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외계층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코딩 융·복합 프로그램 제안 -새터민 청소년을 대상으로
창의성을 길러주는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는 학제적 접근을 통하여 통합적이고 종합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과정이다. 또한, 소프트웨어 교육은 컴퓨팅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를 가능하게 하여 알고리즘적 접근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을 길러준다. 본 연구는 기술과 예술, 인문분야를 접목한 융· 복합 교육을 개발하여 교육하고, 코딩을 활용한 융· 복합 프로그램이 소프트웨어 교육을 접하기 어려웠던 소외계층인 새터민 청소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12차시 동안 코딩을 활용한 융· 복합 프...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2; no. 2; pp. 361 - 372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2.2.26 |
Cover
Summary: | 창의성을 길러주는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는 학제적 접근을 통하여 통합적이고 종합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과정이다. 또한, 소프트웨어 교육은 컴퓨팅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를 가능하게 하여 알고리즘적 접근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을 길러준다. 본 연구는 기술과 예술, 인문분야를 접목한 융· 복합 교육을 개발하여 교육하고, 코딩을 활용한 융· 복합 프로그램이 소프트웨어 교육을 접하기 어려웠던 소외계층인 새터민 청소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12차시 동안 코딩을 활용한 융· 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들에게 융·복합적 교육을 시행했을 때 연구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 관찰하고, 이를 토대로 자아 존중감을 키울 수 있는 교육방안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기존에 융· 복합 교육을 접하기 어려웠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12차시 동안 코딩을 활용한 융· 복합 교육을 실시하였다. 기존 연구 척도를 토대로 만든 자아존중감 5점 척도 설문조사 문항을 정리하여 프로그램 전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개인 인터뷰로 심층 분석하였다. 교육을 받기 전의 학생들은 코딩을 접목한 융· 복합 수업을 낯설어하고 두려움을 표했지만, 교육 후에는 4차 산업 기술에 대한 선호, 유연성에 관한 경험적 영역과 정서, 자아존중감과 같은 정의적 영역에서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상승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대상이었던 학생집단은 이전에 코딩에 대해 접해보지 못했던 집단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을 때 수업 전후의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확연히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심층 인터뷰의 답변들을 종합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융·복합 수업의 전반적인 집중과 흥미도를 높이는 방안에 대하여 더욱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도 학생들을 미래에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회구성원으로 양성하기 위한 예술과 인문, 그리고 기술이 자연스럽게 융합된 교육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Design Thinking is a process that can develop the ability to solve things in a unified and comprehensive manner through an academic approach. In addition, software education enables computational thinking, fostering problem solving through an algorithmic approach. This study developed and educated convergence education that combines technology, art, and humanities, and developed convergence programs using coding for 12 sessions for underprivileged students who had difficulty accessing software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observe wether there is a significant change in self-respect when convergence and complex education is implemented, and to propose guidelines for education measures that can develop self-respect based on this result. As a research method, convergence and convergence education was provided to students who were previously unable to access convergence and convergence education using coding for a total of 12 sessions. The self-respect five-point scale survey questions based on existing research measures were summarized,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analyzed in-depth through personal interviews. Before the education, students expressed their unfamiliarity and fear with coding, but after the education, they showed positive and significant upward effects in defining areas such as preference for fourth industrial technology, flexibility, experiential and emotional, and self-respect. The student groups that were subject to this study were groups that had never been encountered about coding before, and when the survey was conducted, it was clear that the change in self-respect before and after class was evident. However, as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show, more research is needed on ways to increase the overall concentration and interest of convergence classes. In the future, research on education that naturally combines art, humanities, and technology to nurture students as members of a society with high self-respect in the future should continue.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59&idx=1839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2.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