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비점검 일지의 비정형 데이터분석을 통한 고장 대응 효율화 사례 연구

비정형 데이터의 수집, 분석 그리고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여전히 비정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수 이동통신 기업의 통신 시설장비 점검 시스템에 기록된 비정형데이터를 분석하여 장비고장 대응과 예방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고자 하였고, 약 220만 건의 작업일지 데이터를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구조화/정형화 하였다. 이를 위해 장비 고장과 관련된 4가지 분석 프레임, 고장인지, 고장원인, 고장대상, 조치결과를 구성하였고 분석 결과로는 크게 3가지의 효율화 방안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Inteonet jeongbo hakoe nonmunji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 21; no. 1; pp. 127 - 135
Main Authors 주연진, Yeonjin Ju, 김유신, Yoosin Kim, 정승렬, Seung Ryul Je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8.0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0170
2287-1136
DOI10.7472/jksii.2020.21.1.127

Cover

Abstract 비정형 데이터의 수집, 분석 그리고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여전히 비정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수 이동통신 기업의 통신 시설장비 점검 시스템에 기록된 비정형데이터를 분석하여 장비고장 대응과 예방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고자 하였고, 약 220만 건의 작업일지 데이터를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구조화/정형화 하였다. 이를 위해 장비 고장과 관련된 4가지 분석 프레임, 고장인지, 고장원인, 고장대상, 조치결과를 구성하였고 분석 결과로는 크게 3가지의 효율화 방안과 관련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첫 번째로는 신속한 조치를 통한 시간 단축을 도모하고, 두 번째로는 고장장비 Unit 수요를 예측하고, 마지막으로 현장 출동의 최소화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사례연구는 통신시설 장비 고장 대응을 위해 데이터 분석 대상을 정형 데이터뿐만 아니라 장비일지라는 비정형 빅데이터로도 범위를 확장했으며, 이를 분석에 활용하기 위해 처음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시도를 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또한 N사는 정형 데이터 뿐 만 아니라 년 80만 건씩 축적되던 비정형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확인할 수 있던 기회를 가졌으며, 향후 비정형 데이터의 활용 방안에 대한 발전 방향 그리고 추후의 정형 데이터와의 연계 분석 방안 등에 대한 가이드를 확보할 수 있었다. As the importance of the use and analysis of big data is emerging,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unstructured data such as news articles and comments. Particularly, as the collection of big data becomes possible, data mining techniques capable of pre-processing and analyzing data are emerging. In this case study with a telecom company, we propose a methodology how to formalize unstructured data using text mining. The domain is determined as equipment failure and the data is about 2.2 million equipment check ledger data. Data on equipment failures by 800,000 per year is accumulated in the equipment check ledger. The equipment check ledger coexist with both formal and unstructured data. Although formal data can be easily used for analysis, unstructured data is difficult to be used immediately for analysis. However, in unstructured data,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mportant information. Because it can be contained that is not written in a formal. Therefore, in this study, we study to develop digital transformation method for unstructured data in equipment check ledger.
AbstractList 비정형 데이터의 수집, 분석 그리고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여전히 비정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수 이동통신 기업의 통신 시설장비 점검 시스템에 기록된 비정형데이터를 분석하여 장비고장 대응과 예방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고자 하였고, 약 220만 건의 작업일지 데이터를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구조화/정형화 하였다. 이를 위해 장비 고장과 관련된 4가지 분석 프레임, 고장인지, 고장원인, 고장대상, 조치결과를 구성하였고 분석 결과로는 크게 3가지의 효율화 방안과 관련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첫 번째로는 신속한 조치를 통한 시간 단축을 도모하고, 두 번째로는 고장장비 Unit 수요를 예측하고, 마지막으로 현장 출동의 최소화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사례연구는 통신시설 장비 고장 대응을 위해 데이터 분석 대상을 정형 데이터뿐만 아니라 장비일지라는 비정형 빅데이터로도 범위를 확장했으며, 이를 분석에 활용하기 위해 처음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시도를 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또한 N사는 정형 데이터 뿐 만 아니라 년 80만 건씩 축적되던 비정형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확인할 수 있던 기회를 가졌으며, 향후 비정형 데이터의 활용 방안에 대한 발전 방향 그리고 추후의 정형 데이터와의 연계 분석 방안 등에 대한 가이드를 확보할 수 있었다. As the importance of the use and analysis of big data is emerging,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unstructured data such as news articles and comments. Particularly, as the collection of big data becomes possible, data mining techniques capable of pre-processing and analyzing data are emerging. In this case study with a telecom company, we propose a methodology how to formalize unstructured data using text mining. The domain is determined as equipment failure and the data is about 2.2 million equipment check ledger data. Data on equipment failures by 800,000 per year is accumulated in the equipment check ledger. The equipment check ledger coexist with both formal and unstructured data. Although formal data can be easily used for analysis, unstructured data is difficult to be used immediately for analysis. However, in unstructured data,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mportant information. Because it can be contained that is not written in a formal. Therefore, in this study, we study to develop digital transformation method for unstructured data in equipment check ledger.
As the importance of the use and analysis of big data is emerging,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unstructured data such as news articles and comments. Particularly, as the collection of big data becomes possible, data mining techniques capable of pre-processing and analyzing data are emerging. In this case study with a telecom company, we propose a methodology how to formalize unstructured data using text mining. The domain is determined as equipment failure and the data is about 2.2 million equipment check ledger data. Data on equipment failures by 800,000 per year is accumulated in the equipment check ledger. The equipment check ledger coexist with both formal and unstructured data. Although formal data can be easily used for analysis, unstructured data is difficult to be used immediately for analysis. However, in unstructured data,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mportant information. Because it can be contained that is not written in a formal. Therefore, in this study, we study to develop digital transformation method for unstructured data in equipment check ledger. 비정형 데이터의 수집, 분석 그리고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여전히 비정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수 이동통신 기업의 통신 시설장비 점검 시스템에 기록된 비정형데이터를 분석하여 장비고장 대응과 예방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고자 하였고, 약 220만 건의 작업일지 데이터를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구조화/정형화 하였다. 이를 위해 장비 고장과 관련된 4가지 분석 프레임, 고장인지, 고장원인, 고장대상, 조치결과를 구성하였고 분석 결과로는 크게 3가지의 효율화 방안과 관련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첫 번째로는 신속한 조치를 통한 시간 단축을 도모하고, 두 번째로는 고장장비 Unit 수요를 예측하고, 마지막으로 현장 출동의 최소화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사례연구는 통신시설 장비 고장 대응을 위해 데이터 분석 대상을 정형 데이터뿐만 아니라 장비일지라는 비정형 빅데이터로도 범위를 확장했으며, 이를 분석에 활용하기 위해 처음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시도를 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또한 N사는 정형 데이터 뿐 만아니라 년 80만 건씩 축적되던 비정형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확인할 수 있던 기회를 가졌으며, 향후 비정형 데이터의 활용 방안에 대한 발전방향 그리고 추후의 정형 데이터와의 연계 분석 방안 등에 대한 가이드를 확보할 수 있었다.
비정형 데이터의 수집, 분석 그리고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여전히 비정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수 이동통신 기업의 통신 시설장비 점검 시스템에 기록된 비정형데이터를 분석하여 장비고장대응과 예방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고자 하였고, 약 220만 건의 작업일지 데이터를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구조화/정형화하였다. 이를 위해 장비 고장과 관련된 4가지 분석 프레임, 고장인지, 고장원인, 고장대상, 조치결과를 구성하였고 분석 결과로는 크게 3가지의 효율화 방안과 관련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첫 번째로는 신속한 조치를 통한 시간 단축을 도모하고, 두 번째로는고장장비 Unit 수요를 예측하고, 마지막으로 현장 출동의 최소화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사례연구는통신시설 장비 고장 대응을 위해 데이터 분석 대상을 정형 데이터뿐만 아니라 장비일지라는 비정형 빅데이터로도 범위를 확장했으며, 이를 분석에 활용하기 위해 처음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시도를 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또한 N사는 정형 데이터 뿐 만아니라년 80만 건씩 축적되던 비정형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확인할 수 있던 기회를 가졌으며, 향후 비정형 데이터의 활용 방안에 대한 발전방향 그리고 추후의 정형 데이터와의 연계 분석 방안 등에 대한 가이드를 확보할 수 있었다. As the importance of the use and analysis of big data is emerging,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unstructured data such as news articles and comments. Particularly, as the collection of big data becomes possible, data mining techniques capable of pre-processing and analyzing data are emerging. In this case study with a telecom company, we propose a methodology how to formalize unstructured data using text mining. The domain is determined as equipment failure and the data is about 2.2 million equipment check ledger data. Data on equipment failures by 800,000 per year is accumulated in the equipment check ledger. The equipment check ledger coexist with both formal and unstructured data. Although formal data can be easily used for analysis, unstructured data is difficult to be used immediately for analysis. However, in unstructured data,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mportant information. Because it can be contained that is not written in a formal. Therefore, in this study, we study to develop digital transformation method for unstructured data in equipment check ledger. KCI Citation Count: 0
Author Yoosin Kim
Seung Ryul Jeong
주연진
Yeonjin Ju
김유신
정승렬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주연진
– sequence: 2
  fullname: Yeonjin Ju
– sequence: 3
  fullname: 김유신
– sequence: 4
  fullname: Yoosin Kim
– sequence: 5
  fullname: 정승렬
– sequence: 6
  fullname: Seung Ryul Jeong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6442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M1Kw0AURgepYNU-QTfZuHCROnMnyUyWRfwvFKT7MU1TiamtNG7cFQmuFBQsVmmkLsQuuihqBcEnaibv4GhFLtwLl_N9i7OIMs1W00MoT3CBGQzWjoLQ9wuAAReAFNQAm0NZAM50QqiVQVli2lzHhOEFlAtDv4pNShmjNs6iA_n4nHxGcnA9fe1oMv6SLx0Z97TfXzftdbXkaizj9zQaJx-RjGIZR1p6MUm7fW36NlBpLblUiRstfRjK_jC9v9Xk-Sh5UmV34-lktIzm604j9HJ_dwlVNjcq69t6qby1s14s6QE3QAcAirmHad3lxGXggWsa4GBi1Yhhc6a2ZXocPAbYtqhnu44DhBGHUM6rlkGX0Oqsttmui8D1Rcvxf-9hSwRtUdyv7AjLpqZqVezKjA388NQXzVrYELvFvfKPQiXP5MCVIKy4_D8XipO2f-y0zwRlpkmV2G8okop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JDI
ACYCR
DEWEY 004
DOI 10.7472/jksii.2020.21.1.127
DatabaseName KISS(한국학술정보)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ngineering
Computer Science
DocumentTitleAlternate 장비점검 일지의 비정형 데이터분석을 통한 고장 대응 효율화 사례 연구
Unstructured Data Analysis using Equipment Check Ledger: A Case Study in Telecom Domain
EISSN 2287-1136
EndPage 135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6935542
JAKO202012758285330
3755311
GroupedDBID .4S
AEMOZ
AHQJS
AKVCP
ALMA_UNASSIGNED_HOLDINGS
ARCSS
EBA
EBE
EBR
EBU
EDO
EPL
HZB
Q5X
TH9
TUS
JDI
ACYCR
ID FETCH-LOGICAL-k842-222308e03fc81c72e2c542a016d14987d1465e82e720963e9caa2171a1388b643
ISSN 1598-0170
IngestDate Sun Mar 09 07:53:15 EDT 2025
Fri Dec 22 12:04:09 EST 2023
Thu Apr 17 08:29:58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1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42-222308e03fc81c72e2c542a016d14987d1465e82e720963e9caa2171a1388b643
Notes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KISTI1.1003/JNL.JAKO202012758285330
http://www.jics.or.kr/digital-library/23327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01275828533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6935542
kisti_ndsl_JAKO202012758285330
kiss_primary_375531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00228
PublicationDateYYYYMMDD 2020-02-28
PublicationDate_xml – month: 02
  year: 2020
  text: 20200228
  day: 28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Inteonet jeongbo hakoe nonmunji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PublicationTitleAlternate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PublicationYear 2020
Publisher 한국인터넷정보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인터넷정보학회
SSID ssib053377390
ssib053835315
ssib001195163
ssib018233818
ssj0001908993
ssib036278810
ssib004698036
Score 2.1128685
Snippet 비정형 데이터의 수집, 분석 그리고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여전히 비정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수 이동통신 기업의 통신 시설장비 점검 시스템에 기록된 비정형데이터를 분석하여 장비고장 대응과 예방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As the importance of the use and analysis of big data is emerging,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unstructured data...
비정형 데이터의 수집, 분석 그리고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여전히 비정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수 이동통신 기업의 통신 시설장비 점검 시스템에 기록된 비정형데이터를 분석하여 장비고장대응과 예방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SourceID nrf
kisti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127
SubjectTerms Anomaly Detection
Equipment Ledger
Telecom Domain
Unstructured Data
고장예방
비정형분석
장비점검일지
컴퓨터학
통신시설
Title 장비점검 일지의 비정형 데이터분석을 통한 고장 대응 효율화 사례 연구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755311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01275828533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64425
Volume 2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2020, 21(1), , pp.127-135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btNAcNXHBQ48WhDlUVmIPVkJfsbro-MGlVY8DgX1ZmzHKUkgQWly4VShiBNIIFHRogaVA6KHHiqgSEh8UeP8AzO7duI-JB6KZK9ndya7s7uaGXtmlpAboEEEuh0YOVgwZTBQLD0XYMkslEGbKBcCnQeJ3blbmH9gLCyby2PjmxmvpU47yIfPT4wr-Z9ZBRjMK0bJ_sPMDokCAMowv3CFGYbrX80xLbnULlHHpKUiLdqUGQhx0HeBlhxaRD8GmTeao0WX11no2iAgNpOP4QElrIACr2OAlzYvGlgHTRECaIUEDa5QK9owQ-aNCrQoKJnUdmXeFx3pp_0VxN1MX1SOaDvUYRzk8gJAbGobfAxMo46LeI46HJbFO-PgvyU5JGsjz_xmI2rLNbitBE35sV9vRnKj2XjaadSqMtXn5Iwuvths4ReJrAureFUKFJKArazDAueWnrA06YTgrTFq4nDOKuloeIFB75VDVATPoYY3x9EpdJQOc6HDRSSMoZZkSE9e0IA1Pgp4T2QKRjGq4nyUfMRhGhiqOTxOJyuIRKj4oQ0npIoq0ickCooq8rsclX1gF2Iu3Vp9tVrNYz_ympqHX4qbzTR-RAMY-mUuOIv3EBWz_mNqQ11XxsmkZoFaOkEmncWH7v2Rrq2Ccp7J3YZHkYI6lD6D3aqjNpg-g6KEJxcMhQPQtiw9-UTLX4jyL9A8ICZlmMgShgO7ecKwQIkCG2sVrEo0taqgHDZalYxyuHSOnElWkuSILXqejNWbU-RsemKKlAjQKXI6k_5zmjyKP37u_-zG228Ovq5Jce9X_GUt7m1IHLY-2FiX-q_34t73QXev_6Mbd3txrysNXu4P1rekg2_bgC31XwHGW2nwYSfe2hlsvpPiF7v9T0Ds_d7B_u4FsnSrtOTO55ITT3J1hmFyoKsrLFL0SsjU0NIiLTQNzQerrKwaNrPgWjAjpkWWpoDgjOzQ9zXVUn1VZywA2-IimYCNFF0iUoUZPppXYaQFRhgFfkULGaDaYM-UAz-cIdPIPO-ZyGnj6ZYJ0lidIbOcmV6jvPrEO2E5zJDrwGWvHlY9TEyP95WmV295YH7f9gp4WoOhXf4TlSvk1GinXCUT7VYnugbKfTuYTZbZb_QQ2Gs
linkProvider EBSCOhost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E%A5%EB%B9%84%EC%A0%90%EA%B2%80+%EC%9D%BC%EC%A7%80%EC%9D%98+%EB%B9%84%EC%A0%95%ED%98%95+%EB%8D%B0%EC%9D%B4%ED%84%B0%EB%B6%84%EC%84%9D%EC%9D%84+%ED%86%B5%ED%95%9C+%EA%B3%A0%EC%9E%A5+%EB%8C%80%EC%9D%91+%ED%9A%A8%EC%9C%A8%ED%99%94+%EC%82%AC%EB%A1%80+%EC%97%B0%EA%B5%AC&rft.jtitle=Inteonet+jeongbo+hakoe+nonmunji+%3D+Journal+of+Korean+Society+for+Internet+Information&rft.au=%EC%A3%BC%EC%97%B0%EC%A7%84&rft.au=%EA%B9%80%EC%9C%A0%EC%8B%A0&rft.au=%EC%A0%95%EC%8A%B9%EB%A0%AC&rft.au=Ju%2C+Yeonjin&rft.date=2020-02-28&rft.issn=1598-0170&rft.eissn=2287-1136&rft.volume=21&rft.issue=1&rft.spage=127&rft.epage=135&rft_id=info:doi/10.7472%2Fjksii.2020.21.1.12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201275828533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0170&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0170&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0170&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