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 내에서 배양한 각막윤부 상피세포 이식술의 장기 경과 관찰 결과
목적 : 각막윤부 결핍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생체 내에서 배양된 각막윤부 상피세포 이식술을 각막윤부 결핍증 환자에게 시행한 후, 이식된 세포의 성상을 압흔 세포진단 검사(impression cytology)를 시행하여 장기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재발성 군날개, 화학 화상, 거짓군날개 등 각막윤부 결핍증으로 진단되어 생체 내 배양한 각막윤부 상피세포 이식술을 시행받은 환자 22명 22안을 대상으로 하여, 일주일동안 생체 내 각막윤부 상피세포를 배양한 양막을 부분 생검하여 배양결핍 부위에 이식한 지 1주, 3개월, 6...
        Saved in:
      
    
          |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9; no. 3; pp. 415 - 424 | 
|---|---|
| Main Authors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31.03.2008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 Summary: | 목적 : 각막윤부 결핍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생체 내에서 배양된 각막윤부 상피세포 이식술을 각막윤부 결핍증 환자에게 시행한 후, 이식된 세포의 성상을 압흔 세포진단 검사(impression cytology)를 시행하여 장기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재발성 군날개, 화학 화상, 거짓군날개 등 각막윤부 결핍증으로 진단되어 생체 내 배양한 각막윤부 상피세포 이식술을 시행받은 환자 22명 22안을 대상으로 하여, 일주일동안 생체 내 각막윤부 상피세포를 배양한 양막을 부분 생검하여 배양결핍 부위에 이식한 지 1주, 3개월, 6개월, 1년째에 압흔 세포진단 검사로 세포를 채취하고 Periodic Acid-Schiff 염색 및 각막상피와 결막상피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배양되어 이식된 상피세포의 성상을 알아보았다. 결과 : 생체 내 배양된 각막윤부 상피세포 이식술 후 1주, 3개월, 6개월, 1년째까지 압흔 세포진단검사 결과, 이식된 각막상피세포가 그 성상을 잘 유지하고 있었다. 결론 : 생체 내에서 배양된 각막윤부 상피세포 이식술은 압흔 세포진단 검사를 통한 추적검사 결과, 1년까지 각막상피 세포의 성상을 잘 유지하고 있었고, 임상적으로도 재발이 적으며 미용적으로도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는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한안지 49(3):415-424, 2008>
Purpos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s of long-term follow-up of limbal epithelial cells cultivated in vivo on amniotic membranes (LIVAM) in corneal limbal deficiency. Methods: Twenty-two eyes of twenty-two patients diagnosed with corneal limbal deficiency underwent transplantation of in vivo cultivated corneal limbal epithelial cells on the amniotic membrane. Biopsy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E5, MUC5AC) of the amniotic membrane cultivated for one week were performed to verify that the cultivated epithelial cells on the amniotic membrane were corneal epithelial cells. Impression cytolog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lanted corneal limbal epithelial cells at postoperative 1 week, 3 months, 6 months, and 1 year. Results: Successful epithelial growth was observed on the amniotic membrane at one week. The epithelial cells were confirmed to be corneal epithelial cells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ransplanted in vivo cultivated corneal epithelial cells were confirmed to have corneal specificity by impression cytology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t postoperative 1 week, 3 months, 6 months, and 1 year. Conclusions: In vivo cultured corneal epithelial cells showed morph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findings similar to those of normal corneal epithelial cells. Transplanted in vivo cultivated corneal epithelial cells were maintained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corneal epithelial cells. Transplantation of in vivo cultivated corneal limbal epithelial cells can be performed to reconstruct the corneal limbus in treating corneal limbal deficiency. J Korean Ophthalmol Soc 49(3):415-424, 2008 |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8.49.3.016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