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병리검사 질 가산율 산출 및 적용기준의 검토
본 연구는 질 가산율 산출 및 적용기준을 검토하여 우수검사실 신임인증 및 전문인력영역에 있어 임상병리사를 추가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6개 기관은 1,0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규모이며, 상근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 평균 5명, 임상병리사는 평균 53명으로 전문의 1명당 10.6명으로 나타났다. 임상병리사의 행위분류별 소요시간에 대한 분석결과, 분석 중 행위는 낮아지고 있는 반면 검사실 운영, 정도관리 등의 강화로 포괄적 분석 전 행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분석 중 행위는 생화학 검사수행 등의 비중이 높았고, 분석 후...
        Saved in:
      
    
          | Published in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Vol. 52; no. 3; pp. 261 - 270 |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30.09.2020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738-3544 2288-1662  | 
| DOI | 10.15324/kjcls.2020.52.3.261 | 
Cover
| Summary: | 본 연구는 질 가산율 산출 및 적용기준을 검토하여 우수검사실 신임인증 및 전문인력영역에 있어 임상병리사를 추가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6개 기관은 1,0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규모이며, 상근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 평균 5명, 임상병리사는 평균 53명으로 전문의 1명당 10.6명으로 나타났다. 임상병리사의 행위분류별 소요시간에 대한 분석결과, 분석 중 행위는 낮아지고 있는 반면 검사실 운영, 정도관리 등의 강화로 포괄적 분석 전 행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분석 중 행위는 생화학 검사수행 등의 비중이 높았고, 분석 후 행위는 결과분석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와 같이 검체검사 질 향상을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그에 맞는 인력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검체검사 질 향상을 위해 임상병리사의 채용 역시 중요하며, 그에 따른 인원 규정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This study reviewed the quality addition rate, calculation, and application criteria needed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additional medical technologists in the field for new certification and professional manpower to provide a superior laboratory. The six institutions that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the size of large hospitals with more than 1,000 beds, with an average of five full-time laboratory physicians (also called clinical pathologists) and an average of 53 medical technologists, with 10.6 per laboratory physician. An analysis of the time required for each activity category of medical technologists revealed decreasing behavior during the analysis. In contrast, the ratio of the comprehensive pre-analysis activities was high due to the strengthening of laboratory operations and quality control. During the analysis, the proportion of biochemistry tests was high, and post-analysis of most of the results was performed. Hence, improving the quality of sample testing requires significant time, and appropriate personnel are required. In conclusion, the recruitment of medical technologists is also a key component to improving the sample quality, and corresponding personnel regulations are necessary. |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KISTI1.1003/JNL.JAKO202027265688799  | 
| ISSN: | 1738-3544 2288-1662  | 
| DOI: | 10.15324/kjcls.2020.52.3.2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