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트래킹 평가 방법과 경관 형용사 평가 비교 연구† - 대학 캠퍼스 야간경관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야간경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아이트래킹 평가 방법과 경관 형용사 평가 방법의 비교를 통하여 시지각적 경관 지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경관 평가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연구논문이다. 연구 결과, 캠퍼스야간경관을 대상으로 한 아이트래킹 평가 결과에서는 ‘눈 깜빡임 수(Blink count)’, ‘눈 응시 시간(Fixation duration) 평균’, ‘시선의 급격한 이동시간(Saccade duration) 평균’과 경관 형용사 중 ‘아름다운’, ‘흥미로운’, ‘접근성이 높은’, ‘만족하는’, ‘안전한’ 형용사와...
Saved in:
| Published in | 한국조경학회지 Vol. 46; no. 1; pp. 38 - 48 |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조경학회
28.02.2018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5-1755 2288-9566 |
| DOI | 10.9715/KILA.2018.46.1.038 |
Cover
| Abstract | 본 연구는 다양한 야간경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아이트래킹 평가 방법과 경관 형용사 평가 방법의 비교를 통하여 시지각적 경관 지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경관 평가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연구논문이다. 연구 결과, 캠퍼스야간경관을 대상으로 한 아이트래킹 평가 결과에서는 ‘눈 깜빡임 수(Blink count)’, ‘눈 응시 시간(Fixation duration) 평균’, ‘시선의 급격한 이동시간(Saccade duration) 평균’과 경관 형용사 중 ‘아름다운’, ‘흥미로운’, ‘접근성이 높은’, ‘만족하는’, ‘안전한’ 형용사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캠퍼스 야간경관의 관심지역 분석 및 비교에서는 경관 특성별 관심영역이 달라지는 경향성을 파악하였으며, 특히 ‘문’, ‘표지판’ 등 특수 경관 요소에 집중하여 시선이 고정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하여 아이트래킹 분석 방법이 ‘경관 요소’에 대한 평가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도구라고 판단하였으며, 기존 개념으로만 제시되었던 경관 선호 이론들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는 측면도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객관적인 경관 평가 기법으로서 아이트래킹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 결과의 축적으로 경관계획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visual perception and to extend the landscape evaluation area by comparing eye-tracking evaluation and landscape adjective evaluation methods towards various type of nightscap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showed that ‘blink count’, ‘fixation duration average’, and ‘saccade duration average’ of eye tracking measurement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eautiful’, ‘interesting’, ‘accessible’, ‘satisfying’, and ‘safe’ regarding landscape adjectives. In addition, there was a tendency toward areas of interests (AOIs) depending on 12 different nightscapes, which showed that the gaze was fixated by focusing on certain landscape elements such as ‘door’ and ‘sig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ye-tracking method is an effective tool to specify the evaluation of ‘landscape elements’ rather than the ‘whole landscape’ and can be used as a basis to support landscape preference theories, which has been presented as conceptual only. In this 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applications of eye tracking as an objective landscape evaluation technique, and it is possible to suggest specific implications to landscape planning through the accumulation of continuous research results. |
|---|---|
| AbstractList | 본 연구는 다양한 야간경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아이트래킹 평가 방법과 경관 형용사 평가 방법의 비교를 통하여 시지각적 경관 지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경관 평가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연구논문이다. 연구 결과, 캠퍼스야간경관을 대상으로 한 아이트래킹 평가 결과에서는 ‘눈 깜빡임 수(Blink count)’, ‘눈 응시 시간(Fixation duration) 평균’, ‘시선의 급격한 이동시간(Saccade duration) 평균’과 경관 형용사 중 ‘아름다운’, ‘흥미로운’, ‘접근성이 높은’, ‘만족하는’, ‘안전한’ 형용사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캠퍼스 야간경관의 관심지역 분석 및 비교에서는 경관 특성별 관심영역이 달라지는 경향성을 파악하였으며, 특히 ‘문’, ‘표지판’ 등 특수 경관 요소에 집중하여 시선이 고정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하여 아이트래킹 분석 방법이 ‘경관 요소’에 대한 평가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도구라고 판단하였으며, 기존 개념으로만 제시되었던 경관 선호 이론들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는 측면도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객관적인 경관 평가 기법으로서 아이트래킹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 결과의 축적으로 경관계획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visual perception and to extend the landscape evaluation area by comparing eye-tracking evaluation and landscape adjective evaluation methods towards various type of nightscap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showed that ‘blink count’, ‘fixation duration average’, and ‘saccade duration average’ of eye tracking measurement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eautiful’, ‘interesting’, ‘accessible’, ‘satisfying’, and ‘safe’ regarding landscape adjectives. In addition, there was a tendency toward areas of interests (AOIs) depending on 12 different nightscapes, which showed that the gaze was fixated by focusing on certain landscape elements such as ‘door’ and ‘sig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ye-tracking method is an effective tool to specify the evaluation of ‘landscape elements’ rather than the ‘whole landscape’ and can be used as a basis to support landscape preference theories, which has been presented as conceptual only. In this 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applications of eye tracking as an objective landscape evaluation technique, and it is possible to suggest specific implications to landscape planning through the accumulation of continuous research results. 본 연구는 다양한 야간경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아이트래킹 평가 방법과 경관 형용사 평가 방법의 비교를통하여 시지각적 경관 지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경관 평가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연구논문이다. 연구 결과, 캠퍼스야간경관을 대상으로 한 아이트래킹 평가 결과에서는 ‘눈 깜빡임 수(Blink count)’, ‘눈 응시 시간(Fixation duration) 평균’, ‘시선의 급격한 이동시간(Saccade duration) 평균’과 경관 형용사 중 ‘아름다운’, ‘흥미로운’, ‘접근성이 높은’, ‘만족하는’, ‘안전한’ 형용사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캠퍼스 야간경관의 관심지역 분석 및 비교에서는 경관 특성별 관심영역이 달라지는 경향성을 파악하였으며, 특히 ‘문’, ‘표지판’ 등 특수 경관 요소에 집중하여 시선이 고정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하여 아이트래킹 분석 방법이 ‘경관 요소’에 대한 평가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도구라고 판단하였으며, 기존 개념으로만 제시되었던 경관 선호 이론들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는 측면도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객관적인 경관 평가 기법으로서 아이트래킹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 결과의 축적으로 경관계획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visual perception and to extend the landscape evaluationarea by comparing eye-tracking evaluation and landscape adjective evaluation methods towards various type of nightscap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showed that ‘blink count’, ‘fixation duration average’, and ‘saccade duration average’ of eyetracking measurement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eautiful’, ‘interesting’, ‘accessible’, ‘satisfying’, and ‘safe’regarding landscape adjectives. In addition, there was a tendency toward areas of interests (AOIs) depending on 12 differentnightscapes, which showed that the gaze was fixated by focusing on certain landscape elements such as ‘door’ and ‘sig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ye-tracking method is an effective tool to specify the evaluation of ‘landscape elements’rather than the ‘whole landscape’ and can be used as a basis to support landscape preference theories, which has beenpresented as conceptual only. In this 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applicationsof eye tracking as an objective landscape evaluation technique, and it is possible to suggest specific implications to landscapeplanning through the accumulation of continuous research results. KCI Citation Count: 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visual perception and to extend the landscape evaluation area by comparing eye-tracking evaluation and landscape adjective evaluation methods towards various type of nightscap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showed that 'blink count', 'fixation duration average', and 'saccade duration average' of eye tracking measurement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eautiful', 'interesting', 'accessible', 'satisfying', and 'safe' regarding landscape adjectives. In addition, there was a tendency toward areas of interests (AOIs) depending on 12 different nightscapes, which showed that the gaze was fixated by focusing on certain landscape elements such as 'door' and 'sig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ye-tracking method is an effective tool to specify the evaluation of 'landscape elements' rather than the 'whole landscape' and can be used as a basis to support landscape preference theories, which has been presented as conceptual only. In this 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applications of eye tracking as an objective landscape evaluation technique, and it is possible to suggest specific implications to landscape planning through the accumulation of continuous research results. 본 연구는 다양한 야간경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아이트래킹 평가 방법과 경관 형용사 평가 방법의 비교를 통하여 시지각적 경관 지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경관 평가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연구논문이다. 연구 결과, 캠퍼스 야간경관을 대상으로 한 아이트래킹 평가 결과에서는 '눈 깜빡임 수(Blink count)', '눈 응시 시간(Fixation duration) 평균', '시선의 급격한 이동시간(Saccade duration) 평균'과 경관 형용사 중 '아름다운', '흥미로운', '접근성이 높은', '만족하는', '안전한' 형용사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캠퍼스 야간경관의 관심지역 분석 및 비교에서는 경관 특성별 관심영역이 달라지는 경향성을 파악하였으며, 특히 '문', '표지판' 등 특수 경관 요소에 집중하여 시선이 고정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하여 아이트래킹 분석 방법이 '경관 요소'에 대한 평가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도구라고 판단하였으며, 기존 개념으로만 제시되었던 경관 선호 이론들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는 측면도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객관적인 경관 평가 기법으로서 아이트래킹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 결과의 축적으로 경관계획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 Author | Kim Song-yi 강영은 Kang Young-eun 김송이 백재봉 Baek Jae-bong |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강영은 – sequence: 2 fullname: Kang Young-eun – sequence: 3 fullname: 김송이 – sequence: 4 fullname: Kim Song-yi – sequence: 5 fullname: 백재봉 – sequence: 6 fullname: Baek Jae-bong |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2298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 BookMark | eNo90D1Lw0AABuBDKli1f0CXWxwcEu8jubuMpfhRLQjS_UhNTkJrK41Lt6pdFEWX4AcqCi6CQ6kKKvXPOCaX_2BrpdM7vA_v8E6DTL1R9wGYw8h0OLaXNoqlvEkQFqbFTGwiKiZAlhAhDMdmLAOymBDbwNy2p0AuDIMKQsKyMccsC1o66ui7t_TkI7m_Sg8_YXp-HHfbMOk-J70ofu3DuPcdv7VhehXpm2d9-DIWn534_QLqy278_vLTfoAGTE7baXQN9ddDetbXJ09QR_242xkt6LvOEOijA33bTx5vZ8Gkcmuhn_vPGVBeWS4X1ozS5mqxkC8ZVWERg3jbSjHuoApXgnJOGaYuHzSupTxPYSUwU5QppCzlVBzHtSn2LR8rX3mMeoLOgMXRbL2pZHU7kA03-Mudhqw2ZX6rXJSEM8YwGdiFka0G4X4g615Yk-v5jc3htxgRyoUQ3LEGbn7sQrnXDHbdZktSW2CLIPoLtuqbUg |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 DBID | HZB Q5X JDI ACYCR |
| DEWEY | 712 |
| DOI | 10.9715/KILA.2018.46.1.038 |
| DatabaseName | 한국학술정보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Open Acces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 DatabaseTitleList |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 Discipline | Architecture |
| DocumentTitleAlternate | 아이트래킹 평가 방법과 경관 형용사 평가 비교 연구† - 대학 캠퍼스 야간경관을 대상으로 Comparative Study on Eye-Tracking Evaluation and Landscape Adjectives Evaluation - Focusing on the Nightscape of a University Campus |
| EISSN | 2288-9566 |
| EndPage | 48 |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2766612 JAKO201810237888794 3581420 |
| GroupedDBID | .UV HZB Q5X ALMA_UNASSIGNED_HOLDINGS JDI ACYCR M~E |
| ID | FETCH-LOGICAL-k842-2dcff6790b7f83773613a7842a4fddf1f816f36f0f4f9b99a531e4e1fefd63d83 |
| ISSN | 1225-1755 |
| IngestDate | Tue Nov 21 21:41:32 EST 2023 Fri Dec 22 12:03:22 EST 2023 Sat Sep 06 06:24:03 EDT 2025 |
| IsDoiOpenAccess | true |
| IsOpenAccess | true |
| IsPeerReviewed | true |
| IsScholarly | true |
| Issue | 1 |
| Language | Korean |
| LinkModel | OpenURL |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842-2dcff6790b7f83773613a7842a4fddf1f816f36f0f4f9b99a531e4e1fefd63d83 |
| Notes | Korean l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ISTI1.1003/JNL.JAKO201810237888794 |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810237888794&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 PageCount | 11 |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2766612 kisti_ndsl_JAKO201810237888794 kiss_primary_3581420 |
| PublicationCentury | 2000 |
| PublicationDate | 20180228 |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8-02-28 |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2 year: 2018 text: 20180228 day: 28 |
| PublicationDecade | 2010 |
| PublicationTitle | 한국조경학회지 |
| PublicationTitleAlternate | 한국조경학회지 |
| PublicationYear | 2018 |
| Publisher | 한국조경학회 |
| Publisher_xml | – name: 한국조경학회 |
| SSID | ssib008451716 ssib044738266 ssib053376761 ssib001151868 ssib009283268 ssib053377460 ssib022331698 |
| Score | 2.0326426 |
| Snippet | 본 연구는 다양한 야간경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아이트래킹 평가 방법과 경관 형용사 평가 방법의 비교를 통하여 시지각적 경관 지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경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visual perception and to extend the landscape evaluation area by comparing eye-tracking evaluation... 본 연구는 다양한 야간경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아이트래킹 평가 방법과 경관 형용사 평가 방법의 비교를통하여 시지각적 경관 지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경관... |
| SourceID | nrf kisti kiss |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 StartPage | 38 |
| SubjectTerms | Distribution of Attention Eye Movement Landscape Perception Landscape Planning 경관계획 경관지각 시선 이동 조경학 주의 분산 |
| Title | 아이트래킹 평가 방법과 경관 형용사 평가 비교 연구† - 대학 캠퍼스 야간경관을 대상으로 |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581420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810237888794&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22980 |
| Volume | 46 |
| hasFullText | 1 |
| inHoldings | 1 |
| isFullTextHit | |
| isPrint | |
| ispartofPNX | 한국조경학회지, 2018, 46(1), 185, pp.38-48 |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288-9566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266 issn: 1225-1755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3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btNA0GrLhQsCFUR5VBZiT5GDHa_t9dFxUvVB4VKk3qzE9lZVIEV9HMoBhZILFQguEQW1qEhcKlUoKq1EUfgZjonzD8ysncS0RYJenPHs7Ozsjtcz4-zOStJdlQVBwAxD8XW1rIC95grjnCp-AMadWqGWE2dGzj4wJx_R6Xljfmj4a2rV0tpqOes_O3NfyXm0CjjQK-6S_Q_N9pkCAmDQL1xBw3D9Jx2ToktsgzAqgALJA1AgzCF5Rop5YheJzQQmR_IQ_CM0QZhNikChEqZmkAogxxZADplhmU7ybkZAULEgABqTF5AjUkF7jqjnInfH_St3W4gHKIPYiIKKFpbHKMdNVls4akYRFZiLt9gQVLBFhTy0JFAMuuiKJgFDM0n3ERU3SU_LnIwMo2nmcNXBhRZlrqifJ44GcNpV78ng9kQtID2QJcLHzSRyCsBB_khjEdb_FyiRLRkz1mu2kCKZKVUXMuK1q4Rr1T8q2j15TWy5p-XBwoknuNZpQVlfTH-90VhqNzzOt_N1JWWv4HWsgAdopA1a8k03PXFj6xTn0TlpNG1L5BeZmbrv4FJHlqVmVsuqMfGJZOSYLY_m1GHpQg6sKB6VMvu8OHC_wX1Mn77AqIHZmPr3Np6LNSin1NIhuu2XQ-RhmdZgnzXeWzTe6N_rZ7zvDUW-d1pgcKsg6lqBOBODr0VwF6vLPOUuzl2WLiVxnuzEk_aKNFRZGpXWo0Y92jnsbn7vfNrqbhzL3bev2s2a3GnudQ4a7W8tuX3ws31Yk7tbjejjXrSx36c4rreP3snR-2b7aP9XbVdW5M7rWrfxQY5-7HbftKLNL3LUaLWb9ZhDtFNHgujli2i71fm8fVWamyjOuZNKcvaJUmG4YS7wOTctWy1bnMEo6OB1lywoKVEeBFzjTDO5bnKVU26XbbsEpjSkocZDHph6wPRr0kh1qRpel2TLMsp2GKiqTy1KA40FPqaOCMs6Y0bJ8MekURw072mc3cZLVDwmjYtB9KrBymNv2pl5iEONiV7woxlY8THpDoyuV_EXPUxRj78LS15l2YNAfMqDxwM8_9yNs5nflC4OJsMtaWR1eS28Dc79anlcPFG_ASs9zpE |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5%84%EC%9D%B4%ED%8A%B8%EB%9E%98%ED%82%B9+%ED%8F%89%EA%B0%80+%EB%B0%A9%EB%B2%95%EA%B3%BC+%EA%B2%BD%EA%B4%80+%ED%98%95%EC%9A%A9%EC%82%AC+%ED%8F%89%EA%B0%80+%EB%B9%84%EA%B5%90+%EC%97%B0%EA%B5%AC%E2%80%A0+-+%EB%8C%80%ED%95%99+%EC%BA%A0%ED%8D%BC%EC%8A%A4+%EC%95%BC%EA%B0%84%EA%B2%BD%EA%B4%80%EC%9D%84+%EB%8C%80%EC%83%81%EC%9C%BC%EB%A1%9C&rft.jtitle=%ED%95%9C%EA%B5%AD%EC%A1%B0%EA%B2%BD%ED%95%99%ED%9A%8C%EC%A7%80&rft.au=%EA%B0%95%EC%98%81%EC%9D%80&rft.au=Kang+Young-eun&rft.au=%EA%B9%80%EC%86%A1%EC%9D%B4&rft.au=Kim+Song-yi&rft.date=2018-02-28&rft.pub=%ED%95%9C%EA%B5%AD%EC%A1%B0%EA%B2%BD%ED%95%99%ED%9A%8C&rft.issn=1225-1755&rft.volume=46&rft.issue=1&rft.spage=38&rft_id=info:doi/10.9715%2FKILA.2018.46.1.038&rft.externalDocID=3581420 |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1755&client=summon |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1755&client=summon |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1755&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