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렌디드 러닝 수업에 대한 방사선과 학생의 만족도 조사

최근 대학들이 e-learning으로의 전환이라는 교육흐름에 부응하면서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방사선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러닝 적용 시 학생의 만족도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첫째, 수업형태에 따른 만족도는 블렌디드 러닝 수업이 47.2%로 가장 많았으며, 강의실 수업이 30.6%, 원격수업이 22.2%의 순이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원격 수업의 시청으로 원격강의를 시청하는 장소는 집에서 시청한다가 94.4%로 가장 많았다. 원격수업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 14; no. 4; pp. 405 - 413
Main Authors 박정규, Jeongkyu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방사선학회 30.08.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0620
2384-0633
DOI10.7742/jksr.2020.14.4.405

Cover

Abstract 최근 대학들이 e-learning으로의 전환이라는 교육흐름에 부응하면서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방사선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러닝 적용 시 학생의 만족도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첫째, 수업형태에 따른 만족도는 블렌디드 러닝 수업이 47.2%로 가장 많았으며, 강의실 수업이 30.6%, 원격수업이 22.2%의 순이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원격 수업의 시청으로 원격강의를 시청하는 장소는 집에서 시청한다가 94.4%로 가장 많았다. 원격수업을 수강하기 위한 매체로는 PC를 이용한다가 72.2%로 가장 많았으며, 원격수업 시청방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셋째, ‘원격강의와 강의실 강의가 적절하게 이루어 졌다.’ 라는 블렌디드 러닝의 적절성이 4.27±0.70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수업 방법에 대하여 성별, 나이에 따른 호응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넷째, ‘원격 강의 수강 시 기술지원 및 시스템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라는 기술 및 시스템의 지원이 3.41±0.96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원격수업에서 교수와 학생간의 의사소통이 부족하다.’라는 교수와 학생의 의사소통 부족은 2.88±1.0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성별, 나이에 따른 수업에 대한 개선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본 연구를 통해 블렌디드 수업의 방안과 블렌디드 수업을 도입하는 학교의 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Expectations and interests in blended learning are increasing as universities respond to the educational flow of transition to e-learning.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radiology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hen applying blended learning. First, th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lass type was the highest in blended learning classes at 47.2%, followed by lecture room classes at 30.6% and remote classes at 22.2%. Second, the place where the remote lecture was watched by viewing the remote cla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as the highest at 94.4%. The most common medium for attending the remote class was using a PC, with 72.2%,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mote class viewing method (p>0.05). Third, the appropriateness of the blended learning, "Remote lectures and lecture room lectures were properly conducted," had the highest score of 4.27±0.70.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 to the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gender and age (p>0.05). Fourth, the technology and system support,'Technical support and system support must be done when taking a remote lecture,' showed the highest score of 3.41±0.96.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In the remote class,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s insufficient' was the lowest with 2.88±1.00.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clas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p>0.05). Through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serve as a basis for the plans of blended classes and the policies of schools that introduced blended classes.
AbstractList Expectations and interests in blended learning are increasing as universities respond to the educational flow of transition to e-learning.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radiology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hen applying blended learning. First, th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lass type was the highest in blended learning classes at 47.2%, followed by lecture room classes at 30.6% and remote classes at 22.2%. Second, the place where the remote lecture was watched by viewing the remote cla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as the highest at 94.4%. The most common medium for attending the remote class was using a PC, with 72.2%,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mote class viewing method (p>0.05). Third, the appropriateness of the blended learning, "Remote lectures and lecture room lectures were properly conducted," had the highest score of 4.27±0.70.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 to the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gender and age (p>0.05). Fourth, the technology and system support,'Technical support and system support must be done when taking a remote lecture,' showed the highest score of 3.41±0.96.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In the remote class,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s insufficient' was the lowest with 2.88±1.00.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clas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p>0.05). Through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serve as a basis for the plans of blended classes and the policies of schools that introduced blended classes. 최근 대학들이 e-learning으로의 전환이라는 교육흐름에 부응하면서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방사선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러닝 적용 시 학생의 만족도와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첫째, 수업형태에 따른 만족도는 블렌디드 러닝 수업이 47.2%로 가장 많았으며, 강의실 수업이 30.6%, 원격수업이 22.2%의 순이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원격 수업의 시청으로 원격강의를 시청하는 장소는 집에서 시청한다가 94.4%로 가장 많았다. 원격수업을 수강하기 위한 매체로는 PC를 이용한다가 72.2%로 가장 많았으며, 원격수업 시청방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셋째, '원격강의와 강의실 강의가 적절하게 이루어 졌다.' 라는 블렌디드 러닝의 적절성이 4.27±0.70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수업 방법에 대하여 성별, 나이에 따른 호응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넷째, '원격 강의 수강 시 기술지원 및 시스템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라는 기술 및 시스템의 지원이 3.41±0.96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원격수업에서 교수와 학생간의 의사소통이 부족하다.'라는 교수와 학생의 의사소통 부족은 2.88±1.0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성별, 나이에 따른 수업에 대한 개선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본 연구를 통해 블렌디드 수업의 방안과 블렌디드 수업을 도입하는 학교의 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최근 대학들이 e-learning으로의 전환이라는 교육흐름에 부응하면서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방사선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러닝 적용 시 학생의 만족도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첫째, 수업형태에 따른 만족도는 블렌디드 러닝 수업이 47.2%로 가장 많았으며, 강의실 수업이 30.6%, 원격수업이 22.2%의 순이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원격 수업의 시청으로 원격강의를 시청하는 장소는 집에서 시청한다가 94.4%로 가장 많았다. 원격수업을 수강하기 위한 매체로는 PC를 이용한다가 72.2%로 가장 많았으며, 원격수업 시청방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셋째, ‘원격강의와 강의실 강의가 적절하게 이루어 졌다.’ 라는 블렌디드 러닝의 적절성이 4.27±0.70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수업 방법에 대하여 성별, 나이에 따른 호응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넷째, ‘원격 강의 수강 시 기술지원 및 시스템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라는 기술 및 시스템의 지원이 3.41±0.96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원격수업에서 교수와 학생간의 의사소통이 부족하다.’라는 교수와 학생의 의사소통 부족은 2.88±1.0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성별, 나이에 따른 수업에 대한 개선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본 연구를 통해 블렌디드 수업의 방안과 블렌디드 수업을 도입하는 학교의 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Expectations and interests in blended learning are increasing as universities respond to the educational flow of transition to e-learning.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radiology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hen applying blended learning. First, th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lass type was the highest in blended learning classes at 47.2%, followed by lecture room classes at 30.6% and remote classes at 22.2%. Second, the place where the remote lecture was watched by viewing the remote cla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as the highest at 94.4%. The most common medium for attending the remote class was using a PC, with 72.2%,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mote class viewing method (p>0.05). Third, the appropriateness of the blended learning, "Remote lectures and lecture room lectures were properly conducted," had the highest score of 4.27±0.70.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 to the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gender and age (p>0.05). Fourth, the technology and system support,'Technical support and system support must be done when taking a remote lecture,' showed the highest score of 3.41±0.96.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In the remote class,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s insufficient' was the lowest with 2.88±1.00.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clas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p>0.05). Through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serve as a basis for the plans of blended classes and the policies of schools that introduced blended classes.
최근 대학들이 e-learning으로의 전환이라는 교육흐름에 부응하면서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방사선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러닝 적용 시 학생의 만족도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첫째, 수업형태에 따른 만족도는 블렌디드 러닝 수업이 47.2%로 가장 많았으며, 강의실 수업이 30.6%, 원격수업이 22.2%의 순이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원격 수업의 시청으로 원격강의를 시청하는 장소는 집에서 시청한다가 94.4%로 가장 많았다. 원격수업을 수강하기 위한 매체로는 PC를 이용한다가 72.2%로 가장 많았으며, 원격수업 시청방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셋째, ‘원격강의와 강의실 강의가 적절하게 이루어 졌다.’ 라는 블렌디드 러닝의 적절성이 4.27±0.70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수업 방법에 대하여 성별, 나이에 따른 호응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넷째, ‘원격 강의 수강 시 기술지원 및 시스템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라는 기술 및 시스템의 지원이 3.41±0.96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원격수업에서 교수와 학생간의 의사소통이 부족하다.’라는 교수와 학생의 의사소통 부족은 2.88±1.0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성별, 나이에 따른 수업에 대한 개선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본 연구를 통해 블렌디드 수업의 방안과 블렌디드 수업을 도입하는 학교의 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Expectations and interests in blended learning are increasing as universities respond to the educational flow of transition to e-learning.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radiology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hen applying blended learning. First, th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lass type was the highest in blended learning classes at 47.2%, followed by lecture room classes at 30.6% and remote classes at 22.2%. Second, the place where the remote lecture was watched by viewing the remote cla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as the highest at 94.4%. The most common medium for attending the remote class was using a PC, with 72.2%,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mote class viewing method (p>0.05). Third, the appropriateness of the blended learning, "Remote lectures and lecture room lectures were properly conducted," had the highest score of 4.27±0.70.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 to the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gender and age (p>0.05). Fourth, the technology and system support,'Technical support and system support must be done when taking a remote lecture,' showed the highest score of 3.41±0.96.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In the remote class,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s insufficient' was the lowest with 2.88±1.00.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clas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p>0.05). Through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serve as a basis for the plans of blended classes and the policies of schools that introduced blended classes. KCI Citation Count: 0
Author 박정규
Jeongkyu Park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박정규
– sequence: 2
  fullname: Jeongkyu Park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2237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0LtKA0EUBuBBFIwxL6DNNhYWu85td2bLELxEAwFNP-xV1o2J7NrYiUYQDCiYkAgGk0qEFBEbC5_ImbyDGyNyiv_n8HGKswIWG81GAMAaggZjFG-dxGliYIihgaiRDTQXQA4TTnVoEbIIcshmVtYxXAaFNI1cSCxqWYzTHKjIz44ctmWnIx-fNfkylncDTd32Ve9G9R402b6cdrP95E1djVVr-P3xpU27T-p6oAZ9Tb621ehd3rc0NZpkYBUshU49DQp_mQdHO9u10p5eqe6WS8WKHnNKdB8zP3CIS5AfMso9mnUf2x7HNnI83-Ocech1Qha4xMM-R64feMQMQ0yZY9okDzbnVxtJKGIvEk0n-s3jpogTUTyslYVtWpwiktmNuY2j9DwSDT-ti_3iQXX2LWxyizCTQnvm1v9dKs6S6NRJLgThyIYQkh9RLX7e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JDI
ACYCR
DEWEY 610
DOI 10.7742/jksr.2020.14.4.405
DatabaseName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Medicine
DocumentTitleAlternate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 대한 방사선과 학생의 만족도 조사
A Study on Radiotechnologic Students’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EISSN 2384-0633
EndPage 413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568413
JAKO202025863754093
3819000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Q5X
.UV
JDI
P5Y
ACYCR
ID FETCH-LOGICAL-k843-d27dea3b31df748c4a3bd29c8291acdc887c1baf7eb3c2d81bdec35ff247a593
ISSN 1976-0620
IngestDate Sun Mar 09 07:50:49 EDT 2025
Fri Dec 22 12:03:56 EST 2023
Wed Feb 19 02:12:37 ES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43-d27dea3b31df748c4a3bd29c8291acdc887c1baf7eb3c2d81bdec35ff247a593
Notes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ISTI1.1003/JNL.JAKO202025863754093
http://koreascience.kr/journal/BSSHB5.page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025863754093&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568413
kisti_ndsl_JAKO202025863754093
kiss_primary_381900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008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0-08-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20
  text: 202008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PublicationYear 2020
Publisher 한국방사선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방사선학회
SSID ssib036466784
ssib010494110
ssib051116959
ssib012146256
ssib036279067
ssib039546180
Score 1.7464962
Snippet 최근 대학들이 e-learning으로의 전환이라는 교육흐름에 부응하면서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방사선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러닝 적용 시 학생의 만족도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첫째, 수업형태에 따른...
Expectations and interests in blended learning are increasing as universities respond to the educational flow of transition to e-learning. This study analyzed...
SourceID nrf
kisti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405
SubjectTerms blended learning
classroom instruction
e-learning
remote classes
강의실 수업
블렌디드 러닝
원격수업
원자력공학
Title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 대한 방사선과 학생의 만족도 조사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819000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025863754093&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22378
Volume 1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2020, 14(4), 80, pp.405-413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pR1da9RAcGnriy-iVLF-lCjuU0lNNpvs7mNyd6Wen2CFvoV8lnpyJ9f2QR9EtIJgQcErrWCxfRKhDxVffPAXmfQ_OLvJpdEW8YOD3NzcZHYys8nMJJlZhK6IiAhu0UCPmZ3olCVED2KD6zxxHGakhIaOLHC-ecuZvUfb8_b8yOil2ltLK8vhdPT4yLqSf7Eq4MCuskr2LyxbMQUEwGBf2IKFYftHNsYtD3scCyoB18C8IQH4WWCEhUVjSkEz2FX_cYCbgGpgDvtxCQiGuV0CwlDkwIcbuNXEwh5y8AzsCrUfUawAoHLIlos9C3uSqCAviGDkpuIJSK4YuEyJ18CuiT1TjTIDPKaGKKNiXo-XKyHUQDZ2m78VphIBALdUBxycpwCg9NQRS1GqpzQlP6FU4BYADAW6qO4ft5Ned6HzaGXqzrCwqbxNQtRLeuUTHzmx_1PcmoeA-E03HGL85EJo7VShNX9AVU35IT8FMbfse3u_syRb0hJwXHQaPgXxL_2_ZUoNfmsUHSMMwkP5duqT1vCSacr2PrUIzpTrtJOD9kgQnjBRa9BvORTOwYPSZAi3TUeoJQWrAytKy6SIVw8LCJELJDZLkMrJ_GYRIrJuP61FZHMn0YkyldLc4rw4hUY6vXF0I_s6yLbXssEge_teyz7sZq-2tPzlZr7xIt94o2VrT_fXAb_3KX-2m69uf__yTdtff5c_38q3NrXs41q-8zl7varlO3tAcBrdnWnNNWb1csUQvcOppceExUlghZYZp4zyiAIcExFxIswgiiNwqJEZBilLQisiMWRscRJZdgqXJBbYwjqDxrq9bnIWaVYYQOaSipCFlHIRhDZ3UhIQ2Q6PkSCcQONSDf7DoiWMXxppAk0qtfjdeOmB33av35bKI7CzXGnaENYEugz68jvRoi_7usvvhZ7f6fuQvV7zZekuBJXnjmZ-Hh0_mNgX0NhyfyW5CBHxcjip5sQPeH2Ns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B8%94%EB%A0%8C%EB%94%94%EB%93%9C+%EB%9F%AC%EB%8B%9D+%EC%88%98%EC%97%85%EC%97%90+%EB%8C%80%ED%95%9C+%EB%B0%A9%EC%82%AC%EC%84%A0%EA%B3%BC+%ED%95%99%EC%83%9D%EC%9D%98+%EB%A7%8C%EC%A1%B1%EB%8F%84+%EC%A1%B0%EC%82%AC&rft.jtitle=%ED%95%9C%EA%B5%AD%EB%B0%A9%EC%82%AC%EC%84%A0%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rft.au=%EB%B0%95%EC%A0%95%EA%B7%9C&rft.au=Jeongkyu+Park&rft.date=2020-08-30&rft.pub=%ED%95%9C%EA%B5%AD%EB%B0%A9%EC%82%AC%EC%84%A0%ED%95%99%ED%9A%8C&rft.issn=1976-0620&rft.volume=14&rft.issue=4&rft.spage=405&rft_id=info:doi/10.7742%2Fjksr.2020.14.4.405&rft.externalDocID=381900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6-0620&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6-0620&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6-0620&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