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결혼 합법화는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여론과 정당정치 그리고 연방주의

이 글은 동성결혼 합법화를 둘러싼 미국사회의 논란과 합법화 과정, 그리고 그 원인을 고찰함으로써, 미국사회에서 가치갈등이 어떠한 담론을 중심으로 표출되고 종결되었는지 파악한다. 그 속에서 미국사회와 정당정치 그리고 보다 근본적으로는 미국의 다원주의가 어떠한 변모를 겪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미국사회의 대표적인 가치갈등 이슈 중 하나인 동성결혼 문제는 연방대법원의 판결로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동성애 문제를 바라보는 미국사회 여론의 변화, 사회적 소수집단의 하나로 시민으로서의 권리보장이라는 새로운 프레임으로 논쟁의 초점을 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과 국제정치 Vol. 31; no. 4; pp. 177 - 201
Main Authors 유성진, Sung Jin Y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31.12.2015
극동문제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3006
2713-7570
DOI10.17331/kwp.2015.31.4.006

Cover

Abstract 이 글은 동성결혼 합법화를 둘러싼 미국사회의 논란과 합법화 과정, 그리고 그 원인을 고찰함으로써, 미국사회에서 가치갈등이 어떠한 담론을 중심으로 표출되고 종결되었는지 파악한다. 그 속에서 미국사회와 정당정치 그리고 보다 근본적으로는 미국의 다원주의가 어떠한 변모를 겪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미국사회의 대표적인 가치갈등 이슈 중 하나인 동성결혼 문제는 연방대법원의 판결로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동성애 문제를 바라보는 미국사회 여론의 변화, 사회적 소수집단의 하나로 시민으로서의 권리보장이라는 새로운 프레임으로 논쟁의 초점을 재편한 우호집단들의 노력, 그리고 오바마 대통령을 중심으로한 민주당이 이를 적극적으로 정치 쟁점화함으로써 사회적 합의를 만들어낸 과정이 있었다. 이러한 과정은 분열의 잠재성이 다분한 가치갈등 이슈를 통합의 이슈로 전환시키고 그 속에서 사회적 합의를 제도화하는 미국정치의힘을 보여주는 것으로, 통합을 중요한 덕목으로 하는 미국 다원주의가 원활히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대의제민주주의가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떠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분명하게 보여주었다. 결국 문제 해결의 출발점은 미국사회를 지탱해온 개인주의와 다원성의 인정이라는 대원칙에 기반을 두어, 분열의 이슈를 어떻게 통합의 이슈로 치환할 수 있을지 방법을 모색하고 이를 사회 구성원들에게 확산시 킴으로써 해결의 단초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사회 변화를 읽고 이를 적극적으로 정치 쟁점화함으로써 제도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정당과 정치행위자들의 역할이 필요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legalization process of same-sex marriage in the U.S., focusing on the controversy around it and the roles of public opinion, political parties, and the U.S. Supreme Court. As one of typical value-conflicting issues in the U.S., the leg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has been resolved with the decision of the U.S. Supreme Court. But, with careful examination of the process, three main factors are interacting each other in the leg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First, public opinion toward it becomes more and more positive, especially after several judicial disputes in state court around 2010s. Second, new framing on this issue turned out to be successful in the legalization of it. The civic groups supporting legalization has changed the issue with new frame which makes same-sex marriage as rights and discrimination issue on citizens, rather than same-sex couples themselves. Finally, president Obama and the Democratic Party decided to make it public agenda in order to isolate the Republican Party from the mass public. The legalization process of same-sex marriage proves once again what is to be done to resolve social conflicts in the U.S. narrowly and representative democracy in general. Grounded in fundamental values such as individualism and pluralism, policy-makers should consider how to integrate the mass public first,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political actors such as political parties should playing key role in the process of resolution.
AbstractList 이 글은 동성결혼 합법화를 둘러싼 미국사회의 논란과 합법화 과정, 그리고 그 원인을 고찰함으로써, 미국사회에서 가치갈등이 어떠한 담론을 중심으로 표출되고 종결되었는지 파악한다. 그 속에서 미국사회와 정당정치 그리고 보다 근본적으로는 미국의 다원주의가 어떠한 변모를 겪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미국사회의 대표적인 가치갈등 이슈 중 하나인 동성결혼 문제는 연방대법원의 판결로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동성애 문제를 바라보는 미국사회 여론의 변화, 사회적 소수집단의 하나로 시민으로서의 권리보장이라는 새로운 프레임으로 논쟁의 초점을 재편한 우호집단들의 노력, 그리고 오바마 대통령을 중심으로한 민주당이 이를 적극적으로 정치 쟁점화함으로써 사회적 합의를 만들어낸 과정이 있었다. 이러한 과정은 분열의 잠재성이 다분한 가치갈등 이슈를 통합의 이슈로 전환시키고 그 속에서 사회적 합의를 제도화하는 미국정치의힘을 보여주는 것으로, 통합을 중요한 덕목으로 하는 미국 다원주의가 원활히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대의제민주주의가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떠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분명하게 보여주었다. 결국 문제 해결의 출발점은 미국사회를 지탱해온 개인주의와 다원성의 인정이라는 대원칙에 기반을 두어, 분열의 이슈를 어떻게 통합의 이슈로 치환할 수 있을지 방법을 모색하고 이를 사회 구성원들에게 확산시 킴으로써 해결의 단초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사회 변화를 읽고 이를 적극적으로 정치 쟁점화함으로써 제도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정당과 정치행위자들의 역할이 필요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legalization process of same-sex marriage in the U.S., focusing on the controversy around it and the roles of public opinion, political parties, and the U.S. Supreme Court. As one of typical value-conflicting issues in the U.S., the leg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has been resolved with the decision of the U.S. Supreme Court. But, with careful examination of the process, three main factors are interacting each other in the leg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First, public opinion toward it becomes more and more positive, especially after several judicial disputes in state court around 2010s. Second, new framing on this issue turned out to be successful in the legalization of it. The civic groups supporting legalization has changed the issue with new frame which makes same-sex marriage as rights and discrimination issue on citizens, rather than same-sex couples themselves. Finally, president Obama and the Democratic Party decided to make it public agenda in order to isolate the Republican Party from the mass public. The legalization process of same-sex marriage proves once again what is to be done to resolve social conflicts in the U.S. narrowly and representative democracy in general. Grounded in fundamental values such as individualism and pluralism, policy-makers should consider how to integrate the mass public first,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political actors such as political parties should playing key role in the process of resolution.
이 글은 동성결혼 합법화를 둘러싼 미국사회의 논란과 합법화 과정, 그리고 그 원인을 고찰함으로써, 미국사회에서 가치갈등이 어떠한 담론을 중심으로 표출되고 종결되었는지 파악한다. 그 속에서 미국사회와 정당정치 그리고 보다 근본적으로는 미국의 다원주의가 어떠한 변모를 겪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미국사회의 대표적인 가치갈등 이슈 중 하나인 동성결혼 문제는 연방대법원의 판결로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동성애 문제를 바라보는 미국사회 여론의 변화, 사회적 소수집단의 하나로 시민으로서의 권리보장이라는 새로운 프레임으로 논쟁의 초점을 재편한 우호집단들의 노력, 그리고 오바마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민주당이 이를 적극적으로 정치 쟁점화함으로써 사회적 합의를 만들어낸 과정이 있었다. 이러한 과정은 분열의 잠재성이 다분한 가치갈등 이슈를 통합의 이슈로 전환시키고 그 속에서 사회적 합의를 제도화하는 미국정치의 힘을 보여주는 것으로, 통합을 중요한 덕목으로 하는 미국 다원주의가 원활히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대의제민주주의가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떠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분명하게 보여주었다. 결국 문제 해결의 출발점은 미국사회를 지탱해온 개인주의와 다원성의 인정이라는 대원칙에 기반을 두어, 분열의 이슈를 어떻게 통합의 이슈로 치환할 수 있을지 방법을 모색하고 이를 사회 구성원들에게 확산시킴으로써 해결의 단초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사회 변화를 읽고 이를 적극적으로 정치 쟁점화함으로써 제도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정당과 정치행위자들의 역할이 필요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legalization process of same-sex marriage in the U.S., focusing on the controversy around it and the roles of public opinion, political parties, and the U.S. Supreme Court. As one of typical value-conflicting issues in the U.S., the leg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has been resolved with the decision of the U.S. Supreme Court. But, with careful examination of the process, three main factors are interacting each other in the leg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First, public opinion toward it becomes more and more positive, especially after several judicial disputes in state court around 2010s. Second, new framing on this issue turned out to be successful in the legalization of it. The civic groups supporting legalization has changed the issue with new frame which makes same-sex marriage as rights and discrimination issue on citizens, rather than same-sex couples themselves. Finally, president Obama and the Democratic Party decided to make it public agenda in order to isolate the Republican Party from the mass public. The legalization process of same-sex marriage proves once again what is to be done to resolve social conflicts in the U.S. narrowly and representative democracy in general. Grounded in fundamental values such as individualism and pluralism, policy-makers should consider how to integrate the mass public first,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political actors such as political parties should playing key role in the process of resolution. KCI Citation Count: 5
Author 유성진
Sung Jin Yoo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유성진
– sequence: 2
  fullname: Sung Jin Yoo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6164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zM9KAlEUBvBLGGTmC9RmNkGbme6fufeObULMSpCEcD_ccWZimFJxiGjXopUFbdTGRWBEQeDCNCjJJ5o7vkNDSpvzfefw46yDVL1RdwDYRFBDnBC06181NQwR1QjSdA1CtgLSmCOicsphCqQRxlQlyX0NZIPAsyBEiCKKSRq48qEf335E49E8nCnz7rscd-f9jmx3lLj3KXs_0fheiUY3sv0674ZxmJROsu7vKfHjUD4PoslMiQddeTdNZjwNlejrW74No8kgASM5eo9fZvFTuAFWXXEeONllZkD1sFgtHKvlylGpkC-rvkGYyhgTwqVGTXDu2g50mU0c27YcS7AaxMJybYYtC3MhdIidmqUbrp2zqWXkMMMsRzJgZ_G23nJNv-aZDeH95VnD9Ftm_rRaMinUOaIJ3V7Sy5Z34dieMJtJEa1r86RyUESIU8h1lrithfO9IPgnhBiMUJ38AnV-k6I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ACYCR
DOI 10.17331/kwp.2015.31.4.006
DatabaseName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동성결혼 합법화는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여론과 정당정치 그리고 연방주의
Leg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in the U.S.: Public Opinion, Party Politics, and Federalism
DocumentTitle_FL Leg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in the U.S.: Public Opinion, Party Politics, and Federalism
EISSN 2713-7570
EndPage 201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504715
NODE11750746
3386354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ID FETCH-LOGICAL-k836-666aaf58ca77fde0f6d3eddbeba6c02abfd62bb27aa402ecb48fd9d5b89262693
ISSN 1225-3006
IngestDate Sun Apr 21 03:23:23 EDT 2024
Thu Mar 13 19:38:33 EDT 2025
Tue Sep 03 02:19:05 EDT 2024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4
Keywords 연방주의
Representative Democracy
대의제민주주의
Pluralism
Federalism
동성결혼
가치갈등
Value Conflict
다원주의
Same-sex Marriag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36-666aaf58ca77fde0f6d3eddbeba6c02abfd62bb27aa402ecb48fd9d5b89262693
Notes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Kyungnam University
G704-000296.2015.31.4.005
http://ifes.kyungnam.ac.kr/kor/PUB/PUB_0103V.aspx?code=PRI151231_0001
PageCount 25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504715
nurimedia_primary_NODE11750746
kiss_primary_338635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5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5-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5
  text: 2015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한국과 국제정치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과국제정치(KWP)
PublicationYear 2015
Publisher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극동문제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 name: 극동문제연구소
SSID ssib001151523
ssib009283472
ssib010775490
ssib044738240
ssib014284843
ssib030194618
Score 1.9489858
Snippet 이 글은 동성결혼 합법화를 둘러싼 미국사회의 논란과 합법화 과정, 그리고 그 원인을 고찰함으로써, 미국사회에서 가치갈등이 어떠한 담론을 중심으로 표출되고...
SourceID nrf
nurimedia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77
SubjectTerms Federalism
Pluralism
Representative Democracy
Same-sex Marriage
Value Conflict
가치갈등
다원주의
대의제민주주의
동성결혼
연방주의
정치외교학
Title 동성결혼 합법화는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여론과 정당정치 그리고 연방주의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386354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75074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61641
Volume 3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과 국제정치, 2015, 31(4), 91, pp.177-201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713-7570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240
  issn: 1225-3006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1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A9tPehFlCrWjxLBOZWt-ZzMeJEkTalC66VCb0s-pSxspbYIHooHT1Xw0q3bg1ARhUIPaytosX_RJvs_-N4k2aS2QvUyzLy8-eXNvEnmzSTzniTdg1k9iJTIbKg01BpGEuJPABpuwJs89BPuqxaed55foHNPjcdL5tLI6Eb9dMlaMB2-OvNcyf9oFWigVzwl-w-aHYICAfKgX0hBw5CeS8fEcwibJZwTzyXMII5KPJs4GnEU4s0QzojjTomcSWyO3HAN8kjhhBuivg2ZKQTglDiChBmnQGIIYCMgUwp22ywgAR-rseoSQpbM-izuNggOi9guctgqsRXBoeeSuVhGgaA2CMdrFBeLnOV3t4jDBAAVSALAVkpwR9weUjsHQHBxCbugbn2XcucQ0CczdWGGpFwG97QwOB51ePVDV1cbKOJOgrNSAhQtkgelK7dUVLN03Fg8BGXDeE2LDjbPYSdEKBqYSycojIJaarMJvCxh1CuFr29B0yxVb1hmHi2lmDXUIpJNboBo-e7OqbkNo2vCiGy9RDerqjmtq9Po-f0MR-J_TPAnXIm3wuXms5Vma7UJC6ZHTVMB68QclS5oFqUYAWR-w6vMabR2a-YjB1u0Fm1AFe4Tq6-s6LzPqIUPgrmDG7SyfQzD0pmWn1Eue6Y4x4Ztu3-qZWAmwSrqBZh97VWwFi-21zHkBbw3aybg4hXpcrF2k-38QbwqjbRWxqUkfb-TvfnWP-gNusfyoLOXHnQGO1vp5pacbX9Pt3_1D97J_d7rdPPLoNPNupDZguLDB3L2YT_9tNs_PJaz3U769gjS7Kgr93_8TL_u9w93gaGX9vayz8fZx-41aXHWW3TnGkXwkkaL6bRBKfX9xGShb1lJFCsJjfQ4ioI48GmoaH6QRFQLAs3yfUPR4jAwWBLxyAwYOvCkXL8ujbVX2vENSTaCQAnQLV4Epr-ZKCwOTfx8ypNQp2CeTEjj2EvN57l7mqauM1hFGBPSXeg1oe-_6n1Cmhz26bD-wpMZDx34YiSim-cAuSVdqh6i29LY2up6fAcs9bVgUgyn35jkwiI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F%99%EC%84%B1%EA%B2%B0%ED%98%BC+%ED%95%A9%EB%B2%95%ED%99%94%EB%8A%94+%EC%96%B4%EB%96%BB%EA%B2%8C+%EA%B0%80%EB%8A%A5%ED%95%98%EC%98%80%EB%8A%94%EA%B0%80%3F%3A+%EC%97%AC%EB%A1%A0%EA%B3%BC+%EC%A0%95%EB%8B%B9%EC%A0%95%EC%B9%98+%EA%B7%B8%EB%A6%AC%EA%B3%A0+%EC%97%B0%EB%B0%A9%EC%A3%BC%EC%9D%98&rft.jtitle=%ED%95%9C%EA%B5%AD%EA%B3%BC+%EA%B5%AD%EC%A0%9C%EC%A0%95%EC%B9%98%2C+31%284%29&rft.au=%EC%9C%A0%EC%84%B1%EC%A7%84&rft.date=2015-12-31&rft.pub=%EA%B7%B9%EB%8F%99%EB%AC%B8%EC%A0%9C%EC%97%B0%EA%B5%AC%EC%86%8C&rft.issn=1225-3006&rft.eissn=2713-7570&rft.spage=177&rft.epage=201&rft_id=info:doi/10.17331%2Fkwp.2015.31.4.006&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504715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300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300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300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