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성 변화의 일반균형효과 분석

본고는 농업부문 및 국가경제에 대한 기후변화의 장기적 영향을 분석한다. 우선 작물 시뮬레이션 및 준모수적 분석법 등을 이용하여 쌀, 낙농 및 축산업에 대한 기후변화의 생산성 영향을 예측하고, 다음으로 축차적 동태 CGE모형을 이용하여 예측된 생산성 영향으로 유발되는 경제적 영향을 평가한다. 분석결과 우선 기후변화의 생산성 영향에서, 낙농 및 축산업의 경우 지속적으로 생산성이 하락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쌀의 경우, 작물 시뮬레이션 적용 시 생산성 하락이, 준모수적 분석법을 적용 시 생산성이 상승한 후 다시 하락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자원·환경경제연구 Vol. 21; no. 4; pp. 947 - 980
Main Authors 권오상, Oh Sang Kwon, 이한빈, Han Bi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30.12.2012
한국환경경제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9146
2765-5253

Cover

Abstract 본고는 농업부문 및 국가경제에 대한 기후변화의 장기적 영향을 분석한다. 우선 작물 시뮬레이션 및 준모수적 분석법 등을 이용하여 쌀, 낙농 및 축산업에 대한 기후변화의 생산성 영향을 예측하고, 다음으로 축차적 동태 CGE모형을 이용하여 예측된 생산성 영향으로 유발되는 경제적 영향을 평가한다. 분석결과 우선 기후변화의 생산성 영향에서, 낙농 및 축산업의 경우 지속적으로 생산성이 하락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쌀의 경우, 작물 시뮬레이션 적용 시 생산성 하락이, 준모수적 분석법을 적용 시 생산성이 상승한 후 다시 하락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다음으로 쌀의 두 가지 예측결과를 기준으로 두 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축차적 동태CGE모형에 반영하여 경제적 영향을 평가한 결과, 2050년 연간 GDP 예상손실률이 시나리오에 따라 각각 0.2%, 0.02%로 나타났으며, 세부부문별로는 농업생산부문과 식품가공업, 농업용 투입재 산업, 그리고 몇몇 유통관련 산업에서 경제적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간과되던 낙농 및 축산업 부문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위결과는 쌀부문 외 다른 농업생산부문에서의 기후변화 효과분석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long-run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Korean agriculture and economy. We estimate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productivities of major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rice, dairy and livestock using both a simulation approach and a semiparametric econometric model. The former predicts a decline in productivity while the latter predicts an increase in productivity due to climate change, especially for rice. A recursive dynamic CGE model is used to analyze the general equilibrium impacts of productivity change under the two different scenarios, derived from the two productivity analysis approaches. The loss of GDP in 2050 is 0.2% or 0.02% of total GDP depending on the scenario. It is shown that the losses in dairy and livestock sectors are larger than that in rice sector, although the losses in those two non-rice sectors have been ignored by most existing works.
AbstractList This study analyzes the long-run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Korean agriculture and economy. We estimate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productivities of major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rice, dairy and livestock using both a simulation approach and a semiparametric econometric model. The former predicts a decline in productivity while the latter predicts an increase in productivity due to climate change, especially for rice. A recursive dynamic CGE model is used to analyze the general equilibrium impacts of productivity change under the two different scenarios, derived from the two productivity analysis approaches. The loss of GDP in 2050 is 0.2% or 0.02% of total GDP depending on the scenario. It is shown that the losses in dairy and livestock sectors are larger than that in rice sector, although the losses in those two non-rice sectors have been ignored by most existing works. 본고는 농업부문 및 국가경제에 대한 기후변화의 장기적 영향을 분석한다. 우선 작물 시뮬레이션 및 준모수적 분석법 등을 이용하여 쌀, 낙농 및 축산업에 대한 기후변화의 생산성 영향을 예측하고, 다음으로 축차적 동태 CGE모형을 이용하여 예측된 생산성 영향으로 유발되는 경제적 영향을 평가한다. 분석결과 우선 기후변화의 생산성 영향에서, 낙농 및 축산업의 경우 지속적으로 생산성이 하락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쌀의 경우, 작물 시뮬레이션 적용 시 생산성 하락이, 준모수적 분석법을 적용 시 생산성이 상승한 후 다시 하락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다음으로 쌀의 두 가지 예측결과를 기준으로 두 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축차적 동태 CGE모형에 반영하여 경제적 영향을 평가한 결과, 2050년 연간 GDP 예상손실률이 시나리오에 따라 각각 0.2%, 0.02%로 나타났으며, 세부부문별로는 농업생산부문과 식품가공업, 농업용 투입재 산업, 그리고 몇몇 유통관련 산업에서 경제적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간과되던 낙농 및 축산업 부문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위 결과는 쌀부문 외 다른 농업생산부문에서의 기후변화 효과분석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본고는 농업부문 및 국가경제에 대한 기후변화의 장기적 영향을 분석한다. 우선 작물 시뮬레이션 및 준모수적 분석법 등을 이용하여 쌀, 낙농 및 축산업에 대한 기후변화의 생산성 영향을 예측하고, 다음으로 축차적 동태 CGE모형을 이용하여 예측된 생산성 영향으로 유발되는 경제적 영향을 평가한다. 분석결과 우선 기후변화의 생산성 영향에서, 낙농 및 축산업의 경우 지속적으로 생산성이 하락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쌀의 경우, 작물 시뮬레이션 적용 시 생산성 하락이, 준모수적 분석법을 적용 시 생산성이 상승한 후 다시 하락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다음으로 쌀의 두 가지 예측결과를 기준으로 두 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축차적 동태 CGE모형에 반영하여 경제적 영향을 평가한 결과, 2050년 연간 GDP 예상손실률이 시나리오에 따라 각각 0.2%, 0.02%로 나타났으며, 세부부문별로는 농업생산부문과 식품가공업, 농업용 투입재 산업, 그리고 몇몇 유통관련 산업에서 경제적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간과되던 낙농 및 축산업 부문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위 결과는 쌀부문 외 다른 농업생산부문에서의 기후변화 효과분석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long-run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Korean agriculture and economy. We estimate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productivities of major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rice, dairy and livestock using both a simulation approach and a semiparametric econometric model. The former predicts a decline in productivity while the latter predicts an increase in productivity due to climate change, especially for rice. A recursive dynamic CGE model is used to analyze the general equilibrium impacts of productivity change under the two different scenarios, derived from the two productivity analysis approaches. The loss of GDP in 2050 is 0.2% or 0.02% of total GDP depending on the scenario. It is shown that the losses in dairy and livestock sectors are larger than that in rice sector, although the losses in those two non-rice sectors have been ignored by most existing works. KCI Citation Count: 10
본고는 농업부문 및 국가경제에 대한 기후변화의 장기적 영향을 분석한다. 우선 작물 시뮬레이션 및 준모수적 분석법 등을 이용하여 쌀, 낙농 및 축산업에 대한 기후변화의 생산성 영향을 예측하고, 다음으로 축차적 동태 CGE모형을 이용하여 예측된 생산성 영향으로 유발되는 경제적 영향을 평가한다. 분석결과 우선 기후변화의 생산성 영향에서, 낙농 및 축산업의 경우 지속적으로 생산성이 하락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쌀의 경우, 작물 시뮬레이션 적용 시 생산성 하락이, 준모수적 분석법을 적용 시 생산성이 상승한 후 다시 하락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다음으로 쌀의 두 가지 예측결과를 기준으로 두 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축차적 동태CGE모형에 반영하여 경제적 영향을 평가한 결과, 2050년 연간 GDP 예상손실률이 시나리오에 따라 각각 0.2%, 0.02%로 나타났으며, 세부부문별로는 농업생산부문과 식품가공업, 농업용 투입재 산업, 그리고 몇몇 유통관련 산업에서 경제적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간과되던 낙농 및 축산업 부문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위결과는 쌀부문 외 다른 농업생산부문에서의 기후변화 효과분석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long-run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Korean agriculture and economy. We estimate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productivities of major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rice, dairy and livestock using both a simulation approach and a semiparametric econometric model. The former predicts a decline in productivity while the latter predicts an increase in productivity due to climate change, especially for rice. A recursive dynamic CGE model is used to analyze the general equilibrium impacts of productivity change under the two different scenarios, derived from the two productivity analysis approaches. The loss of GDP in 2050 is 0.2% or 0.02% of total GDP depending on the scenario. It is shown that the losses in dairy and livestock sectors are larger than that in rice sector, although the losses in those two non-rice sectors have been ignored by most existing works.
Author Han Bin Lee
권오상
이한빈
Oh Sang Kwon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권오상
– sequence: 2
  fullname: Oh Sang Kwon
– sequence: 3
  fullname: 이한빈
– sequence: 4
  fullname: Han Bin Lee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2149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zjtLw1AABeCLVLDW_gKXLIJL4L5yH2MpPloLBel-SdJEQmoqiYubaHQTHCqtSsBFcIwUtEN_UXPzHwxWnM7yncPZBrVoHHkboI45s0wLW6QG6ghjaUpE2RZoJkngQCixwJzIOuiuFnn5mhbz6_J5oqePRjHJi_eFUdw_6Omdvs30Ta7TT-MPZDNDZ8sin62-38rZU_nysZovjeIr1Wm2AzZ9e5R4zb9sgMHhwaB9bPb6R512q2eGghATud6QMOlw5mMHSSi4ZJwICKEjIIfCRdi1XWpZ0K8eQkg9p7rvEip8genQIw2wv56NYl-FbqDGdvCbZ2MVxqp1OugoRmhVrujemoZBchmoaJiMVLd10scQYcQpJQRZnIrK7f67RF3EwbkdXymCMJMQkh9q0Hab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JDI
ACYCR
DEWEY 333.7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Open Acces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Law
Environmental Sciences
DocumentTitleAlternate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성 변화의 일반균형효과 분석
Climate Change,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their General Equilibrium Impacts: A Recursive Dynamic CGE Analysis
EISSN 2765-5253
EndPage 980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634273
JAKO201217443315748
3126900
GroupedDBID .UV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Q5X
JDI
ACYCR
M~E
ID FETCH-LOGICAL-k833-1ced369b76f2b1908796738000b80708c12cac4550f273004eb122c348f824de3
ISSN 1229-9146
IngestDate Tue Nov 21 21:39:46 EST 2023
Fri Dec 22 12:04:11 EST 2023
Tue Oct 14 02:11:09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33-1ced369b76f2b1908796738000b80708c12cac4550f273004eb122c348f824de3
Notes The Korea Resource Economics Association
KISTI1.1003/JNL.JAKO201217443315748
G704-000752.2012.21.4.008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21744331574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34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634273
kisti_ndsl_JAKO201217443315748
kiss_primary_312690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212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2-12-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2
  text: 201212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자원·환경경제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자원·환경경제연구
PublicationYear 2012
Publisher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한국환경경제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 name: 한국환경경제학회
SSID ssib009282739
ssib053377400
ssib016108118
ssib044742686
Score 1.5094589
Snippet 본고는 농업부문 및 국가경제에 대한 기후변화의 장기적 영향을 분석한다. 우선 작물 시뮬레이션 및 준모수적 분석법 등을 이용하여 쌀, 낙농 및 축산업에 대한...
This study analyzes the long-run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Korean agriculture and economy. We estimate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productivities...
SourceID nrf
kisti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947
SubjectTerms Agricultural Production Loss
CGE
Climate Change
Semiparametric Regression
경제학
기상변화
농업생산손실
준모수적 분석
Title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성 변화의 일반균형효과 분석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126900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21744331574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21490
Volume 2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자원환경경제연구, 2012, 21(4), , pp.947-980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765-5253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2686
  issn: 1229-9146
  databaseCode: M~E
  dateStart: 1992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b9MwFLe2nbgg0ECMjylI-DQFJXac2MckLRpFg0uRdouaLzQVtajrLhwQgsINicPQCqgSFySORZNgh_1Fbfo_8GyHNkNMKlyi1-eX52c_y_49N_ZD6A5gbo-2UmG6PKcQoKSeKTyRmRlMiXnKSMaJPOC889Ddfuw0dtnuyiqrfLV00I_vJs__eq7kf7wKPPCrPCX7D56dKwUG0OBfeIKH4bmUj3HdxwHHgYXrNSwCzB1cD3BA5ecLkiOwAE6IhYeFtSXL4LeUDrDP4E3F4i7mtVKKM0lwioXicKKkQ6k4sLfOUQ601KSoIFRCFrCUcR72tTTHginCx74uoiCsVbrKcFWLqFXRslJaB9sVEShC16xVgHm1ChHKykRYtkVaDkUM-6EcRwSmbKhgsfGhSqFqLc-x75Rt5_ZCRDfKUdUypRvsFVjnCPy9W2KrxC3lHz9yfFfEtQW15ezWb4myn3hYWTEIEbBilPuomeIRz2UQ4TNaWRmEvli0BBlCp686e__3H-vymRvA28le9KQbtXsRxDn3I5c6gDtX0Sq1ZdqOnRf1-SQqIIj2Fle9AqIH1LcAII7jAShTGVDnpgMcgWhlH-IzGbTsAczq9PIKzGpeQhfL-Mjw9WC_jFba3XXUmJyMZ58H0-OXs4-HxdF7Y3o4nn49MaZv3xVHb4rXo-LVuBh8N0qB0dAoRqfT8XDy88ts-GH26dvk-NSY_hgUg9EV1LxXb4bbZpkExGxzSk07yVLqithzcxIDeOWekHlqYSGPOaxWPLFJ0krk0fycyNQLDmAPQhLq8JwTJ83oVbTW6Xaya8igeavVspg-NBxzJpzUSyhJgZ_HlPMNtC57IXqmr3mJoGtdYVkbaFP1StRJ959GDf_BIzmuIJCXZw2Z58B7t6G7lIfO9dT1JWRuoAuLEXsTrfV7B9ktQLz9eFN5-Behe4bx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8%B0%ED%9B%84%EB%B3%80%ED%99%94%EC%97%90+%EB%94%B0%EB%A5%B8+%EB%86%8D%EC%97%85%EC%83%9D%EC%82%B0%EC%84%B1+%EB%B3%80%ED%99%94%EC%9D%98+%EC%9D%BC%EB%B0%98%EA%B7%A0%ED%98%95%ED%9A%A8%EA%B3%BC+%EB%B6%84%EC%84%9D&rft.jtitle=%EC%9E%90%EC%9B%90%ED%99%98%EA%B2%BD%EA%B2%BD%EC%A0%9C%EC%97%B0%EA%B5%AC%2C+21%284%29&rft.au=%EA%B6%8C%EC%98%A4%EC%83%81&rft.au=%EC%9D%B4%ED%95%9C%EB%B9%88&rft.date=2012-12-30&rft.pub=%ED%95%9C%EA%B5%AD%ED%99%98%EA%B2%BD%EA%B2%BD%EC%A0%9C%ED%95%99%ED%9A%8C&rft.issn=1229-9146&rft.eissn=2765-5253&rft.spage=947&rft.epage=980&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63427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914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914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914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