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감축 정책의 경제적 영향: 거시계량모형에 기반한 배출권가격 변동 효과 분석
배출권거래제는 대표적인 기후정책으로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87%(2021년 기준)에 대한 감축 유인체계를 형성한다. 상당량의 감축이 기대되는 가운데 배출권가격 변동이 경제, 에너지 및 환경 부문에 미칠 파급 효과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가 필요하다. 본 고는 거시계량 기반 연립방정식 모형을 통해 배출권거래제의 정책효과를 분석한 국내 최초의 연구로, 한국표준산업분류(경제), 에너지밸런스(에너지), 국가온실가스인벤토리(환경)를 연결해 현실 설명력을 제고한 데 의의를 지닌다. E3 동학에 대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4년에 걸친 배출권가격의 50%...
Saved in:
Published in | 자원·환경경제연구 Vol. 33; no. 1; pp. 1 - 32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31.03.2024
한국환경경제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9146 2765-5253 |
DOI | 10.15266/KEREA.2024.33.1.1 |
Cover
Summary: | 배출권거래제는 대표적인 기후정책으로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87%(2021년 기준)에 대한 감축 유인체계를 형성한다. 상당량의 감축이 기대되는 가운데 배출권가격 변동이 경제, 에너지 및 환경 부문에 미칠 파급 효과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가 필요하다. 본 고는 거시계량 기반 연립방정식 모형을 통해 배출권거래제의 정책효과를 분석한 국내 최초의 연구로, 한국표준산업분류(경제), 에너지밸런스(에너지), 국가온실가스인벤토리(환경)를 연결해 현실 설명력을 제고한 데 의의를 지닌다. E3 동학에 대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4년에 걸친 배출권가격의 50% 인상충격은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0.043%)와 함께 주요 거시변수인 실질GDP(-0.058%), 민간소비(-0.003%) 및 투자(-0.301%) 등의 하방 이동으로 귀결된다. 배출권가격의 인상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의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가격 인상 충격에 따른 이행리스크에 대응함으로써 거시 경제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 경매수익을 활용한 세수환원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법인세 경감 및 경상이전지출 확대 등 세수환원 수단 중 성장 측면에서 후자의 정책 비교우위를 확인했다.
The emissions trading system stands as a pivotal climate policy in Korea, incentivizing abatement equivalent to 87% of total emissions (as of 2021). As the system likely has a far-reaching impact, it is crucial to understand how the real economic activity, energy sector, as well as environment would be influenced by its implementation. Employing a macroeconometric model,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Korean emissions trading policy. It interconnects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Economy), Energy Balance (Energy), and National Inventory Report (Environment), enhancing its real-world explanatory power. We find that a 50% increase in emission permit price over four years results in a decrease in greenhouse gas emissions (-0.043%) and downward shifts in key macroeconomic variables, including real GDP (-0.058%), private consumption (-0.003%), and investment (-0.301%). The price increase in emission permit is deemed crucial for achieving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s. To mitigate transition risk associated with price shocks, revenue recycling using auction could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the economy. This study confirms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expanded current transfers expenditure over corporate tax reduction, particularly from an economic growth perspective. |
---|---|
Bibliography: | The Korea Resource Economics Association KISTI1.1003/JNL.JAKO202410072000156 |
ISSN: | 1229-9146 2765-5253 |
DOI: | 10.15266/KEREA.2024.3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