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론과 자본으로서의 경관 -도시 경관의 정치,경제적 해석을 위한 이론적 틀
본 연구는 신문화지리학, 공간 정치경제학, 조경학에서 논의되어 온 경관론들을 통합적으로 검토하고 재해석함으로써 도시 경관의 생성과 변화를 해석하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관 개념은 인간, 특히 부르주아적 주체를 자연과 분리하여 자연에 대한 시각적 전유를 이루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다. 근대적 경관 개념을 수용한 오늘날의 조경은 경관을 실증 과학 혹은 예술의 대상으로 한정짓는다. 본 연구에서는 ‘물질화된 담론’과 ‘물질화된 자본’으로서의 경관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경관 해석 이론을 제시하였다. 신문화지리학을...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조경학회지 Vol. 41; no. 6; pp. 117 - 12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조경학회
30.12.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1755 2288-9566 |
Cover
Abstract | 본 연구는 신문화지리학, 공간 정치경제학, 조경학에서 논의되어 온 경관론들을 통합적으로 검토하고 재해석함으로써 도시 경관의 생성과 변화를 해석하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관 개념은 인간, 특히 부르주아적 주체를 자연과 분리하여 자연에 대한 시각적 전유를 이루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다. 근대적 경관 개념을 수용한 오늘날의 조경은 경관을 실증 과학 혹은 예술의 대상으로 한정짓는다. 본 연구에서는 ‘물질화된 담론’과 ‘물질화된 자본’으로서의 경관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경관 해석 이론을 제시하였다. 신문화지리학을 중심으로 한 경관의 사회·정치적 해석 논의들을 검토한 결과, 물질화된 담론으로서의 경관은 지배층의 시각을 담은 ‘보는 방식’이고, 탐험가나 예술가들을 통해 구현되는 제국주의적 시각이며, 남성적·관음적 ‘응시’이기도 하다. 경관의 경제적 측면에 주목하는 공간 정치경제학자들에 따르면, 경관의 생산은 자본주의 체제에서 잉여 가치 생산을 위한 필연적 국면이며, 소비 문화의 확산과 함께 경관 자체가 소비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경관의 물질성과 이데올로기성을 변증법적으로 보아야 하며, 경관과 사회는 존재론적으로 분리될 수 없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various discourses of the urban landscape discussed in the fields of new cultural geography, spatial political economy, and landscape architecture in order to propos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interpretation of a contemporary urban landscape. The notion of landscape is a modern idea that separates humans, especially the bourgeois subject, from nature, and then achieves the visual possession of nature. New cultural geographers have studied the political aspects of landscape. According to them, landscape as materialized discourse is “a way of seeing” which includes the vision of the upper class, the imperialistic view, and the masculine and voyeuristic gaze. In addition, spatial political economists have paid attention to the economic aspects of landscape. They have emphasized that the material production of landscape is indispensable in the production of surplus values in the capitalistic system. Thus, we insist focusing dialectically on both the materiality and ideology of landscape. |
---|---|
AbstractList | This study aims to examine various discourses of the urban landscape discussed in the fields of new cultural geography, spatial political economy, and landscape architecture in order to propos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interpretation of a contemporary urban landscape. The notion of landscape is a modern idea that separates humans, especially the bourgeois subject, from nature, and then achieves the visual possession of nature. New cultural geographers have studied the political aspects of landscape. According to them, landscape as materialized discourse is "a way of seeing" which includes the vision of the upper class, the imperialistic view, and the masculine and voyeuristic gaze. In addition, spatial political economists have paid attention to the economic aspects of landscape. They have emphasized that the material production of landscape is indispensable in the production of surplus values in the capitalistic system. Thus, we insist focusing dialectically on both the materiality and ideology of landscape. 본 연구는 신문화지리학, 공간 정치경제학, 조경학에서 논의되어 온 경관론들을 통합적으로 검토하고 재해석함으로써 도시 경관의 생성과 변화를 해석하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관 개념은 인간, 특히 부르주아적 주체를 자연과 분리하여 자연에 대한 시각적 전유를 이루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다. 근대적 경관 개념을 수용한 오늘날의 조경은 경관을 실증 과학 혹은 예술의 대상으로 한정짓는다. 본 연구에서는 '물질화된 담론'과 '물질화된 자본'으로서의 경관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경관 해석 이론을 제시하였다. 신문화지리학을 중심으로 한 경관의 사회 정치적 해석 논의들을 검토한 결과, 물질화된 담론으로서의 경관은 지배층의 시각을 담은 '보는 방식'이고, 탐험가나 예술가들을 통해 구현되는 제국주의적 시각이며, 남성적 관음적 '응시'이기도 하다. 경관의 경제적 측면에 주목하는 공간 정치경제학자들에 따르면, 경관의 생산은 자본주의 체제에서 잉여 가치 생산을 위한 필연적 국면이며, 소비 문화의 확산과 함께 경관자체가 소비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경관의 물질성과 이데올로기성을 변증법적으로 보아야 하며, 경관과 사회는 존재론적으로 분리될 수 없다. 본 연구는 신문화지리학, 공간 정치경제학, 조경학에서 논의되어 온 경관론들을 통합적으로 검토하고 재해석함으로써 도시 경관의 생성과 변화를 해석하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관 개념은 인간, 특히 부르주아적 주체를 자연과 분리하여 자연에 대한 시각적 전유를 이루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다. 근대적 경관 개념을 수용한 오늘날의 조경은 경관을 실증 과학 혹은 예술의 대상으로 한정짓는다. 본 연구에서는 ‘물질화된 담론’과 ‘물질화된 자본’으로서의 경관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경관 해석 이론을 제시하였다. 신문화지리학을 중심으로 한 경관의 사회·정치적 해석 논의들을 검토한 결과, 물질화된 담론으로서의 경관은 지배층의 시각을 담은 ‘보는 방식’이고, 탐험가나 예술가들을 통해 구현되는 제국주의적 시각이며, 남성적·관음적 ‘응시’이기도 하다. 경관의 경제적 측면에 주목하는 공간 정치경제학자들에 따르면, 경관의 생산은 자본주의 체제에서 잉여 가치 생산을 위한 필연적 국면이며, 소비 문화의 확산과 함께 경관 자체가 소비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경관의 물질성과 이데올로기성을 변증법적으로 보아야 하며, 경관과 사회는 존재론적으로 분리될 수 없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various discourses of the urban landscape discussed in the fields of new cultural geography, spatial political economy, and landscape architecture in order to propos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interpretation of a contemporary urban landscape. The notion of landscape is a modern idea that separates humans, especially the bourgeois subject, from nature, and then achieves the visual possession of nature. New cultural geographers have studied the political aspects of landscape. According to them, landscape as materialized discourse is “a way of seeing” which includes the vision of the upper class, the imperialistic view, and the masculine and voyeuristic gaze. In addition, spatial political economists have paid attention to the economic aspects of landscape. They have emphasized that the material production of landscape is indispensable in the production of surplus values in the capitalistic system. Thus, we insist focusing dialectically on both the materiality and ideology of landscape. 본 연구는 신문화지리학, 공간 정치경제학, 조경학에서 논의되어 온 경관론들을 통합적으로 검토하고 재해석함으로써 도시 경관의 생성과 변화를 해석하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관 개념은 인간, 특히 부르주아적 주체를 자연과 분리하여 자연에 대한 시각적 전유를 이루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다. 근대적 경관 개념을 수용한 오늘날의 조경은 경관을 실증 과학 혹은 예술의 대상으로 한정짓는다. 본 연구에서는 ‘물질화된 담론’과 ‘물질화된 자본’으로서의 경관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경관 해석 이론을 제시하였다. 신문화지리학을 중심으로 한 경관의 사회․정치적 해석논의들을 검토한 결과, 물질화된 담론으로서의 경관은 지배층의 시각을 담은 ‘보는 방식’이고, 탐험가나 예술가들을 통해 구현되는 제국주의적 시각이며, 남성적․관음적 ‘응시’이기도 하다. 경관의 경제적 측면에 주목하는 공간 정치경제학자들에 따르면, 경관의 생산은 자본주의 체제에서 잉여 가치 생산을 위한 필연적 국면이며, 소비 문화의 확산과 함께 경관 자체가 소비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경관의 물질성과 이데올로기성을 변증법적으로 보아야 하며, 경관과 사회는 존재론적으로 분리될 수 없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various discourses of the urban landscape discussed in the fields of new cultural geography, spatial political economy, and landscape architecture in order to propos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interpretation of a contemporary urban landscape. The notion of landscape is a modern idea that separates humans, especially the bourgeois subject, from nature, and then achieves the visual possession of nature. New cultural geographers have studied the political aspects of landscape. According to them, landscape as materialized discourse is “a way of seeing” which includes the vision of the upper class, the imperialistic view, and the masculine and voyeuristic gaze. In addition, spatial political economists have paid attention to the economic aspects of landscape. They have emphasized that the material production of landscape is indispensable in the production of surplus values in the capitalistic system. Thus, we insist focusing dialectically on both the materiality and ideology of landscape. KCI Citation Count: 1 |
Author | Keun Hyun Park 박근현 배정한 Jeong Hann Pae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박근현 – sequence: 2 fullname: Keun Hyun Park – sequence: 3 fullname: 배정한 – sequence: 4 fullname: Jeong Hann Pae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4297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9kD9Lw0AAxQ-pYK39BC5ZBAcD9yd3uRtL8U-1UJDuR5LmJKSmkri4VcjWQZdCh0TSr2A7KNQv1Fy_g2krTo_33o83vGNQi0aRfwDqGHNuCspYDdQRxtRENqVHoJkkgQshtyiyEasDv5wsy3mxXqwM_fFeLr50tirnmU4znc-M9efPejk2zPIt1ZPsz24LXUz19-yiCnSR6eLV2EyXOs11nho6SzfTzND5dndXTcYn4FA5w8Rv_mkD9K8u--0bs9u77rRbXTPkxDIxtSH0oeNSzBSCVGCPMstVLhcDXgHU4y6kDsFcKV9R6AhPea5ijs0VcrEiDXC-n41iJUMvkCMn2OnDSIaxbN33O5KJ6girQs_2aBgkz4GMBslQ3rbuehgiAhlhTAhObLviTv-5RD7FwaMTv0iCBGLCIr8cGIiY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HZB Q5X JDI ACYCR |
DEWEY | 712 |
DatabaseName |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Architecture |
DocumentTitleAlternate | 담론과 자본으로서의 경관 -도시 경관의 정치,경제적 해석을 위한 이론적 틀 Landscape as Materialized Discourse and Capital - Political Economic Interpretation of Urban Landscape |
EISSN | 2288-9566 |
EndPage | 128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691754 JAKO201306366998377 3191694 |
GroupedDBID | .UV HZB Q5X ALMA_UNASSIGNED_HOLDINGS JDI ACYCR |
ID | FETCH-LOGICAL-k834-25700e0ab526f10592c564bfb89d88345c8b05a328ffef50a9cfcbf6a78f1b2f3 |
ISSN | 1225-1755 |
IngestDate | Sun Mar 09 07:52:29 EDT 2025 Fri Dec 22 12:03:20 EST 2023 Sat Sep 06 06:24:35 EDT 2025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true |
IsScholarly | true |
Issue | 6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834-25700e0ab526f10592c564bfb89d88345c8b05a328ffef50a9cfcbf6a78f1b2f3 |
Notes | Korean l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ISTI1.1003/JNL.JAKO201306366998377 G704-000407.2013.41.6.013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306366998377&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PageCount | 12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691754 kisti_ndsl_JAKO201306366998377 kiss_primary_3191694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31230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3-12-30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12 year: 2013 text: 20131230 day: 30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한국조경학회지 |
PublicationTitleAlternate | 한국조경학회지 |
PublicationYear | 2013 |
Publisher | 한국조경학회 |
Publisher_xml | – name: 한국조경학회 |
SSID | ssib008451716 ssib044738266 ssib053376761 ssib001151868 ssib009283268 ssib053377460 |
Score | 1.8719541 |
Snippet | 본 연구는 신문화지리학, 공간 정치경제학, 조경학에서 논의되어 온 경관론들을 통합적으로 검토하고 재해석함으로써 도시 경관의 생성과 변화를 해석하는 이론적 틀을... This study aims to examine various discourses of the urban landscape discussed in the fields of new cultural geography, spatial political economy, and... |
SourceID | nrf kisti kiss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StartPage | 117 |
SubjectTerms | Landscape Interpretation Landscape Theory Materialized Capital New Cultural Geography Spatial Political Economy 경관 해석 경관론 공간 정치경제학 물질화된 자본 신문화지리학 조경학 |
Title | 담론과 자본으로서의 경관 -도시 경관의 정치,경제적 해석을 위한 이론적 틀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191694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306366998377&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42970 |
Volume | 41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한국조경학회지, 2013, 41(6), 160, pp.117-128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288-9566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266 issn: 1225-1755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3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btNAcNX2hJAQUBDlURmJPUVGfqzt3aPtpAqtBJci9WbZsV1VQQ7q4wAHVKTceoBLpB4clP4CjQRI5cLnNO4_MON1EreqxOPijGdnx7M7-5jJ7uwS8swSoZY6eGxoYqKDwmI1ik2hpkmqsVDEsSl3-b6026_Z-pa1tbB4KbpkP3reeX9tXMn_aBVwoFeMkv0Hzc6YAgJg0C88QcPw_Csd05ZHuUc9hoCrU1ejLZd6JvX8Bm35VLSo0DANUbzE-JBWUQMMGM4qQDSp4I2SgUG9ZgmAoak11Eb5nTUkxQweZLiGrs7DR1GEhYAnAEV9IHVqeSSBXwFchzxNzOCxqUzNih9njUpw_HxJJKrSNS-XvM4KhJRXN00N71nWUgiLulIInXpaTSxJI0rApVzK50xZQbssK1MWzcUSYWVimSlnV0g8rVYN1bfn63Vyg_pGcpCp7XcH2TxBLmkkvWxbbYdZVv9TRjfLox-12jwCw6QKlplcsE9KnGFA8wV31K5PPvLUr6qT1WcSXYa0VkaJXkXQXzov_Mo8Pttdue5uvEKhwPq0bXCnTcdZJIvQ6XBn64fW3FoGa69-WQJnFh6eNHsXeI3VPJ0xxwRndJYOjoJjO_OwaHx3mIzLnxYfDB3wg_bA80N3aAcMuGw3rRlwm7fJrcrzUlzZje6QhW7vLrnp1hbSlsn25Gg8ORmdn54pxZfPk9PvRX42OcmLfl4Mj5Xzrz_Px4eKqkw-9YujvHrHlGI0KH4c__oGmGKUF6OPysVgXPSHxbCvFHn_YpArxRA5l0lHh_fI5lpr02-r1VUkapebTMWrHrVECyPLsFP0SIyOZbMojbiIORBYHQ7lD02DpzDIWVooOmknSu3Q4akeGal5nyxlvSx5QJQwDY3Y4rodJ5zBeCicmKcmDJlOGINlwlbIMtZY8FYeNhPAFKnbAtCrZQ0GWbz3JrhGwyvkKVRt0O3sBHhiPP5u94LubgB-8YvAFqAN9vBPTB6RG_PW_Jgs7e8eJE_A6N6PVsum8xvhFLZS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B%B4%EB%A1%A0%EA%B3%BC+%EC%9E%90%EB%B3%B8%EC%9C%BC%EB%A1%9C%EC%84%9C%EC%9D%98+%EA%B2%BD%EA%B4%80+-+%EB%8F%84%EC%8B%9C+%EA%B2%BD%EA%B4%80%EC%9D%98+%EC%A0%95%EC%B9%98%C2%B7%EA%B2%BD%EC%A0%9C%EC%A0%81+%ED%95%B4%EC%84%9D%EC%9D%84+%EC%9C%84%ED%95%9C+%EC%9D%B4%EB%A1%A0%EC%A0%81+%ED%8B%80&rft.jtitle=%ED%95%9C%EA%B5%AD%EC%A1%B0%EA%B2%BD%ED%95%99%ED%9A%8C%EC%A7%80&rft.au=%EB%B0%95%EA%B7%BC%ED%98%84&rft.au=%EB%B0%B0%EC%A0%95%ED%95%9C&rft.au=Park%2C+Keun-Hyun&rft.au=Pae%2C+Jeong-Hann&rft.date=2013-12-30&rft.issn=1225-1755&rft.eissn=2288-9566&rft.volume=41&rft.issue=6&rft.spage=117&rft.epage=128&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1306366998377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1755&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1755&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1755&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