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의 정치적 효과: 정치적 불만과 참여의 활성화
정치불신과 정치적 냉소주의, 그리고 정치참여의 저조라는 일반적인 현상에도 불구하고, 왜 그토록 많은 이들이 촛불집회에 참여하였는가? 이 글은 탄핵을 둘러싼 정치참여의 활성화가 정책결정자들에 대한 불만이 강하게 형성된 상황에서 개인의 정치참여를 촉진시키는 다양한 조건들이 결부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주장한다. 경험적 분석에 따르면, 박근혜 정부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특정 정책결정자들에 대한 인식으로서 처벌욕구를 유발하고 정치참여를 촉진시키는 요인이 되어, 더 많은 정치적 관심과 참여로 이끌었다. 이러한 효과는 개인의 심리적 정향 그리고...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과 국제정치 Vol. 33; no. 4; pp. 1 - 25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31.12.2017
극동문제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3006 2713-7570 |
DOI | 10.17331/kwp.2017.33.4.001 |
Cover
Summary: | 정치불신과 정치적 냉소주의, 그리고 정치참여의 저조라는 일반적인 현상에도 불구하고, 왜 그토록 많은 이들이 촛불집회에 참여하였는가? 이 글은 탄핵을 둘러싼 정치참여의 활성화가 정책결정자들에 대한 불만이 강하게 형성된 상황에서 개인의 정치참여를 촉진시키는 다양한 조건들이 결부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주장한다.
경험적 분석에 따르면, 박근혜 정부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특정 정책결정자들에 대한 인식으로서 처벌욕구를 유발하고 정치참여를 촉진시키는 요인이 되어, 더 많은 정치적 관심과 참여로 이끌었다. 이러한 효과는 개인의 심리적 정향 그리고 감정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받는 바, 높은 정치효능감이 보다 적극적인 참여의 동기가 되어 박근혜 정부에 대한 정치적 불만의 효과를 배가시켰다. 더불어 탄핵으로 파생된 정치환경은 이전 선거에서 박근혜 후보와 새누리당을 지지했던 유권자들보다 지지하지 않았던 유권자들에게 적극적인 참여의 충분한 동기가 되었으며, 문재인이라는 강력한 대안의 존재는 이들의 참여를 더욱 촉진하는 또 다른 조건이었다.
Why did so many citizens participate in the candlelight protest? This paper claims that recent activa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is the consequence of several psychological factors combined. Initially, the extremely negative evaluation on Park Geun-hye’s administration stimulated citizens’ aspiration to punish the incumbent, and the impacts became more salient to those with high level of political efficacy, intensive emotional feeling such as anger and enthusiasm, and strong belief in democracy.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strong alternative such as candidate Moon Jae-in provided a good chance for the citizens to participate actively in politics. |
---|---|
Bibliography: |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Kyungnam University http://ifes.kyungnam.ac.kr/kor/PUB/PUB_0103V.aspx?code=PRI171229_0001 |
ISSN: | 1225-3006 2713-7570 |
DOI: | 10.17331/kwp.2017.33.4.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