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북미술가의 북한에서 작품 및 활동 연구 -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따른 작품의 주제별 연구를 중심으로

월북미술가는 1940년대 중후반 해방공간의 시기와 6.25 전쟁 기간에 거쳐 북한으로 들어간 미술가를 말한다. 이들은 남한에서 북한으로 월북한 후 미술가들을 교육하고 작품 제작을 하는 등 북한미술을 형성하고 발전시키는데 공헌하였다. 월북미술가들이 1988년 해금되면서 한국에서 월북미술가에 관한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 후 세계적으로 이념의 대립시대가 끝나가는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남한과 북한의 정치적 이념적 대립이 완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월북미술가와 북한미술에 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진행된다. 본 연구는 북한에서 미술 기반을 형성하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19; no. 4; pp. 269 - 283
Main Authors 오병희, Oh Byung H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08.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19.4.20

Cover

Abstract 월북미술가는 1940년대 중후반 해방공간의 시기와 6.25 전쟁 기간에 거쳐 북한으로 들어간 미술가를 말한다. 이들은 남한에서 북한으로 월북한 후 미술가들을 교육하고 작품 제작을 하는 등 북한미술을 형성하고 발전시키는데 공헌하였다. 월북미술가들이 1988년 해금되면서 한국에서 월북미술가에 관한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 후 세계적으로 이념의 대립시대가 끝나가는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남한과 북한의 정치적 이념적 대립이 완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월북미술가와 북한미술에 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진행된다. 본 연구는 북한에서 미술 기반을 형성하였고 작품 활동을 한 월북미술가의 창작한 작품을 시기별로 살펴보고 주제별로 연구하였다. 냉전체제에서 소련, 중국, 북한 등 사회주의 국가의 예술 창작의 기본 방침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이다. 북한미술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근간으로 북한 당국의 지침에 따르는 사회주의 노선에 근거를 둔 작품이다. 이러한 방침에 따라 월북미술가와 북한미술가들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바탕을 둔 기법과 정부가 제시한 주제의 작품을 그린다. 따라서 북한당국의 정책에 따른 월북미술가들의 작품은 시기별로 내용별로 구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미술사』를 근거로 시기 구분을 하였으며, 월북미술가들은 제1시기에 인민군을 묘사하거나, 김일성의 항일투쟁의 사적지, 북한 사회주의 경제건설에 관한 내용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제2시기는 사회주의 체제에서 인민의 행복을 주제로 한 작품을 그린다. 제3시기는 사회주의 경제건설을 위해 농민과 노동자들이 활기차게 생산을 하는 사회주의 리얼리즘 계열의 작품을 그렸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시기별 특징을 지닌 월북미술가들의 작품을 주제별로 다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류한 주제별 항목은 사회주의 체제를 지지하는 작품, 사회주의 경제의 기반인 노동자, 농민을 그린 작품, 사회주의 사상을 담은 풍경화, 풍속화 등 3가지이며 그 안에 구체적인 주제로 다시 분류하여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월북미술가들의 작품에 관한 주제별 연구를 통해 월북미술가와 북한미술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연구토대가 될 것이다. South-North Korean artists are Korean artists who have migrated from South Korea to North Korea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1940s and the Korean War. Many of these artists have contributed to North Korean art as both artists and educators. In the Republic of Korea(South Korea), studying South-North Korean artists was prohibited until 1988. Once the ban was lifted and the political antagonism between the two Koreas abated, lively research on South-North Korean artists and North Korean art followed, from many angles. This study looks into South-North Korean artists, whose contributions to North Korean art were considerable, by period and theme. During the Cold War, Socialist Realism was a fundamental, guiding principle of art-making in Socialist nations such as the Soviet Union,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n art is based on the Socialist route per government guidelines. Therefore, North Korean artists, including South-North Korean artists, are notable for art of subject matter and techniques based on Socialist Realism. Art by South-North Korean artists can be grouped by period and contents, as influenced by the government’s policies. In the first period, guided by Chosun Art History, South-North Korean artists would either depict soldiers or sites of Kim Il-Sung’s battles against the Japanese army, or work with the theme of North Korea’s Socialist economic development. In the second period artists’s main theme was the people’s happiness under the Socialist system. The third period can be characterized by a Socialist Realism in which productive farmers and urban laborers could be seen hard at work. This study investigates such South-North Korean art by theme. I have identified the following three broad categories: art about the Socialist system, art depicting rural and urban laborers, and landscapes or genre paintings expressing Socialist thought; and I have also identified subcategories. This theme-based research on South-North Korean artists’ practices will contribute to our systematic understanding of South-North Korean artists and North Korean art.
AbstractList 월북미술가는 1940년대 중후반 해방공간의 시기와 6.25 전쟁 기간에 거쳐 북한으로 들어간 미술가를 말한다. 이들은 남한에서 북한으로 월북한 후 미술가들을 교육하고 작품 제작을 하는 등 북한미술을 형성하고 발전시키는데 공헌하였다. 월북미술가들이 1988년 해금되면서 한국에서 월북미술가에 관한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 후세계적으로 이념의 대립시대가 끝나가는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남한과 북한의 정치적 이념적 대립이 완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월북미술가와 북한미술에 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진행된다. 본 연구는 북한에서 미술 기반을형성하였고 작품 활동을 한 월북미술가의 창작한 작품을 시기별로 살펴보고 주제별로 연구하였다. 냉전체제에서 소련, 중국, 북한 등 사회주의 국가의 예술 창작의 기본 방침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이다. 북한미술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근간으로 북한 당국의 지침에 따르는 사회주의 노선에 근거를 둔 작품이다. 이러한 방침에따라 월북미술가와 북한미술가들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바탕을 둔 기법과 정부가 제시한 주제의 작품을 그린다. 따라서 북한당국의 정책에 따른 월북미술가들의 작품은 시기별로 내용별로 구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미술사』를 근거로 시기 구분을 하였으며, 월북미술가들은 제1시기에 인민군을 묘사하거나, 김일성의항일투쟁의 사적지, 북한 사회주의 경제건설에 관한 내용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제2시기는 사회주의 체제에서 인민의 행복을 주제로 한 작품을 그린다. 제3시기는 사회주의 경제건설을 위해 농민과 노동자들이 활기차게 생산을 하는 사회주의 리얼리즘 계열의 작품을 그렸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시기별 특징을 지닌 월북미술가들의 작품을 주제별로 다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류한 주제별 항목은 사회주의 체제를 지지하는 작품, 사회주의 경제의 기반인 노동자, 농민을 그린 작품, 사회주의 사상을 담은 풍경화, 풍속화 등 3가지이며 그 안에구체적인 주제로 다시 분류하여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월북미술가들의 작품에 관한 주제별 연구를 통해 월북미술가와 북한미술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연구토대가 될 것이다. South-North Korean artists are Korean artists who have migrated from South Korea to NorthKorea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1940s and the Korean War. Many of these artists havecontributed to North Korean art as both artists and educators. In the Republic of Korea(SouthKorea), studying South-North Korean artists was prohibited until 1988. Once the ban was liftedand the political antagonism between the two Koreas abated, lively research on South-NorthKorean artists and North Korean art followed, from many angles. This study looks intoSouth-North Korean artists, whose contributions to North Korean art were considerable, by periodand theme. During the Cold War, Socialist Realism was a fundamental, guiding principle ofart-making in Socialist nations such as the Soviet Union,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n art is based on the Socialist route pergovernment guidelines. Therefore, North Korean artists, including South-North Korean artists, arenotable for art of subject matter and techniques based on Socialist Realism. Art by South-NorthKorean artists can be grouped by period and contents, as influenced by the government’s policies. In the first period, guided by Chosun Art History, South-North Korean artists would either depictsoldiers or sites of Kim Il-Sung’s battles against the Japanese army, or work with the theme ofNorth Korea’s Socialist economic development. In the second period artists’s main theme was thepeople’s happiness under the Socialist system. The third period can be characterized by aSocialist Realism in which productive farmers and urban laborers could be seen hard at work. Thisstudy investigates such South-North Korean art by theme. I have identified the following threebroad categories: art about the Socialist system, art depicting rural and urban laborers, andlandscapes or genre paintings expressing Socialist thought; and I have also identifiedsubcategories. This theme-based research on South-North Korean artists’ practices will contributeto our systematic understanding of South-North Korean artists and North Korean art. KCI Citation Count: 1
월북미술가는 1940년대 중후반 해방공간의 시기와 6.25 전쟁 기간에 거쳐 북한으로 들어간 미술가를 말한다. 이들은 남한에서 북한으로 월북한 후 미술가들을 교육하고 작품 제작을 하는 등 북한미술을 형성하고 발전시키는데 공헌하였다. 월북미술가들이 1988년 해금되면서 한국에서 월북미술가에 관한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 후 세계적으로 이념의 대립시대가 끝나가는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남한과 북한의 정치적 이념적 대립이 완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월북미술가와 북한미술에 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진행된다. 본 연구는 북한에서 미술 기반을 형성하였고 작품 활동을 한 월북미술가의 창작한 작품을 시기별로 살펴보고 주제별로 연구하였다. 냉전체제에서 소련, 중국, 북한 등 사회주의 국가의 예술 창작의 기본 방침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이다. 북한미술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근간으로 북한 당국의 지침에 따르는 사회주의 노선에 근거를 둔 작품이다. 이러한 방침에 따라 월북미술가와 북한미술가들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바탕을 둔 기법과 정부가 제시한 주제의 작품을 그린다. 따라서 북한당국의 정책에 따른 월북미술가들의 작품은 시기별로 내용별로 구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미술사』를 근거로 시기 구분을 하였으며, 월북미술가들은 제1시기에 인민군을 묘사하거나, 김일성의 항일투쟁의 사적지, 북한 사회주의 경제건설에 관한 내용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제2시기는 사회주의 체제에서 인민의 행복을 주제로 한 작품을 그린다. 제3시기는 사회주의 경제건설을 위해 농민과 노동자들이 활기차게 생산을 하는 사회주의 리얼리즘 계열의 작품을 그렸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시기별 특징을 지닌 월북미술가들의 작품을 주제별로 다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류한 주제별 항목은 사회주의 체제를 지지하는 작품, 사회주의 경제의 기반인 노동자, 농민을 그린 작품, 사회주의 사상을 담은 풍경화, 풍속화 등 3가지이며 그 안에 구체적인 주제로 다시 분류하여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월북미술가들의 작품에 관한 주제별 연구를 통해 월북미술가와 북한미술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연구토대가 될 것이다. South-North Korean artists are Korean artists who have migrated from South Korea to North Korea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1940s and the Korean War. Many of these artists have contributed to North Korean art as both artists and educators. In the Republic of Korea(South Korea), studying South-North Korean artists was prohibited until 1988. Once the ban was lifted and the political antagonism between the two Koreas abated, lively research on South-North Korean artists and North Korean art followed, from many angles. This study looks into South-North Korean artists, whose contributions to North Korean art were considerable, by period and theme. During the Cold War, Socialist Realism was a fundamental, guiding principle of art-making in Socialist nations such as the Soviet Union,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n art is based on the Socialist route per government guidelines. Therefore, North Korean artists, including South-North Korean artists, are notable for art of subject matter and techniques based on Socialist Realism. Art by South-North Korean artists can be grouped by period and contents, as influenced by the government’s policies. In the first period, guided by Chosun Art History, South-North Korean artists would either depict soldiers or sites of Kim Il-Sung’s battles against the Japanese army, or work with the theme of North Korea’s Socialist economic development. In the second period artists’s main theme was the people’s happiness under the Socialist system. The third period can be characterized by a Socialist Realism in which productive farmers and urban laborers could be seen hard at work. This study investigates such South-North Korean art by theme. I have identified the following three broad categories: art about the Socialist system, art depicting rural and urban laborers, and landscapes or genre paintings expressing Socialist thought; and I have also identified subcategories. This theme-based research on South-North Korean artists’ practices will contribute to our systematic understanding of South-North Korean artists and North Korean art.
Author 오병희
Oh Byung Hee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오병희
– sequence: 2
  fullname: Oh Byung Hee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8251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jE1LAlEYhS9RkJXbNm1m06LF2NyvuXOXVlaSFJT74c44E4Ol4dCiXYWLoMAMwz6mMNKdkBCFC39R9_ofGlNanfdwnveZA9OlcskDYBEaKcIQJ6s7B2sb6RTkKZJCxhRIIAaxTjnH0yABKbd0y8R0FiTDMHAMQhhmjPAEuFHPDfl9IT_66qr10ztXLw9a3If3kWreqmqkqdf68O5Kk72aNnyMZO1RU83ez1dX0zV12R0-3aj3QfykWhejrq7b4y47A002erLTnxhG4tHUiuRndeIYQapdV9ddFQ3kW7QAZnxxFHrJSc6D_GYmv76t5_a2suvpnF60CNexWxCeQAULYY4EZyZlPnUR9ZyCgL4hkE-IhU3LE4y6roUdDD1DOA4j0DRdE-F5sDLWliq-XXQDuyyCvzws28WKnd7PZ23MTANBGrPLE_a0Ehx7hUDYJ_EhKmf27t5GBkILY0p4zC2NuWIQhv8INhFFCOJfy7-pcg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ACYCR
DOI 10.47294/KSBDA.19.4.20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월북미술가의 북한에서 작품 및 활동 연구 -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따른 작품의 주제별 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t and Activity of South - North Korean artists - focusing on Socialist Realism
DocumentTitle_FL A Study on the Art and Activity of South - North Korean artists - focusing on Socialist Realism
EISSN 2713-5993
EndPage 283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3760215
NODE11833549
3625221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ID FETCH-LOGICAL-k849-3cdaea2d82392a97657f5c25ebda1f0a2f448368ea75cc83b31e0abb74166c623
ISSN 1598-8635
IngestDate Tue Nov 21 21:39:43 EST 2023
Thu Mar 13 19:39:46 EDT 2025
Tue Aug 13 02:12:06 EDT 2024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Keywords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South-North Korean artist
조선역대미술가편람
6.25 전쟁
Korean War
North Korean art
A Guide
Socialist Realism
Chosun Artists
Korean Liberation
The History of
해방공간
월북미술가
북한미술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49-3cdaea2d82392a97657f5c25ebda1f0a2f448368ea75cc83b31e0abb74166c623
Note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41&idx=1099
PageCount 15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3760215
nurimedia_primary_NODE11833549
kiss_primary_362522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808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8-08-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18
  text: 201808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Year 2018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기초조형학회
SSID ssib044737749
ssib001148679
ssib009282594
Score 1.6777517
Snippet 월북미술가는 1940년대 중후반 해방공간의 시기와 6.25 전쟁 기간에 거쳐 북한으로 들어간 미술가를 말한다. 이들은 남한에서 북한으로 월북한 후 미술가들을 교육하고 작품 제작을 하는 등 북한미술을 형성하고 발전시키는데 공헌하였다. 월북미술가들이 1988년 해금되면서 한국에서...
월북미술가는 1940년대 중후반 해방공간의 시기와 6.25 전쟁 기간에 거쳐 북한으로 들어간 미술가를 말한다. 이들은 남한에서 북한으로 월북한 후 미술가들을 교육하고 작품 제작을 하는 등 북한미술을 형성하고 발전시키는데 공헌하였다. 월북미술가들이 1988년 해금되면서 한국에서...
SourceID nrf
nurimedia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269
SubjectTerms 6.25 전쟁
A Guide
Chosun Artists
Korean Liberation
Korean War
North Korean art
Socialist Realism
South-North Korean artist
The History of
북한미술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예술일반
월북미술가
조선역대미술가편람
해방공간
Title 월북미술가의 북한에서 작품 및 활동 연구 -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따른 작품의 주제별 연구를 중심으로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625221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3354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82515
Volume 19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기초조형학연구, 2018, 19(4), 88, pp.269-283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Pb9MwFLe2cYALAg3E-DNFCJ-qjCZxEvuYpJkGiO3AkHaLkjQFVKlDYzvAATG0w6RNGkNDY1DQENttEpUQaId-osX9DjzbWRegB8altZ-ff-_ZL7bfi2wHoVuuaTlxPavqtuWmOiF1GFKNKtVjo2FasWXV3UwcFL4_7Uw9JHfn7Lmh4W5p19LSYjKRvhh4ruR_rAo0sKs4JXsKy_ZBgQBpsC_8goXh959sjMMAMx8zgkMf-w54hSLhTWKfiiJKsVfFoYf9qtjQIJhrmNFKiRvyNmaBLHMxk0yUAKUiSSFmiskEMFUPoCYrksZkRR_ykK4UEL4SaGMvqOiSSE1IywoeplKSZ2E_6KsjKYBqlLkhAQ0hg7iBbgNFagMtFwIViQ7QudzoEhTIU7r7FjR3gO5lMYFQRGAqpZQugUSCrAHpsocvIajEAh5S6ABsgiJbAD1e9Dv7W_DxAJAlVHaB1LJoU63EMvO44j-HuRpch6z88sagx2-ji-FWMrOSUjulkoXtygsYozp11BUw_RWOlUYyKS9X6jM5fy6jBCIuAg__vQd-zZsw2ARRJxb_vJocnB9w341hdMZ0wXMVG2dfhifOuCFvc-znmTgmfTL7E-JaEHsweaFxobS6VVWKv_2bcHCYIJ56Bg5gawH8xrOtJfHxC5hBS87g7AV0vojiNE8NyYtoqDk_itb5x63853L-7ZCv7h51XvFP7zXI9961-fYbvtLW-OfN3ttVLe9saL2ddr6xo_HtztGPA03X-OuD3od1_rULlfjussjztT2Vz_e7Wr7VyfcPCwQBLIp22_n3lQJDMPG9Tb52wNvd_Ev7EpqdDGeDKb342InepITpVlqPs9isUxMClhhiBNtt2KlpZ0kdps1qbDYIoZZDs9i105RaiWVk1ThJREDlpBDDXEYjrflWdgVplkMc0zGJTdIYVmQzsTOnkWWMpEa9Ae7EGBoVfRk9VdfZRIUVx9BN6NuomT6JxJXz4v_RfNRciCCwvhOJvXMQHYyh8X7X9wGmZ2qhYYjTm4RdHQx-DZ07efyvo5HFhaXsBnjzi8m4fGh-AVMN0sE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B%94%EB%B6%81%EB%AF%B8%EC%88%A0%EA%B0%80%EC%9D%98+%EB%B6%81%ED%95%9C%EC%97%90%EC%84%9C+%EC%9E%91%ED%92%88+%EB%B0%8F+%ED%99%9C%EB%8F%99+%EC%97%B0%EA%B5%AC+-+%EC%82%AC%ED%9A%8C%EC%A3%BC%EC%9D%98%EC%A0%81+%EC%82%AC%EC%8B%A4%EC%A3%BC%EC%9D%98%EB%A5%BC+%EB%94%B0%EB%A5%B8+%EC%9E%91%ED%92%88%EC%9D%98+%EC%A3%BC%EC%A0%9C%EB%B3%84+%EC%97%B0%EA%B5%AC%EB%A5%BC+%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C%97%B0%EA%B5%AC&rft.au=%EC%98%A4%EB%B3%91%ED%9D%AC&rft.au=Oh+Byung+Hee&rft.date=2018-08-31&rft.pub=%ED%95%9C%EA%B5%AD%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D%9A%8C&rft.issn=1598-8635&rft.volume=19&rft.issue=4&rft.spage=269&rft_id=info:doi/10.47294%2FKSBDA.19.4.20&rft.externalDocID=362522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63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