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적 객체로서의 인공지능예술 고찰

이 논문은 인공지능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관해 인공지능예술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인공지능예술의 사례를 조사하고 비인간 존재론에 관한 문헌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다. 연구의 첫 단계에서는 마이클 놀의 선구적 작업부터 딥러닝에 기반한 최근 예술까지 일람한다. 1960년대 놀과 추리는 수학적 함수와 난수 생성기를 이용하여 추상적인 드로잉이나 애니메이션을 제작했고, 1970년대부터 코헨은 ‘아론’(AARON)이라는 전문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드로잉과 회화를 창작했다. 인공지능예술이 본격화된 것은 2010...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5; no. 3; pp. 1 - 14
Main Authors 강미정, Kang Mi J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0.06.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5.3.1

Cover

Abstract 이 논문은 인공지능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관해 인공지능예술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인공지능예술의 사례를 조사하고 비인간 존재론에 관한 문헌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다. 연구의 첫 단계에서는 마이클 놀의 선구적 작업부터 딥러닝에 기반한 최근 예술까지 일람한다. 1960년대 놀과 추리는 수학적 함수와 난수 생성기를 이용하여 추상적인 드로잉이나 애니메이션을 제작했고, 1970년대부터 코헨은 ‘아론’(AARON)이라는 전문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드로잉과 회화를 창작했다. 인공지능예술이 본격화된 것은 2010년대 이후 딥러닝 기술이 발전하면서부터다. 도서관, 미술관 등의 아카이브 데이터를 환상적인 영상으로 시각화하는 아나돌, 조건부 GAN을 활용하여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얼굴이나 꽃 이미지를 창출하는 클링게만과 리들러는 인공지능예술의 해외 사례 중 손꼽을만하다. 국내 예술가 중에도 신승백과 김용훈 팀, 강은수, 노진아처럼 일찍부터 인공지능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사례가 있다. 연구의 둘째 단계는 객체지향존재론(OOO)과 정동이론에 준거하여 인공지능예술의 존재론적 함의를 파악하는 것이다. OOO를 지향하는 브라이언트와 하먼은 인간을 포함한 일체의 사물을 동등하게 ‘객체’임을 논증한다. 정동이론가 마수미는 ‘정동’(affect)을 모든 신체들 사이에서 촉발되는 강렬도의 변화라고 파악한다. 즉각적이고 역동적인 정동은 마주치는 모든 유형의 몸체들에 변화를 초래한다. 본고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하먼과 마수미 등의 비인간주의 철학에 비추어 볼 때 인공지능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정동적 객체’로 파악되며, 인공지능예술은 이 점을 직관적으로 알려준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아나돌이나 노진아의 인공지능 예술작품은, 인간과 인공지능이 동등한 위상에서 상호작용함으로써 서로의 존재를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관객으로 하여금 깨닫게 해준다는 것이다. 인공지능예술에 대한 본고의 고찰을 통해 우리는 오늘날 인간이 인공지능과 얼마나 의미심장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재고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at AI means to humans through researching the examples of AI arts and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on Non-human ontologies. The first step of the research is to trace the pioneering work of Michael Noll to recent artworks based on deep learning. In the 1960s, Noll and Csuri used random number generators to create abstract drawings and animations, and from the 1970s, Cohen used an expert system called AARON to create drawings and paintings. AI arts has been in full swing since the 2010s, when deep learning technology accelerated. Anadol, who visualizes archival data from libraries and museums into fantastic images,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overseas instances of AI arts. Korean artists such as E. Kang, and J. Noh have also utilized AI softwares early on. The second step is to identify the ontological implications of AI arts based on object-oriented Ontologies (OOO) and Affective theories. Bryant and Harman, who pursue OOO, argue that all things, including humans, are equally ‘objects’. Affect theorist Masumi understands ‘affect’ as a change in intensity that is triggered between all bodies: immediate and dynamic, affect causes changes in all types of bodies that encounter other ones. In the light of nonhumanist philosophies such as Harman’s and Masumi’s, AI is understood as an ‘affective object’ just like humans, and AI arts intuitively inform us of this. In other words, AI artworks such as Anadol’s and Noh’s make the viewers realize that humans and AI interact on an equal footing, transforming each other’s existence. The examination of AI arts in this article gives us the opportunity to reconsider how meaningful our relationship with AI is today.
AbstractList 이 논문은 인공지능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관해 인공지능예술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인공지능예술의 사례를 조사하고 비인간 존재론에 관한 문헌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다. 연구의 첫 단계에서는 마이클 놀의 선구적 작업부터 딥러닝에 기반한 최근 예술까지 일람한다. 1960년대 놀과 추리는 수학적 함수와 난수 생성기를 이용하여 추상적인 드로잉이나 애니메이션을 제작했고, 1970년대부터 코헨은 ‘아론’(AARON)이라는 전문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드로잉과 회화를 창작했다. 인공지능예술이 본격화된 것은 2010년대 이후 딥러닝 기술이 발전하면서부터다. 도서관, 미술관 등의 아카이브 데이터를 환상적인 영상으로 시각화하는 아나돌, 조건부 GAN을 활용하여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얼굴이나 꽃 이미지를 창출하는 클링게만과 리들러는 인공지능예술의 해외 사례 중 손꼽을만하다. 국내 예술가 중에도 신승백과 김용훈 팀, 강은수, 노진아처럼 일찍부터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사례가 있다. 연구의 둘째 단계는 객체지향존재론(OOO)과 정동이론에 준거하여 인공지능예술의 존재론적 함의를 파악하는 것이다. OOO를 지향하는 브라이언트와 하먼은 인간을 포함한 일체의 사물을 동등하게 ‘객체’임을 논증한다. 정동이론가 마수미는 ‘정동’(affect)을 모든 신체들 사이에서 촉발되는 강렬도의 변화라고 파악한다. 즉각적이고 역동적인 정동은 마주치는 모든 유형의 몸체들에 변화를 초래한다. 본고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하먼과 마수미 등의 비인간주의 철학에 비추어 볼 때 인공지능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정동적 객체’로 파악되며, 인공지능예술은 이 점을 직관적으로 알려준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아나돌이나 노진아의 인공지능 예술작품은, 인간과 인공지능이 동등한 위상에서 상호작용함으로써 서로의 존재를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관객으로 하여금 깨닫게 해준다는 것이다. 인공지능예술에 대한 본고의 고찰을 통해 우리는 오늘날 인간이 인공지능과 얼마나 의미심장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재고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at AI means to humans through researching the examples of AI arts and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on Non-human ontologies. The first step of the research is to trace the pioneering work of Michael Noll to recent artworks based on deep learning. In the 1960s, Noll and Csuri used random number generators to create abstract drawings and animations, and from the 1970s, Cohen used an expert system called AARON to create drawings and paintings. AI arts has been in full swing since the 2010s, when deep learning technology accelerated. Anadol, who visualizes archival data from libraries and museums into fantastic images,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overseas instances of AI arts. Korean artists such as E. Kang, and J. Noh have also utilized AI softwares early on. The second step is to identify the ontological implications of AI arts based on object-oriented Ontologies (OOO) and Affective theories. Bryant and Harman, who pursue OOO, argue that all things, including humans, are equally ‘objects’. Affect theorist Masumi understands ‘affect’ as a change in intensity that is triggered between all bodies: immediate and dynamic, affect causes changes in all types of bodies that encounter other ones. In the light of nonhumanist philosophies such as Harman’s and Masumi’s, AI is understood as an ‘affective object’ just like humans, and AI arts intuitively inform us of this. In other words, AI artworks such as Anadol’s and Noh’s make the viewers realize that humans and AI interact on an equal footing, transforming each other’s existence. The examination of AI arts in this article gives us the opportunity to reconsider how meaningful our relationship with AI is today. KCI Citation Count: 1
이 논문은 인공지능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관해 인공지능예술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인공지능예술의 사례를 조사하고 비인간 존재론에 관한 문헌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다. 연구의 첫 단계에서는 마이클 놀의 선구적 작업부터 딥러닝에 기반한 최근 예술까지 일람한다. 1960년대 놀과 추리는 수학적 함수와 난수 생성기를 이용하여 추상적인 드로잉이나 애니메이션을 제작했고, 1970년대부터 코헨은 ‘아론’(AARON)이라는 전문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드로잉과 회화를 창작했다. 인공지능예술이 본격화된 것은 2010년대 이후 딥러닝 기술이 발전하면서부터다. 도서관, 미술관 등의 아카이브 데이터를 환상적인 영상으로 시각화하는 아나돌, 조건부 GAN을 활용하여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얼굴이나 꽃 이미지를 창출하는 클링게만과 리들러는 인공지능예술의 해외 사례 중 손꼽을만하다. 국내 예술가 중에도 신승백과 김용훈 팀, 강은수, 노진아처럼 일찍부터 인공지능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사례가 있다. 연구의 둘째 단계는 객체지향존재론(OOO)과 정동이론에 준거하여 인공지능예술의 존재론적 함의를 파악하는 것이다. OOO를 지향하는 브라이언트와 하먼은 인간을 포함한 일체의 사물을 동등하게 ‘객체’임을 논증한다. 정동이론가 마수미는 ‘정동’(affect)을 모든 신체들 사이에서 촉발되는 강렬도의 변화라고 파악한다. 즉각적이고 역동적인 정동은 마주치는 모든 유형의 몸체들에 변화를 초래한다. 본고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하먼과 마수미 등의 비인간주의 철학에 비추어 볼 때 인공지능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정동적 객체’로 파악되며, 인공지능예술은 이 점을 직관적으로 알려준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아나돌이나 노진아의 인공지능 예술작품은, 인간과 인공지능이 동등한 위상에서 상호작용함으로써 서로의 존재를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관객으로 하여금 깨닫게 해준다는 것이다. 인공지능예술에 대한 본고의 고찰을 통해 우리는 오늘날 인간이 인공지능과 얼마나 의미심장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재고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at AI means to humans through researching the examples of AI arts and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on Non-human ontologies. The first step of the research is to trace the pioneering work of Michael Noll to recent artworks based on deep learning. In the 1960s, Noll and Csuri used random number generators to create abstract drawings and animations, and from the 1970s, Cohen used an expert system called AARON to create drawings and paintings. AI arts has been in full swing since the 2010s, when deep learning technology accelerated. Anadol, who visualizes archival data from libraries and museums into fantastic images,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overseas instances of AI arts. Korean artists such as E. Kang, and J. Noh have also utilized AI softwares early on. The second step is to identify the ontological implications of AI arts based on object-oriented Ontologies (OOO) and Affective theories. Bryant and Harman, who pursue OOO, argue that all things, including humans, are equally ‘objects’. Affect theorist Masumi understands ‘affect’ as a change in intensity that is triggered between all bodies: immediate and dynamic, affect causes changes in all types of bodies that encounter other ones. In the light of nonhumanist philosophies such as Harman’s and Masumi’s, AI is understood as an ‘affective object’ just like humans, and AI arts intuitively inform us of this. In other words, AI artworks such as Anadol’s and Noh’s make the viewers realize that humans and AI interact on an equal footing, transforming each other’s existence. The examination of AI arts in this article gives us the opportunity to reconsider how meaningful our relationship with AI is today.
Author Kang Mi Jung
강미정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강미정
– sequence: 2
  fullname: Kang Mi Jung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049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zL1LAmEAx_GHMMjMsanFpSW463l_GU2tJEko94fn7nziuNK4o6GtoEFamgIDhWuIVsmC_iZ9_ogspen7Gz78NkGh1-91AdhG0KcCK7p_cn5Qr_qY-cRHa6CIBSIeU4oUQBExJT3JCdsA5SyLA0ipIEJQVQTE5c_zpxeX31dmk7H7-Jy_jtzDyI2HFTf-nk2_3Pvd_PHNDQdukFdm09xNJltg3ZrLrFtetQQ6h41O7dhrtY-atWrLSySjnmVWhiGOBAoEDWRgIssZNxZLxRBnQjAYCAtJxIw0mIcYQxRxHgpslUICkhLYW972UquTMNZ9E__1oq-TVFfPOk2NIGNQ0V-8u8I3aXzVjWKjrxfDpLf6tF1vIKSQIpAu3M7SJXGW_ROKIISSkB-thW7f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ACYCR
DOI 10.47294/KSBDA.25.3.1
DatabaseName KISS(한국학술정보)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정동적 객체로서의 인공지능예술 고찰
A Reflection on AI Arts as the Affective Objects
DocumentTitle_FL A Reflection on AI Arts as the Affective Objects
EISSN 2713-5993
EndPage 1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550940
NODE11919304
4100083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ID FETCH-LOGICAL-k854-f5f8cc2d71b74b8badf656af28951657750b7f03d5a8a26c2201d66c72f991703
ISSN 1598-8635
IngestDate Sat Sep 06 06:29:09 EDT 2025
Thu Mar 13 19:39:48 EDT 2025
Tue Aug 13 02:12:08 EDT 2024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3
Keywords Nonhuman turn
Object-oriented ontology
비인간 전회
객체지향존재론
인공지능예술
Affect theory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정동이론
AI arts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54-f5f8cc2d71b74b8badf656af28951657750b7f03d5a8a26c2201d66c72f991703
Note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84&idx=2621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0494
PageCount 14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550940
nurimedia_primary_NODE11919304
kiss_primary_410008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24
  text: 2024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기초조형학회
SSID ssib044737749
ssib001148679
ssib009282594
Score 1.8895459
Snippet 이 논문은 인공지능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관해 인공지능예술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인공지능예술의 사례를 조사하고 비인간...
SourceID nrf
nurimedia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
SubjectTerms Affect theory
AI arts
Artificial intelligence
Nonhuman turn
Object
oriented ontology
객체지향존재론
비인간 전회
예술일반
인공지능
인공지능예술
정동이론
Title 정동적 객체로서의 인공지능예술 고찰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00083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91930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0494
Volume 25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기초조형학연구, 2024, 25(3), 123, pp.1-14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713-5993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7749
  issn: 1598-8635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i9NAFB_KetCLKKtYP5aCzqmkNpNJZuaYtCnrLl0PVthbyEcjS6FdanvxIAoeFi-ehBW2UA_idXEV_Jva_BG-N0nbIIKuUKaTNx_vTd7w5v3CzBtCHjFAJlxEiRGxZmzwBBLF4j6g1hijZ4k47eN55-6Bs_uc7x3ah5XKsrRraTqJGvGrP54r-R-tAg30iqdkL6HZdadAgDzoF1LQMKT_pGPqt6jbpMqmvkdlhypVUKRZp75LPShrI8lj1ONYyTWpaiFF8iIDFZSsFzlP6mYW9Wzdk8CNENi3S11NUZJKqdtL4FMvagNHZNKEX9nZ1aUS6VjKi5YgAlKQrZa8jWkuuRK6yEX2m5iQq5HoUbodLeRq3EzuFx-8u0f1PW24VPlDBuOrXXfF1Fvxa63YtC8pJWRcKltlY66kIZ08HEqjr2kMQLlhq_xWxtUKkB-9Lma6VTLnZskvyM-6_r7icAAnHObJ_jOv7TaY3bAa5mZpXW94PHja9jGUnrIwdu0VJhwHr9vovvY3vqupgx-unxWeKt4YS86FBa660vF_i3HlMWO1CI_LAoB7AejjJbhLwzF4WVeHU7wqAuxNyXXq3SDXC8xTc_MJfJNUBqNtYmXzj8sPn7L529rifJZ9-778fJa9O8tmp7Vs9nNx8SP7-mb5_kt2epKdzGuLi3l2fn6L9Dp-r7VrFDd4GANpcyO1UxnHLBFmJHgkozBJAT6EKYB823RsAd5qJNKmldihDJkTM_BGE8eJBUsBtsBadJtsDUfD_h1SY2A6eOo4YSJSDighMtPYYrEjQhn1AfRUyTYOOTjOY7QE3NTookoewisIBvFRgHHU8f_FKBiMA0CLTwK8HBbjR1bJzvoVrXsoq-zu3yrcI9c2U_o-2ZqMp_0H4K1Ooh2t5V-u7nL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0%95%EB%8F%99%EC%A0%81+%EA%B0%9D%EC%B2%B4%EB%A1%9C%EC%84%9C%EC%9D%98+%EC%9D%B8%EA%B3%B5%EC%A7%80%EB%8A%A5%EC%98%88%EC%88%A0+%EA%B3%A0%EC%B0%B0&rft.jtitle=%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C%97%B0%EA%B5%AC&rft.au=%EA%B0%95%EB%AF%B8%EC%A0%95%28Kang%2C+Mi+Jung%29&rft.date=2024-06-30&rft.pub=%ED%95%9C%EA%B5%AD%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D%9A%8C&rft.issn=1598-8635&rft.eissn=2713-5993&rft.volume=25&rft.issue=3&rft.spage=1&rft.epage=14&rft_id=info:doi/10.47294%2FKSBDA.25.3.1&rft.externalDocID=NODE11919304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63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