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신러닝을 이용한 사용자 행동 인식 기반의 PIN 입력 기법 연구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에 머신러닝을 사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우리가 제안하는 기법은 사용자가 PIN을 입력할 때, PIN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스크린을 터치하는 시간 간격 및 위치를 인증 정보로 수집하여 식별자로 사용하는 기법이다. 먼저 사용자등록 단계에서 다수의 사용자 터치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수집 한 다음, 그 데이터로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모델을 제작한다. 그리고 사용자인증 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PIN을 비교하고, PIN이 일치하면 사용자의 터치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모델에 입력하여 기존에...
Saved in:
| Published in | 정보처리학회논문지.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Vol. 7; no. 5; pp. 127 - 136 |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정보처리학회
31.05.2018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287-5891 2734-049X |
| DOI | 10.3745/KTCCS.2018.7.5.127 |
Cover
| Abstract |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에 머신러닝을 사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우리가 제안하는 기법은 사용자가 PIN을 입력할 때, PIN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스크린을 터치하는 시간 간격 및 위치를 인증 정보로 수집하여 식별자로 사용하는 기법이다. 먼저 사용자등록 단계에서 다수의 사용자 터치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수집 한 다음, 그 데이터로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모델을 제작한다. 그리고 사용자인증 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PIN을 비교하고, PIN이 일치하면 사용자의 터치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모델에 입력하여 기존에 수집한 데이터와 거리를 비교하여, 그에 따라 인증 성공 여부가 결정된다. 우리는 사용성 실험과 보안성 실험을 통하여 이 기법을 사용하는데 큰 불편이 없다는 것(FRR : 0%)과, 이전의 사용되고 있던 PIN 입력 기법보다 안전하다는 것(FAR : 0%)을 보였고, 그에 따라 충분히 사용될 수 있는 기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숄더 서핑 공격 실험을 통하여 PIN이 유출되어도 보안 사고가 발생하기 힘들다는 것(FAR : 5%)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PIN entry method that combines with machine learning technique on smartphone. We use not only a PIN but also touch time intervals and locations as factors to identify whether the user is correct or not. In the user registration phase, a remote server was used to train/create a machine learning model using data that collected from end-user device (i.e. smartphone). In the user authentication phase, the pre-trained model and the saved PIN was used to decide the authentication success or failure. We examined that there is no big inconvenience to use this technique (FRR: 0%) and more secure than the previous PIN entry techniques (FAR : 0%), through usability and security experiments, as a result we could confirm that this technique can be used sufficiently. In addition, we examined that a security incident is unlikely to occur (FAR: 5%) even if the PIN is leaked through the shoulder surfing attack experiments. |
|---|---|
| AbstractList |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에 머신러닝을 사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우리가 제안하는 기법은 사용자가 PIN을 입력할 때, PIN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스크린을 터치하는 시간 간격 및 위치를 인증 정보로 수집하여 식별자로 사용하는 기법이다. 먼저 사용자등록 단계에서 다수의 사용자 터치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수집 한 다음, 그 데이터로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모델을 제작한다. 그리고 사용자인증 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PIN을 비교하고, PIN이 일치하면 사용자의 터치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모델에 입력하여 기존에 수집한 데이터와 거리를 비교하여, 그에 따라 인증 성공 여부가 결정된다. 우리는 사용성 실험과 보안성 실험을 통하여 이 기법을 사용하는데 큰 불편이 없다는 것(FRR : 0%)과, 이전의 사용되고 있던 PIN 입력 기법보다 안전하다는 것(FAR : 0%)을 보였고, 그에 따라 충분히 사용될 수 있는 기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숄더 서핑 공격 실험을 통하여 PIN이 유출되어도 보안 사고가 발생하기 힘들다는 것(FAR : 5%)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PIN entry method that combines with machine learning technique on smartphone. We use not only a PIN but also touch time intervals and locations as factors to identify whether the user is correct or not. In the user registration phase, a remote server was used to train/create a machine learning model using data that collected from end-user device (i.e. smartphone). In the user authentication phase, the pre-trained model and the saved PIN was used to decide the authentication success or failure. We examined that there is no big inconvenience to use this technique (FRR: 0%) and more secure than the previous PIN entry techniques (FAR : 0%), through usability and security experiments, as a result we could confirm that this technique can be used sufficiently. In addition, we examined that a security incident is unlikely to occur (FAR: 5%) even if the PIN is leaked through the shoulder surfing attack experiments.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에 머신러닝을 사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우리가 제안하는 기법은 사용자가 PIN을 입력할 때, PIN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스크린을 터치하는 시간 간격 및 위치를 인증 정보로 수집하여 식별자로 사용하는 기법이다. 먼저 사용자 등록 단계에서 다수의 사용자 터치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수집 한 다음, 그 데이터로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모델을 제작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증 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PIN을 비교하고, PIN이 일치하면 사용자의 터치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모델에 입력하여 기존에 수집한 데이터와 거리를 비교하여, 그에 따라 인증 성공 여부가 결정된다. 우리는 사용성 실험과 보안성 실험을 통하여 이 기법을 사용하는데 큰 불편이 없다는 것(FRR : 0%)과, 이전의 사용되고 있던 PIN 입력 기법보다 안전하다는 것(FAR : 0%)을 보였고, 그에 따라 충분히 사용될 수 있는 기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숄더 서핑 공격 실험을 통하여 PIN이 유출되어도 보안 사고가 발생하기 힘들다는 것(FAR : 5%)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PIN entry method that combines with machine learning technique on smartphone. We use not only a PIN but also touch time intervals and locations as factors to identify whether the user is correct or not. In the user registration phase, a remote server was used to train/create a machine learning model using data that collected from end-user device (i.e. smartphone). In the user authentication phase, the pre-trained model and the saved PIN was used to decide the authentication success or failure. We examined that there is no big inconvenience to use this technique (FRR: 0%) and more secure than the previous PIN entry techniques (FAR : 0%), through usability and security experiments, as a result we could confirm that this technique can be used sufficiently. In addition, we examined that a security incident is unlikely to occur (FAR: 5%) even if the PIN is leaked through the shoulder surfing attack experiments. KCI Citation Count: 5 In this paper, we propose a PIN entry method that combines with machine learning technique on smartphone. We use not only a PIN but also touch time intervals and locations as factors to identify whether the user is correct or not. In the user registration phase, a remote server was used to train/create a machine learning model using data that collected from end-user device (i.e. smartphone). In the user authentication phase, the pre-trained model and the saved PIN was used to decide the authentication success or failure. We examined that there is no big inconvenience to use this technique (FRR: 0%) and more secure than the previous PIN entry techniques (FAR : 0%), through usability and security experiments, as a result we could confirm that this technique can be used sufficiently. In addition, we examined that a security incident is unlikely to occur (FAR: 5%) even if the PIN is leaked through the shoulder surfing attack experiments.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에 머신러닝을 사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우리가 제안하는 기법은 사용자가 PIN을 입력할 때, PIN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스크린을 터치하는 시간 간격 및 위치를 인증 정보로 수집하여 식별자로 사용하는 기법이다. 먼저 사용자 등록 단계에서 다수의 사용자 터치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수집 한 다음, 그 데이터로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모델을 제작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증 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PIN을 비교하고, PIN이 일치하면 사용자의 터치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모델에 입력하여 기존에 수집한 데이터와 거리를 비교하여, 그에 따라 인증 성공 여부가 결정된다. 우리는 사용성 실험과 보안성 실험을 통하여 이 기법을 사용하는데 큰 불편이 없다는 것(FRR : 0%)과, 이전의 사용되고 있던 PIN 입력 기법보다 안전하다는 것(FAR : 0%)을 보였고, 그에 따라 충분히 사용될 수 있는 기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숄더 서핑 공격 실험을 통하여 PIN이 유출되어도 보안 사고가 발생하기 힘들다는 것(FAR : 5%)을 확인하였다. |
| Author | 양대헌 이경희 Kyunghee Lee Zayabaatar Dagvatur Rhongho Jang 정창훈 장룡호 Changhun Jung Daehun Nyang |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정창훈 – sequence: 2 fullname: Changhun Jung – sequence: 3 – sequence: 4 fullname: Zayabaatar Dagvatur – sequence: 5 fullname: 장룡호 – sequence: 6 fullname: Rhongho Jang – sequence: 7 fullname: 양대헌 – sequence: 8 fullname: Daehun Nyang – sequence: 9 fullname: 이경희 – sequence: 10 fullname: Kyunghee Lee |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4831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 BookMark | eNo90L1Kw1AUB_CLVLDWvoAuWRwcEu_N_cxYgh-1xYpmcLukTSKhNZXGxVV0kA66VKuY2kVQ6FBEoc_U3L6DsYrT_3DOj8PhLINc1I58AFYRNDAndLPi2PaRYUIkDG5QA5l8AeRNjokOiXWcy2pTcJ0KCy2BYhyHdYhMQpiJRB446dtEdYfpyyjtJiq50lTyqZ7eZ71nTV2OskoN7rTZ_U16-5iNMppo08k4HfdV0tcOyvuaGlynw9d586OnqYfx9Gu0AhYDtxX7xb8sAGd7y7F39Wptp2yXqnpTEKYT6BGTYigQwVhgWqcBd5ELuU-hb_HsZg8Jr85Yg2PXr_vYbWACuWUGbiAE8nEBbPyujTqBbDZC2XbDeZ60ZbMjS4dOWVoIU4xZZtd_bTOMz0MZeXFL7pUqtZ-vIZYBRhgWJHNr_y6WZ53w1O1cSEwtC1kMfwMe9oFz |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 DBID | HZB Q5X JDI ACYCR |
| DEWEY | 004 |
| DOI | 10.3745/KTCCS.2018.7.5.127 |
| DatabaseName | 한국학술정보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Open Acces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 DatabaseTitleList |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 Discipline | Computer Science |
| DocumentTitleAlternate | 머신러닝을 이용한 사용자 행동 인식 기반의 PIN 입력 기법 연구 A Study of User Behavior Recognition-Based PIN Entry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
| EISSN | 2734-049X |
| EndPage | 136 |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9135336 JAKO201816363646384 3599196 |
| GroupedDBID |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Q5X .UV JDI ACYCR |
| ID | FETCH-LOGICAL-k846-40d4253081433835b5f7a1a07e50e97287d18db66c73aebe3ac340792faf881e3 |
| ISSN | 2287-5891 |
| IngestDate | Sun Mar 09 07:51:12 EDT 2025 Fri Dec 22 11:58:39 EST 2023 Tue Oct 14 02:11:11 EDT 2025 |
| IsDoiOpenAccess | true |
| IsOpenAccess | true |
| IsPeerReviewed | false |
| IsScholarly | false |
| Issue | 5 |
| Language | Korean |
| LinkModel | OpenURL |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846-40d4253081433835b5f7a1a07e50e97287d18db66c73aebe3ac340792faf881e3 |
| Notes |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KISTI1.1003/JNL.JAKO201816363646384 |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816363646384&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 PageCount | 10 |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9135336 kisti_ndsl_JAKO201816363646384 kiss_primary_3599196 |
| PublicationCentury | 2000 |
| PublicationDate | 20180531 |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8-05-31 |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5 year: 2018 text: 20180531 day: 31 |
| PublicationDecade | 2010 |
| PublicationTitle | 정보처리학회논문지.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PublicationTitleAlternate |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KTCCS) |
| PublicationYear | 2018 |
| Publisher | 한국정보처리학회 |
| Publisher_xml | – name: 한국정보처리학회 |
| SSID | ssib012446218 ssib044742767 ssib013223550 ssib014210004 ssib058467651 ssib053377452 |
| Score | 1.6675485 |
| Snippet |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에 머신러닝을 사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우리가 제안하는 기법은 사용자가 PIN을 입력할 때, PIN 뿐만 아니라... In this paper, we propose a PIN entry method that combines with machine learning technique on smartphone. We use not only a PIN but also touch time intervals... |
| SourceID | nrf kisti kiss |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 StartPage | 127 |
| SubjectTerms | Authentication Protocol Machine Learning PIN Smartphone User Behavior Recognition 머신러닝 사용자 행동 인식 스마트폰 인증 프로토콜 컴퓨터학 핀 |
| Title | 머신러닝을 이용한 사용자 행동 인식 기반의 PIN 입력 기법 연구 |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599196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816363646384&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48317 |
| Volume | 7 |
| hasFullText | 1 |
| inHoldings | 1 |
| isFullTextHit | |
| isPrint | |
| ispartofPNX |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2018, 7(5), 068, pp.127-136 |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734-049X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2767 issn: 2287-5891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2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xNBFF9qvXhQlCrWj7KIcwqJu9mZ3TfH3U1CP2gVjFC8LLtJttRIKmkq6MGD6EF60Eu1iqm9CAo9FFHo39Rs_wffm91s06pQS2CYzLx5-95vZvLem8zOaNptGcax5JFd5C0zKnLggHOOW8VQWnFTcCvm6ua5-QV7-gGfXRSLY-PnR3YtrfWiUuP5X98rOU2vYhn2K70l-x89mzPFAsxj_2KKPYzpifqYVT3mAvOAVX0GmDeoRNaY61MGS2SFqjAFXshyHlcZl7mSVStMCiZ9VQdl1S6vw0yVSaOgqGwGUvGsMSlzVsMHywoWufTdUyJgKiEjklC4N7NQyPiBUEIbzBXHmpRRlJTKUUVYJ1h2MuSjob4-NZWKh2dlqlBLUFxtpUCqU6qcyyCFQjBPZZAgldp1GBgl9UDPU5yQ3CI4q4QWilDINIGaggBsEugQ6FRxBRggYIoBEJg0ah103MXIKsuI5D7x9CrqeShYvpX4YfgsjMKwF3ZxKi49pQNXR1sjdm6KHQppqtbU80dIbCZNpa1PG1iIBJX0Rxd2TBjuScimYj4EhoBXTgfyoUEpY3RcpFskU9ufljkWbURS1xkPjZiZntaQ-UNmekDNcVNrOZxOJZmr-_592iEJJackSnnT0XPNj_kbR042bzeWg6WVoN0NMH6bCSRdw2LZZ7SzZbTSdBXL_Ivq0D6QK2qXD30pWkhBdzm3NyYv079VuX3h3OHIJnevkTMGOyJ355XvbasbWnNo0vfqSLk7f6qGbhtGdasYx1Jwt4zuaKcbj7ij9YvahSyO1N30R-GSNtZemdDqg297yfr24MvOYL2f9F_pSf9n8un7wcZnPXm5g7lk651-8P7N4O1HrELSvr6_tzvY3Uz6mzpOUj3Zej3Y_qoKf2zoyYfd_V87l7V6rVr3p4vZtSnFNipU5EYT7bCFrj6n5ScRidgJzdBwWsJoSQcVbZrQjGy74Vgh_oRbYcPihiPLcRgDmC3rijbeWem0rmq6DEHypohFBMCjiEMzdBpxbBsxOBEYfFKbIDyCJ-nBOIElMNqU9qQ2pfAJOs3Vx8GsO3eXQMTADz8c7T22u4XAqb7_9xi4dhKi69q5w6lzQxvvdddaNzFK6EVTauj8BvcS04w |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A8%B8%EC%8B%A0%EB%9F%AC%EB%8B%9D%EC%9D%84+%EC%9D%B4%EC%9A%A9%ED%95%9C+%EC%82%AC%EC%9A%A9%EC%9E%90+%ED%96%89%EB%8F%99+%EC%9D%B8%EC%8B%9D+%EA%B8%B0%EB%B0%98%EC%9D%98+PIN+%EC%9E%85%EB%A0%A5+%EA%B8%B0%EB%B2%95+%EC%97%B0%EA%B5%AC&rft.jtitle=%EC%A0%95%EB%B3%B4%EC%B2%98%EB%A6%AC%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EC%BB%B4%ED%93%A8%ED%84%B0+%EB%B0%8F+%ED%86%B5%EC%8B%A0%EC%8B%9C%EC%8A%A4%ED%85%9C%2C+7%285%29&rft.au=%EC%A0%95%EC%B0%BD%ED%9B%88&rft.au=Zayabaatar+Dagvatur&rft.au=%EC%9E%A5%EB%A3%A1%ED%98%B8&rft.au=%EC%96%91%EB%8C%80%ED%97%8C&rft.date=2018-05-31&rft.pub=%ED%95%9C%EA%B5%AD%EC%A0%95%EB%B3%B4%EC%B2%98%EB%A6%AC%ED%95%99%ED%9A%8C&rft.issn=2287-5891&rft.eissn=2734-049X&rft.spage=127&rft.epage=136&rft_id=info:doi/10.3745%2FKTCCS.2018.7.5.12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9135336 |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7-5891&client=summon |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7-5891&client=summon |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7-5891&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