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 여성을 위한 팬츠 패턴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시니어 여성을 위한 팬츠 패턴의 산업체 활용도를 높이고 지속적인 데이터 축적과 치수체계 확립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시니어 여성의 체형에 적합한 팬츠를 개발하기 위해 패션업체 및 교육용 팬츠 패턴을 비교(분석하여 연구 팬츠 패턴을 제시하였으며 착의평가를 통해 맞음새 및 동작기능성 향상 정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팬츠 패턴 개발을 위한 실험 팬츠는 면 100%의 머슬린으로 총 4벌(업체패턴 3개, 교육용 패턴 1개)을 제작하여 3명의 피험자에게 착의실험 하였고 평가자료 분석은 SPSS WIN 22....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18; no. 3; pp. 67 - 84
Main Authors 김효숙, Kim Hyo Sook, 최창숙, Choi Chang Sook, 김지민, Kim Ji M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0.06.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시니어 여성을 위한 팬츠 패턴의 산업체 활용도를 높이고 지속적인 데이터 축적과 치수체계 확립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시니어 여성의 체형에 적합한 팬츠를 개발하기 위해 패션업체 및 교육용 팬츠 패턴을 비교(분석하여 연구 팬츠 패턴을 제시하였으며 착의평가를 통해 맞음새 및 동작기능성 향상 정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팬츠 패턴 개발을 위한 실험 팬츠는 면 100%의 머슬린으로 총 4벌(업체패턴 3개, 교육용 패턴 1개)을 제작하여 3명의 피험자에게 착의실험 하였고 평가자료 분석은 SPSS WIN 22.0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하였다. 실험 팬츠의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제시된 연구 팬츠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팬츠 중심선을 1.2cm 옆선방향으로 평행 이동하여 앞(뒤판의 군주름, 다리의 휨 정도와 옆선의 곡선을 완화하였다. 둘째, 허리선을 1cm 내린 지점에 허리벨트를 곡선처리하고 허리둘레 차를 두어 복부부위의 맞음새를 강화하였다. 셋째, 엉덩이부위가 밋밋해지는 노화현상을 고려하여 앞(뒤판의 엉덩이둘레 차를 뒤판이 1.8cm 크게 두었다. 넷째, 밑위길이와 샅분량을 크게 하여 외관과 동작기능성을 향상시켰다. 다섯째, 무릎선의 위치를 조정하여 움직임이 편안하도록 하였다. 여섯째, 밑단너비는 넓거나 좁을 경우 동작기능성과 보정효과가 감소되므로 앞(뒤판에 차이를 두고 적절히 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 연령대 평균치수범위에 속하는 3명을 선정하여 일부업체패턴을 사용하였으므로 연구의 결과를 확대 해석하는 데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senior women`s pants pattern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as a guideline for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garment measurements for the age group. The study developed a study pants pattern through conducting fitting tests and comparative analysis on four sample pants and their pattern constructions (one educational and three ready-made patterns). Alterations were made to the patterns based on the results. The level of fit and outer appearance of the study pants was verified through a separate fitting test. All the pants used in this study were made with 100% muslin fabric and tested on three study subjects.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on the program SPSS WIN ver. 22.0. The key alterations made to the study pattern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sample patterns were as follows: The centerline was moved 1.2cm towards the side seam to smooth the hipline and creases on the front and back panels. It also helped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bowleggedness. Placing a slightly curved waist belt 1cm below the waist line and giving different values for the front and back waist circumferences improved the level of fit around the abdominal area. The hip circumference of the back panel was 1.8cm longer than that of the front panel as the hip gradually loses its firmness and becomes more flattened with age. Allowing larger values for crotch and inner thigh enhanced the level of fit and comfort around these areas. The knee height was adjusted for easier movement. The hem width on the front and back panels were given different values and adequately adjusted. As the samples an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mall and limited to a certain gender and age group, the findings should not be broadly applied or interpreted.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34&idx=818
ISSN:1598-8635
2713-5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