer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expressions.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ork depicting the war trauma at the content level related to anxiety and unconsciousness, they expressed the unconsciousness and emptiness of war trauma by directly expressing the death caused by the war trauma by leaving scary red blood marks on the completed work and the meaninglessness of the war situation through ambiguity. The final results analyzed through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follows. Writers played a role in reflecting on the forgotten memories by stimulating humanity’s collective unconsciousness of war horrors, fears, and anxiety, reflecting on the past, and conveying what attitude we should maintain.
Author Sun Younghyun
Jung Kumhee
정금희
선영현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선영현
– sequence: 2
  fullname: Sun Younghyun
– sequence: 3
  fullname: 정금희
– sequence: 4
  fullname: Jung Kumhee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5734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js9LG0EcxYeiYKpevfQyl14Km-782pk5pmpbURRs7stmd1OWtEnJ0kNvEfcQtAdTKI260ZUGasFDSntIwb8o893_oaORHr68B-_D973HaKHdaccIrRG3yiXV_Pn2mxcbtSrlVVol3iNUoZIwR2jNFlCFCK0c5TGxhFbTNGm4nEsmJdcVdA1FBpcHGA4PytOfMMqwOR6b7zcYhn3oF3AxKL_04dsJZDmMhhhG09kku3NmcGKKMZz3bIjN5175NcflIC-HGS6P_kL2CztQ5BQm1xiy6ex3Zhnbhe2V5_dyV1seTc3oFs4m5kcfz_70TGHxeaedAuMBHN9Afmuu8hW02AzepfHqgy6j-svN-vprZ2fv1dZ6bcdpKSEc7bKm51HtxYKEOpShS5QMXKWCSMceoQ0RMRZawyMmYxVZqkFlHCilG7GWAVtGz-Zv292m3woTvxMk9_q247e6fm2_vuUTl1JKGLXw0wf4Yzd5H0dJ4H-wJuh-8nf3NjYJUYx7WljuyZxrJWn6H-EuEdQO_gcAI7hx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ACYCR
DOI 10.47294/KSBDA.24.2.16
DatabaseName KISS(한국학술정보)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Korean Database (DBpia)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전쟁 상황을 다룬 예술작품에서의 인간의 두려움에 대한 표현 특성 -제2차 세계대전 전후 전쟁 트라우마 관련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Human Fear in Artworks dealing with War Situations-focusing on works related to war trauma before and after world war
DocumentTitle_FL A Study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Human Fear in Artworks dealing with War Situations-focusing on works related to war trauma before and after world war
EISSN 2713-5993
EndPage 232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222132
NODE11834695
4015290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ID FETCH-LOGICAL-k855-903f66296e51c9c7c0187a088ad9e612b5d33c6124d37e8d51cb27ea889be97a3
ISSN 1598-8635
IngestDate Sat Jan 27 03:14:41 EST 2024
Thu Mar 13 19:39:48 EDT 2025
Tue Aug 13 02:12:08 EDT 2024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Keywords 세계대전
전쟁미술
현대미술
war art
전쟁 트라우마
war trauma
contemporary art
world war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55-903f66296e51c9c7c0187a088ad9e612b5d33c6124d37e8d51cb27ea889be97a3
Note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76&idx=2351
PageCount 1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222132
nurimedia_primary_NODE11834695
kiss_primary_401529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304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3-04-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23
  text: 202304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Year 2023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기초조형학회
SSID ssib044737749
ssib001148679
ssib009282594
Score 1.8430616
Snippet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인간 내면의 심리들 중 두려움을 대표하는 개념인 트라우마의 개념이 시각예술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표현 가능한지에 관한 통찰적 시각을...
SourceID nrf
nurimedia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217
SubjectTerms contemporary art
war art
war trauma
world war
세계대전
예술일반
전쟁 트라우마
전쟁미술
현대미술
Title 전쟁 상황을 다룬 예술작품에서의 인간의 두려움에 대한 표현 특성 -제2차 세계대전 전후 전쟁 트라우마 관련 작품을 중심으로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015290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3469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57348
Volume 2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기초조형학연구, 2023, 24(2), 116, pp.217-232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713-5993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7749
  issn: 1598-8635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Lb9NAELaqcoALAhVEeVSWwKfIId61492jH6kKiHKgiN6i2HEQipSi0l44oFbkELUcGiREoQkEUYki9VAEhyL1F9Xr_8Dseus4UKGWQ9PJznge39jeGcdeK8qtsGE0DGiP9XrAf2ZEtKHXsG3pjTrMzTisw3lZ3CA7W555ZN6dt-bHxh_n7lpaXgqK4Ytjnyv5n6zCGOSVPyV7isxmSmEAaMgvfEKG4fNEOdYqnuaUNGJygk5DVVjgFMFAaRVfo1RzqOD5IAQ8VyOu5piccLDmeEKcEo0QsR3h2vhIRaOpAiRZ1NaoYIEt6kmVlBQk5YKQo7mZK5LncjV8O5crdlKey2-uOFKZ-uSJIdjIAuUFQRnCjC-cM8UQAQNUuuAaBV0GTz3EKbDtpO5wduoOFu5k-iVWhRxqvnBnZGgIZGqSiDAgxDRqESWPxwZkCsKMKbSnIUpE_sbPz8yYgueJTKQ6PaEcvvKg892CUE-ERU_YEbpAzC1JbAAxiRuVmHIWbGVx5XD4IBNaCJS73iMhkokmR3sKhzkvwpG1pH1u1uchyHU65UUihHO_d_HDOkvhkQf-KQPwOb7Ey0-UlOiknC41U4zEGLINrFuU4pEJ0c7VVii9lv3ntG1ChwdoTN976PpOEZlFVDSOWR_9j7plZIX0Zvi0-mSh2lysQh94pyquYxgYarMzCKZ7_k6X-y8rwz7BEAtNZt8pf4J7ODGZpo2hLaJirWUZZ7rgq_D09oifUMtBq_ccatPWIpS0Z1vL_L0ccHLP1alzF5TzssFUnfRscVEZay5MKDts0GafVlX2ajV5_43122q8vh1_2VXZZod1BuxjN3nTYe82WLvH-psq6-8f7rU5FXc34sE221oBphq_Xkne9tSk20s222qy9ou1v6s6G_QQ29tRWXv_8EcbZMCWCn_JlvjHzSZr-3H_gH3Yi7921MOfK_EAxFOb4Arb7rL1XdY7iD_3Lilz05U5b0aX72jRm8SydFrCjXIZ0XJkGSEN7ZC_47MGlUutTiNongKrjnEIhFnHdkTqIBUgO6oRQoOI2jV8WRlvLbSiK4pKGyQIgwCFpdACaQyNpU0jq2FQI6hhK5xUJjjO1WfpKjxVExoZREuTyk3AXeT_H_vBpDKV5SXTMPvArxhQ0phlal09kZpryrnh0XVdGV9aXI5uQFOyFEyJHew30cEKR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0%84%EC%9F%81+%EC%83%81%ED%99%A9%EC%9D%84+%EB%8B%A4%EB%A3%AC+%EC%98%88%EC%88%A0%EC%9E%91%ED%92%88%EC%97%90%EC%84%9C%EC%9D%98+%EC%9D%B8%EA%B0%84%EC%9D%98+%EB%91%90%EB%A0%A4%EC%9B%80%EC%97%90+%EB%8C%80%ED%95%9C+%ED%91%9C%ED%98%84+%ED%8A%B9%EC%84%B1+-%EC%A0%9C2%EC%B0%A8+%EC%84%B8%EA%B3%84%EB%8C%80%EC%A0%84+%EC%A0%84%ED%9B%84+%EC%A0%84%EC%9F%81+%ED%8A%B8%EB%9D%BC%EC%9A%B0%EB%A7%88+%EA%B4%80%EB%A0%A8+%EC%9E%91%ED%92%88%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C%97%B0%EA%B5%AC%2C+24%282%29&rft.au=%EC%84%A0%EC%98%81%ED%98%84&rft.au=%EC%A0%95%EA%B8%88%ED%9D%AC&rft.date=2023-04-30&rft.pub=%ED%95%9C%EA%B5%AD%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D%9A%8C&rft.issn=1598-8635&rft.eissn=2713-5993&rft.spage=217&rft.epage=232&rft_id=info:doi/10.47294%2FKSBDA.24.2.16&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222132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63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