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Net모형을 이용한 탄소세와 에너지세의 정책효과 비교분석

This paper compares the economic effects of climate policy options in Korea. The impacts and implications of carbon and Btu tax schemes are analyzed using the META Net modeling system, which was developed at the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LLNL). Findings indicate that carbon tax is mor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자원·환경경제연구 Vol. 12; no. 2; pp. 275 - 298
Main Authors 신의순, Sin Ui Sun, 김호석, Kim Ho Seo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30.06.2003
한국환경경제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9146
2765-5253

Cover

Abstract This paper compares the economic effects of climate policy options in Korea. The impacts and implications of carbon and Btu tax schemes are analyzed using the META Net modeling system, which was developed at the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LLNL). Findings indicate that carbon tax is more cost effective compared to Btu tax, but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former is more desirable than the latter. Energy market stability and national energy security is equally important in choosing policy options. Moreover Btu tax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general. It reduces not only carbon intensive energy sources, but non-fossil fuel like electricity. Korean economy consumes too much energy and energy efficiency is very low compared to other OECD countries. So the reduction of energy demand growth should be the first priority of the national energy policy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탄소세와 에너지세의 부과가 우리나라의 에너지수요에 미치는 영향과 두 조세의 정책효과를 META Net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는 CGE 모형이나 거시계량모형을 이용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 상향모형인 META Net모형을 이용하여 탄소세와 에너지세가 우리나라의 에너지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일정한 온실가스 감축량을 달성하는데 있어 탄소세가 에너지세보다 비용효과적이지만 국내 기후정책수단으로 에너지세 역시 중요한 정책수단임을 알 수 있다. 에너지세의 경우에 탄소세에 비해 에너지소비가 더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에너지절약과 에너지효율기술 개발의 더 큰 유인을 제공한다. 또한 에너지세는 주어진 탄소감축량을 에너지 열량 기반의 조세를 통해 달성하기 때문에 탄소세에 비해 에너지가격을 크게 상승시켜 탄소세에 비해 조세수입이 더 크다. 따라서 에너지세의 도입은 관련 기술개발에 대한 유인을 제공하는 동시에 그 개발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는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List 현재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우리나라의 기본 정책방향은 에너지절약기술과 온실가스 저감기술의 개발을 촉진하여 중장기적인 저감 잠재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략은 우리나라의 입장을 적절히 고려한 정책이기는 하지만 기술개발을 효과적으로 유인하기 위해서는 시장기반적 정책수단의 도입이 요구된다. 탄소세는 온실가스 감축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정책수단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실제 탄소세의 도입에는 많은 논란과 어려움이 수반된다. 에너지세는 에너지소비를 줄이고 에너지절약기술의 개발을 유인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탄소세와 더불어 중요한 기후정책수단으로 제시되고 있다. 두 조세는 모두 에너지가격을 상승시켜 온실가스를 줄이는 효과가 있지만 에너지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상이한 측면이 있다. 본 연구는 META·Net 경제모형 구축 시스템을 이용하여 META·Net Korea모형을 구축하고, 기후정책수단으로서의 탄소세와 에너지세가 에너지가격, 에너지소비, 그리고 재정수입 등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일한 온실가스 감축량을 달성하는데 있어 에너지세의 경우 에너지소비가 더 크게 감소한다. 이는 탄소세에 비해 에너지세 하에서 에너지절약과 에너지효율기술 개발의 유인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장기반적 정책수단의 가장 큰 특징은 장기적으로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촉진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탄소세를 부과하는 경우에도 기대할 수 있지만, 탄소세의 경우 에너지원간 대체가 에너지효율기술의 개발에 대한 유인을 일부 상쇄시켜 에너지세에 비해 낮은 유인을 제공한다.둘째, 탄소세는 에너지세보다 비용효과적이다. 현재의 추세대로라면 2043년 우리나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억 2,800만TC(탄소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 배출량의 18.5%를 탄소세나 에너지세의 부과로 감축하고자 할 때 에너지 사용자가 직면하게 되는 직접비용의 증가는 탄소세 시나리오의 경우 217억 달러, 에너지세 시나리오의 경우 447억 달러로 에너지세 부과에 따른 비용 증가폭이 훨씬 크다. 만약 우리나라가 이산화탄소 감축의무를 빠른 시일내에 지게 되는 경우 탄소세의 도입은 적절한 정책일 수 있다. 그러나 이 때 전체 1차에너지의 20%를 차지하는 석탄이 빠르게 가스로 대체될 것이고 그로 인해 석탄 이용 관련 자본의 손실이 발생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탄소세의 도입은 가스의 소비를 급격히 증가시켜 에너지공급의 안정성을 저해하고 상업·가정부문의 에너지 관련 직접비용을 증가시키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단기에 온실가스를 감축할 의무가 없는 우리나라의 현 상황에서 성급한 탄소세의 도입은 적지 않은 사회적 비용을 초래할 수도 있다. 셋째, 에너지세는 주어진 탄소감축량을 에너지 열량 기반의 조세를 통해 달성하기 때문에 탄소세에 비해 에너지가격을 크게 상승시켜 조세수입이 월등히 크다. 에너지효율성 향상과 에너지절약형 경제구조 구축을 핵심적인 기후변화협약 대응방안으로 제시한 우리나라에 있어서 에너지세 수입은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술개발은 지속적인 투자가 요구되는 반면, 지적재산권이 강하게 보호되지 않으면 투자의 편익이 매우 작은 공공재적 특성이 있다. 따라서 에너지기술이나 온실가스 저감기술 ... KCI Citation Count: 1
This paper compares the economic effects of climate policy options in Korea. The impacts and implications of carbon and Btu tax schemes are analyzed using the META Net modeling system, which was developed at the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LLNL). Findings indicate that carbon tax is more cost effective compared to Btu tax, but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former is more desirable than the latter. Energy market stability and national energy security is equally important in choosing policy options. Moreover Btu tax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general. It reduces not only carbon intensive energy sources, but non-fossil fuel like electricity. Korean economy consumes too much energy and energy efficiency is very low compared to other OECD countries. So the reduction of energy demand growth should be the first priority of the national energy policy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탄소세와 에너지세의 부과가 우리나라의 에너지수요에 미치는 영향과 두 조세의 정책효과를 META Net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는 CGE 모형이나 거시계량모형을 이용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 상향모형인 META Net모형을 이용하여 탄소세와 에너지세가 우리나라의 에너지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일정한 온실가스 감축량을 달성하는데 있어 탄소세가 에너지세보다 비용효과적이지만 국내 기후정책수단으로 에너지세 역시 중요한 정책수단임을 알 수 있다. 에너지세의 경우에 탄소세에 비해 에너지소비가 더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에너지절약과 에너지효율기술 개발의 더 큰 유인을 제공한다. 또한 에너지세는 주어진 탄소감축량을 에너지 열량 기반의 조세를 통해 달성하기 때문에 탄소세에 비해 에너지가격을 크게 상승시켜 탄소세에 비해 조세수입이 더 크다. 따라서 에너지세의 도입은 관련 기술개발에 대한 유인을 제공하는 동시에 그 개발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는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uthor 신의순
Sin Ui Sun
김호석
Kim Ho Seog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신의순
– sequence: 2
  fullname: Sin Ui Sun
– sequence: 3
  fullname: 김호석
– sequence: 4
  fullname: Kim Ho Seog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89312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jD1Lw0AAhoNUsNb-ApcsgoOB-8gluTGUqtVqoWQ_0stFQmoqSRe3glEcHLoUazHgZnUTP1DwFzWX_2BrxenhfXl41pVS1IvEilJGpkE0ggguKWWIENUo1I01pZokQQcAiixkYlpW2kd1x945Fv38eVqMRzJLVZm9yclTMbpXi4tUXt3I9FPeDVR5O8zTa_k4WOxsrMqHkXy5LCbT2eu3mn-ls_dh_pHKNNtQVn23m4jqHyuKs1t3avtas7XXqNlNLbQw1TDwCecWoYC7rjA7SKe-IEhgonsehxwIjkUHIAiJQTx_fhlQd10uDNe3AES4omwvs1Hss5AHrOcGvzzpsTBmdttpMAPrOqRzdWuphkHSD1jkJV12YB-2EAAYmoTM0wSBRXLz30vYWRycuvE5Q8DSKbbwDyhGepI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JDI
ACYCR
DEWEY 333.7
DatabaseName 한국학술정보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Law
Environmental Sciences
DocumentTitleAlternate META,Net모형을 이용한 탄소세와 에너지세의 정책효과 비교분석
EISSN 2765-5253
EndPage 29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634419
JAKO200317551615202
2084938
GroupedDBID .UV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Q5X
JDI
ACYCR
ID FETCH-LOGICAL-k839-30f5cc8590caae7b249fe52e354ddc1c0ec3eb0211565dfdc1614aace6af80123
ISSN 1229-9146
IngestDate Sun Mar 09 07:53:50 EDT 2025
Fri Dec 22 11:59:03 EST 2023
Tue Oct 14 02:10:15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Keywords Net
META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39-30f5cc8590caae7b249fe52e354ddc1c0ec3eb0211565dfdc1614aace6af80123
Notes The Korea Resource Economics Association
KISTI1.1003/JNL.JAKO200317551615202
G704-000752.2003.12.2.003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031755161520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24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634419
kisti_ndsl_JAKO200317551615202
kiss_primary_208493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03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03-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03
  text: 2003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00
PublicationTitle 자원·환경경제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자원·환경경제연구
PublicationYear 2003
Publisher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한국환경경제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 name: 한국환경경제학회
SSID ssib009282739
ssib053377400
ssib016108118
ssib044742686
Score 1.32707
Snippet This paper compares the economic effects of climate policy options in Korea. The impacts and implications of carbon and Btu tax schemes are analyzed using the...
현재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우리나라의 기본 정책방향은 에너지절약기술과 온실가스 저감기술의 개발을 촉진하여 중장기적인 저감 잠재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SourceID nrf
kisti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275
SubjectTerms Carbon Tax
Climate policy
META
Net model
Net 모형
경제학
기후정책
탄소세
Title META,Net모형을 이용한 탄소세와 에너지세의 정책효과 비교분석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2084938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031755161520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893124
Volume 12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자원환경경제연구, 2003, 12(2), , pp.275-298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765-5253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2686
  issn: 1229-9146
  databaseCode: M~E
  dateStart: 1992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b9MwFLfWnbgg2JhWPqYg4VNVlCZOah_jLmgMNg4r0m5R4iSoKmrR1gmJA5pEQBw47DIxJipxY3BDfEuc-HPW9H_g2UmbDE3i45K-2E_vPfs58e-l9jNC1_zYDxuCsjojNJZJtfU6DU1RDw07okGDCab-0V1bt1fuktVNa3OmslhatbQzCK6LR6fuK_kfr0IZ-FXukv0Hz06FQgHQ4F-4gofh-lc-XnPbDm4ZmDfXowF2OXYc7FDsLmNGMbOw28JsGVNSyylOFAFMTDFZmLVqkqImcMk6amPaUgTBnCpuhqmeCWhipkstUEdVndOUCyVOcEvVitvRcwt4A1NLqcuMczA3MZd6OeZM6YUiK5fN7YklBISVobMS7yo2ILgkVNOVaCZbLOVAyXKJyOxo5eZzPddVJJxUqrjkmlivSqD7SiyOMlTPOzZraWGfSnCZpWJwdzq1jX55ZYN63Fb68E7Og5nJFxZzshxwOikYBozlyafSyaxhlJ4OozwFZCfB5GjCyM7YPpno-7cJeLosctW5dUcaAJDOkkjckFlSK2ZDnsyx9tidvicZxMnNIpsrsAKwKzAGIU3AXUVaQED0APLVbqxpUwCBQICyDSGZjFM6gKx6W3EJWbXPobN5SKQ52fg-j2a6_Tm04BY7MKEyn4K251Dltv9wHm3Iof_zKwz70fuj8cF-Oky0dPgpPXw33n-tjZ8k6bMXafItfbWrpS_3Rsnz9O2uvB8eaOmb_fTD0_Hh0fHHH9roe3L8eW_0JUmT4QXUvuG2Wyv1_HyQehdgPbgotoSgFtOF70fNwCAsjiwjMi0ShqIh9EiYUQAYtgFBSxhDEUBR3xeR7ccSl5kLaLbX70WLSKNWTAXEMkTEIQmoTaGH7VgevUBpQEK_iuZlb3kPsgwwnqFTwkxaRUuq97xeuH3fO8V7VXQVutXrio4n07jL33t9r7vlQbB607NNiEXYxT8JuYTOFKPyMpodbO1EVwAJD4IlNSx-Ad_JlO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META%C2%B7Net%EB%AA%A8%ED%98%95%EC%9D%84+%EC%9D%B4%EC%9A%A9%ED%95%9C+%ED%83%84%EC%86%8C%EC%84%B8%EC%99%80+%EC%97%90%EB%84%88%EC%A7%80%EC%84%B8%EC%9D%98+%EC%A0%95%EC%B1%85%ED%9A%A8%EA%B3%BC+%EB%B9%84%EA%B5%90%EB%B6%84%EC%84%9D&rft.jtitle=%EC%9E%90%EC%9B%90%C2%B7%ED%99%98%EA%B2%BD%EA%B2%BD%EC%A0%9C%EC%97%B0%EA%B5%AC&rft.au=%EC%8B%A0%EC%9D%98%EC%88%9C&rft.au=%EA%B9%80%ED%98%B8%EC%84%9D&rft.au=Shin%2C+Eui+Soon&rft.au=Kim%2C+Ho+Seok&rft.date=2003-06-30&rft.issn=1229-9146&rft.volume=12&rft.issue=2&rft.spage=275&rft.epage=298&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0317551615202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914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914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914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