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미디어아트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2000년 이후 뉴미디어의 기술의 발전은 대만의 문화 예술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대만의 전통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영상미디어, 인터넷을 포함한 무선 통신, 그리고 다양한 인터렉티브 표현 미디어는 대만의 현대 예술에 새로운 시각 언어와 조형적 의미를 창출하였다. 이 연구는 대만 미디어아트가 1980년대에 외국에서 유학한 예술가의 국내 유입을 시작으로 최근 20년 동안 진행된 대만 미디어아트 발전 역사에 대하여 연대기적으로 소개하고, 대만 미디어아트의 유형별 특성을 밝혀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만 미디어아트의 발전 과정과 유형별 분석...
Saved in:
|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2; no. 4; pp. 15 - 28 |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1.08.2021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8635 2713-5993 |
| DOI | 10.47294/KSBDA.22.4.2 |
Cover
| Abstract | 2000년 이후 뉴미디어의 기술의 발전은 대만의 문화 예술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대만의 전통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영상미디어, 인터넷을 포함한 무선 통신, 그리고 다양한 인터렉티브 표현 미디어는 대만의 현대 예술에 새로운 시각 언어와 조형적 의미를 창출하였다. 이 연구는 대만 미디어아트가 1980년대에 외국에서 유학한 예술가의 국내 유입을 시작으로 최근 20년 동안 진행된 대만 미디어아트 발전 역사에 대하여 연대기적으로 소개하고, 대만 미디어아트의 유형별 특성을 밝혀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만 미디어아트의 발전 과정과 유형별 분석 연구를 위하여 예술 관련된 교육 기관과 단체, 미술관, 전시회, 그리고 정부의 미디어아트 관련 자료나 정책을 분석하고 대표적인 대만 미디어아트 예술가의 창작 방법, 작품 형식, 그리고 작품의 내용적 특성을 작품제작에서 사용된 미디어, 전통예술 기반 작품 제작 방법들, 디지털 방식과 표현방법, 관객과의 상호작용 방식 및 소통 방법에 따라 분류하고 그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대만의 미디어아트의 발전은 내용적으로 섬이라는 지리적 특수성과 식민지 기간을 통한 문화적 혼재 기간을 통해 연대별로 전통 인문 역사와 개인의 다양한 문맥들을 반영한다. 이런 점에서 대만의 미디어아트는 다 문화적 색채가 포함된 다양하고 자유로운 주제의 유형들로 형성되어 왔으며, 환경적으로는 대만이 반도체강국이라는 특성과 디지털 테크놀로지 영향으로 2010년대 이후의 미디어아트 작품들은 대부분 몰입형 환경, 상호 작용적 설치, 데이터 처리, 가상현실 등의 기술로 제작된 통감각적인 콘텐츠나 미디어 스펙터클 환경의 다학제적 형태들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만의 현대 예술과 동서양 문화예술의 교류적 관점에서 대만 미디어아트의 국제적 전시나 소통에 대한 이해의 기반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technology since 2000 has influenced Taiwanese culture and art. Based on traditional Taiwanese culture and art, video media,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ing the Internet, and various interactive expression media have created new visual language and figurative meanings for Taiwanese contemporary art. This study was aimed to introduce the development chronicle of Taiwan's media art which has been going on for 20 years starting from the domestic inflow of artists who studied in foreign countries in the 1980s, an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by types of Taiwan's media art.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on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documents from art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museums, media art exhibitions, and government cultural polic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Taiwan media artists' works according to the media used for the production of the works, traditional art making methods, digital applications and expressions, the ways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the viewer. With the result of analysis, the development of Taiwan's media art reflects various cultural contexts with private themes and the traditional humanistic history chronologically through the mixed cultural period of geographical specificity like an island and several colonial times. In this sense, Taiwan's media arts have been formed in various types of multi-cultural issues and liberal subject matters and environmentally, owing to the semiconductor and digital technology, most media arts since 2010 are shown as multidisciplinary forms consisting of immersive environment, interactive installation, data processing, synesthetic content, and media spectacle. This study also can be considered as the basis for the condition of the international exhibition and communication of media art from an exchange point of view of culture and arts in Taiwan and the East and West. |
|---|---|
| AbstractList | 2000년 이후 뉴미디어의 기술의 발전은 대만의 문화 예술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대만의 전통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영상미디어, 인터넷을 포함한 무선 통신, 그리고 다양한 인터렉티브 표현 미디어는대만의 현대 예술에 새로운 시각 언어와 조형적 의미를 창출하였다. 이 연구는 대만 미디어아트가1980년대에 외국에서 유학한 예술가의 국내 유입을 시작으로 최근 20년 동안 진행된 대만 미디어아트 발전 역사에 대하여 연대기적으로 소개하고, 대만 미디어아트의 유형별 특성을 밝혀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만 미디어아트의 발전 과정과 유형별 분석 연구를 위하여 예술 관련된 교육 기관과 단체, 미술관, 전시회, 그리고 정부의 미디어아트 관련 자료나 정책을 분석하고 대표적인 대만 미디어아트예술가의 창작 방법, 작품 형식, 그리고 작품의 내용적 특성을 작품제작에서 사용된 미디어, 전통예술기반 작품 제작 방법들, 디지털 방식과 표현방법, 관객과의 상호작용 방식 및 소통 방법에 따라 분류하고 그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대만의 미디어아트의 발전은 내용적으로 섬이라는 지리적 특수성과 식민지 기간을 통한 문화적 혼재 기간을 통해 연대별로 전통 인문 역사와 개인의 다양한문맥들을 반영한다. 이런 점에서 대만의 미디어아트는 다 문화적 색채가 포함된 다양하고 자유로운 주제의 유형들로 형성되어 왔으며, 환경적으로는 대만이 반도체강국이라는 특성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영향으로 2010년대 이후의 미디어아트 작품들은 대부분 몰입형 환경, 상호 작용적 설치, 데이터 처리, 가상현실 등의 기술로 제작된 통감각적인 콘텐츠나 미디어 스펙터클 환경의 다학제적 형태들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만의 현대 예술과 동서양 문화예술의 교류적 관점에서대만 미디어아트의 국제적 전시나 소통에 대한 이해의 기반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technology since 2000 has influenced Taiwanese culture and art.
Based on traditional Taiwanese culture and art, video media,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ing the Internet, and various interactive expression media have created new visual language and figurative meanings for Taiwanese contemporary art. This study was aimed to introduce the development chronicle of Taiwan's media art which has been going on for 20 years starting from the domestic inflow of artists who studied in foreign countries in the 1980s, an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by types of Taiwan's media art.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on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documents from art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museums, media art exhibitions, and government cultural polic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Taiwan media artists' works according to the media used for the production of the works, traditional art making methods, digital applications and expressions, the ways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the viewer. With the result of analysis, the development of Taiwan's media art reflects various cultural contexts with private themes and the traditional humanistic history chronologically through the mixed cultural period of geographical specificity like an island and several colonial times. In this sense, Taiwan's media arts have been formed in various types of multi-cultural issues and liberal subject matters and environmentally, owing to the semiconductor and digital technology, most media arts since 2010 are shown as multidisciplinary forms consisting of immersive environment, interactive installation, data processing, synesthetic content, and media spectacle. This study also can be considered as the basis for the condition of the international exhibition and communication of media art from an exchange point of view of culture and arts in Taiwan and the East and West. KCI Citation Count: 0 2000년 이후 뉴미디어의 기술의 발전은 대만의 문화 예술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대만의 전통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영상미디어, 인터넷을 포함한 무선 통신, 그리고 다양한 인터렉티브 표현 미디어는 대만의 현대 예술에 새로운 시각 언어와 조형적 의미를 창출하였다. 이 연구는 대만 미디어아트가 1980년대에 외국에서 유학한 예술가의 국내 유입을 시작으로 최근 20년 동안 진행된 대만 미디어아트 발전 역사에 대하여 연대기적으로 소개하고, 대만 미디어아트의 유형별 특성을 밝혀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만 미디어아트의 발전 과정과 유형별 분석 연구를 위하여 예술 관련된 교육 기관과 단체, 미술관, 전시회, 그리고 정부의 미디어아트 관련 자료나 정책을 분석하고 대표적인 대만 미디어아트 예술가의 창작 방법, 작품 형식, 그리고 작품의 내용적 특성을 작품제작에서 사용된 미디어, 전통예술 기반 작품 제작 방법들, 디지털 방식과 표현방법, 관객과의 상호작용 방식 및 소통 방법에 따라 분류하고 그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대만의 미디어아트의 발전은 내용적으로 섬이라는 지리적 특수성과 식민지 기간을 통한 문화적 혼재 기간을 통해 연대별로 전통 인문 역사와 개인의 다양한 문맥들을 반영한다. 이런 점에서 대만의 미디어아트는 다 문화적 색채가 포함된 다양하고 자유로운 주제의 유형들로 형성되어 왔으며, 환경적으로는 대만이 반도체강국이라는 특성과 디지털 테크놀로지 영향으로 2010년대 이후의 미디어아트 작품들은 대부분 몰입형 환경, 상호 작용적 설치, 데이터 처리, 가상현실 등의 기술로 제작된 통감각적인 콘텐츠나 미디어 스펙터클 환경의 다학제적 형태들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만의 현대 예술과 동서양 문화예술의 교류적 관점에서 대만 미디어아트의 국제적 전시나 소통에 대한 이해의 기반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technology since 2000 has influenced Taiwanese culture and art. Based on traditional Taiwanese culture and art, video media,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ing the Internet, and various interactive expression media have created new visual language and figurative meanings for Taiwanese contemporary art. This study was aimed to introduce the development chronicle of Taiwan's media art which has been going on for 20 years starting from the domestic inflow of artists who studied in foreign countries in the 1980s, an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by types of Taiwan's media art.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on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documents from art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museums, media art exhibitions, and government cultural polic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Taiwan media artists' works according to the media used for the production of the works, traditional art making methods, digital applications and expressions, the ways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the viewer. With the result of analysis, the development of Taiwan's media art reflects various cultural contexts with private themes and the traditional humanistic history chronologically through the mixed cultural period of geographical specificity like an island and several colonial times. In this sense, Taiwan's media arts have been formed in various types of multi-cultural issues and liberal subject matters and environmentally, owing to the semiconductor and digital technology, most media arts since 2010 are shown as multidisciplinary forms consisting of immersive environment, interactive installation, data processing, synesthetic content, and media spectacle. This study also can be considered as the basis for the condition of the international exhibition and communication of media art from an exchange point of view of culture and arts in Taiwan and the East and West. |
| Author | 윤제이 김규정 Kim¸ Kyu Jung Yueh¸ Chieh |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김규정 – sequence: 2 fullname: Kim¸ Kyu Jung – sequence: 3 fullname: 윤제이 – sequence: 4 fullname: Yueh¸ Chieh |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5398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 BookMark | eNo9zj9PwkAYBvCLwURERieXLg4Orfe3dzcioBKJJMp-KcdhmiqYNg5uDEyEwQHEgcHNxUSNmGDiJ6Ltd7AR4vS8wy_P-2yDXLfXNQDsIuhQjiU9PLs8qpQcjB3q4A2QxxwRm0lJciCPmBS2cAnbAsUo8luQUk44pzIPRDzqxy8jK35bxONx8jhPJoN0uLCS2XP6NFl-_ljp8DsZfCTTB2s576eTmZVM35dfrztgs-NdR6a4zgJoHleb5VO73jiplUt1OxBU2tSlWHY8BCVt6bbraSKh4BRpCiGhxNUQSqMNhEIjYlhbaipcDllLeIwZzEkBHKxqu2FHBdpXPc__y6ueCkJVumjWlBQuhJxldn9t70L_xrR9T91mhxfeq_NGpYqQyF5Cmbm9lQv8KPon2TIsslW_swVwdw |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 DBID | HZB Q5X DBRKI TDB ACYCR |
| DOI | 10.47294/KSBDA.22.4.2 |
| DatabaseName |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
| DatabaseTitleList |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 DocumentTitleAlternate | 대만 미디어아트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in Taiwan |
| DocumentTitle_FL |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in Taiwan |
| EISSN | 2713-5993 |
| EndPage | 28 |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9860075 NODE11834309 3902800 |
| GroupedDBID |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
| ID | FETCH-LOGICAL-k849-46429fa1094bcd6ac3908741c4003436c009ece008c13e5d9c486705b8a55e273 |
| ISSN | 1598-8635 |
| IngestDate | Tue Nov 21 21:42:45 EST 2023 Thu Mar 13 19:39:46 EDT 2025 Tue Aug 13 02:12:08 EDT 2024 |
| IsPeerReviewed | false |
| IsScholarly | false |
| Issue | 4 |
| Keywords | 뉴미디어 문화 예술 형식 테크놀러지아트 culture and art form Taiwan technology art 대만 new media media art 미디어아트 |
| Language | Korean |
| LinkModel | OpenURL |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849-46429fa1094bcd6ac3908741c4003436c009ece008c13e5d9c486705b8a55e273 |
| Notes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64&idx=1924 |
| PageCount | 14 |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9860075 nurimedia_primary_NODE11834309 kiss_primary_3902800 |
| PublicationCentury | 2000 |
| PublicationDate | 20210831 |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1-08-31 |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8 year: 2021 text: 20210831 day: 31 |
| PublicationDecade | 2020 |
| PublicationTitle | 기초조형학연구 |
| PublicationTitleAlternate | 기초조형학연구 |
| PublicationYear | 2021 |
| Publisher | 한국기초조형학회 |
| Publisher_xml | – name: 한국기초조형학회 |
| SSID | ssib044737749 ssib001148679 ssib009282594 |
| Score | 1.781065 |
| Snippet | 2000년 이후 뉴미디어의 기술의 발전은 대만의 문화 예술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대만의 전통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영상미디어, 인터넷을 포함한 무선 통신, 그리고... |
| SourceID | nrf nurimedia kiss |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 StartPage | 15 |
| SubjectTerms | culture and art form media art new media Taiwan technology art 뉴미디어 대만 문화 예술 형식 미디어아트 예술일반 테크놀러지아트 |
| Title | 대만 미디어아트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902800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3430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53985 |
| Volume | 22 |
| hasFullText | 1 |
| inHoldings | 1 |
| isFullTextHit | |
| isPrint | |
| ispartofPNX | 기초조형학연구, 2021, 22(4), 106, pp.15-28 |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713-5993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7749 issn: 1598-8635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B9qPehFlCrWjxLEnJasyWSSnTkm2ZTa0nqwQj2FfEzaurArtXvQg_TQU-nBQ2s99ODNi6BihQr-Rd3d_8H3JtlsEEUrLNmXN_Nm3puXZH4vZN4Qcl9aiAoybrA4hwDFzmKDZ6lruDnLaZ63ZMxx7fDyirvwhC2uOWtTF-zaV0v97aSZvvrtupL_8SrwwK-4SvYcnq0aBQbQ4F84gofh-E8-1kNf5wF-rACE1wK6oah53edICIa_MNCFq_sF4egciLbOPajTUKxA90xkCY7FIRTYuo8tFbUEVgIh31K1W7owG6oWUx23UUgEjbLQN1WZo5c5HZ-NNcX-VGmgJDkSnqU4VddFW-IPTcFloRhC9QtEC3UPlfogRznuDB1QtGvpZb-xqB5jYiJamMrGEkpUtFEbyp_25UYpG2xsAl0Klu9DaPWCt7yCK7vHKrbPaSEQHvirPicIbnC3yKrSlIpHIbY3HFFs7jieSCit3TCsNitYTg1fFGvhf525GAQ5YO780mO_7TUpbbImnUzR1YeTK4_aIYSENrNx0epFClMZ7ley_DqcYGBLJVGszgWuTp48dBlr2QD5hcojXBpW5J5VKjyoKwAwBaKYFwC7uluA1i51-7jlBDy3ahBs9Sq5UsZOmlfcCNfIVKc3Q_hgf2fwYV8bfDodHBwM354MD3dHe6fa8Pj96N3h2dcf2mjv-3D3y_DojXZ2sjM6PNaGR5_Pvn28Tlbnw9VgwSi3AzE6nAmDQaQs8tgyBUvSzI1TW5gc8HDKMMeS7aZgqkwlYNrUsqWTiRTHwXQSHjuOBJR-g0x3e115k2gScKkEvpk5jGUiSbI8yWPbzhgMj2zRWTKDdkfPi4Qvka1SHJmz5B6MQ9RJNyNMyo7_672osxVB6PkwEhy3enBmyVw1TFUDdbfd-luF2-Ty5Lq-Q6a3t_ryLiDf7WROefonWKmGSA |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C%80%EB%A7%8C+%EB%AF%B8%EB%94%94%EC%96%B4%EC%95%84%ED%8A%B8+%EC%9C%A0%ED%98%95%EA%B3%BC+%ED%8A%B9%EC%84%B1%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rft.jtitle=%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C%97%B0%EA%B5%AC&rft.au=%EA%B9%80%EA%B7%9C%EC%A0%95%28Kim%C2%B8+Kyu+Jung%29&rft.au=%EC%9C%A4%EC%A0%9C%EC%9D%B4%28Yueh%C2%B8+Chieh%29&rft.date=2021-08-31&rft.pub=%ED%95%9C%EA%B5%AD%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D%9A%8C&rft.issn=1598-8635&rft.eissn=2713-5993&rft.volume=22&rft.issue=4&rft.spage=15&rft.epage=28&rft_id=info:doi/10.47294%2FKSBDA.22.4.2&rft.externalDocID=NODE11834309 |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635&client=summon |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635&client=summon |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635&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