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이러닝 학습효과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연구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러닝을 활용 수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2학기를 기준으로 이러닝 기반의 수업인 사이버 강의에 참여한 학생들 2,091명 중 유효했던 1,73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활용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이러닝 학습효과, 컨텐츠만족요인, 시스템기능요인, 운영지원요인의 네 개의 잠재변인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들 잠재변인들 간의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Saved in:
Published in | Inteonet jeongbo hakoe nonmunji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 15; no. 6; pp. 77 - 8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30.12.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0170 2287-1136 |
DOI | 10.7472/jksii.2014.15.6.77 |
Cover
Abstract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러닝을 활용 수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2학기를 기준으로 이러닝 기반의 수업인 사이버 강의에 참여한 학생들 2,091명 중 유효했던 1,73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활용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이러닝 학습효과, 컨텐츠만족요인, 시스템기능요인, 운영지원요인의 네 개의 잠재변인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들 잠재변인들 간의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학습효과와 관련된 주요 요인으로 컨텐츠 요인, 기능요인, 운영지원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이러닝 학습효과에는 운영지원, 컨텐츠 요인이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능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컨텐츠 요인에는 기능 및 운영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능요인 및 운영지원 요인은 컨텐츠 요인을 매개로하여 이러닝 학습효과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effect of e-learning, and to find out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se factors. Subjects are 2,091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e-learning based class during the period of second semester in 2013. Those of them, 1,732 students response to the survey questions. After gathering data, they are analyzed by using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rom the result of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data have reduced four factors, and are named as four latent variables likes e-learning effect, contents satisfaction, managing assistant factor, and system functional factor. From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t is known as the relation and impact among factors: (a) "managing assistant factor“ affects to ”contents satisfaction“ directly. (b) "contents satisfaction“ affects to ”e-learning effect“ directly. (c) ”system function factor“ affects directly to ”contents satisfaction“, but does not affect directly to ”e-learning effect“. (d) both "managing assistant factor“ and ”system function factor“ have an indirect effect on ”e-learning effect“ via ”contents satisfaction“. |
---|---|
AbstractLis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effect of e-learning, and to find out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se factors. Subjects are 2,091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e-learning based class during the period of second semester in 2013. Those of them, 1,732 students response to the survey questions. After gathering data, they are analyzed by using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rom the result of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data have reduced four factors, and are named as four latent variables likes e-learning effect, contents satisfaction, managing assistant factor, and system functional factor. From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t is known as the relation and impact among factors: (a) "managing assistant factor" affects to "contents satisfaction" directly. (b) "contents satisfaction" affects to "e-learning effect" directly. (c) "system function factor" affects directly to "contents satisfaction", but does not affect directly to "e-learning effect". (d) both "managing assistant factor" and "system function factor" have an indirect effect on "e-learning effect" via "contents satisfaction".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러닝을 활용 수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2학기를 기준으로 이러닝 기반의 수업인 사이버 강의에 참여한 학생들 2,091명 중 유효했던 1,73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활용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이러닝 학습효과, 컨텐츠만족요인, 시스템기능요인, 운영지원요인의 네 개의 잠재변인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들 잠재변인들 간의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학습효과와 관련된 주요 요인으로 컨텐츠 요인, 기능요인, 운영지원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이러닝 학습효과에는 운영지원, 컨텐츠 요인이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능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컨텐츠 요인에는 기능 및 운영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능요인 및 운영지원요인은 컨텐츠 요인을 매개로하여 이러닝 학습효과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러닝을 활용 수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2학기를 기준으로 이러닝 기반의 수업인 사이버 강의에 참여한 학생들 2,091명 중 유효했던 1,73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활용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이러닝 학습효과, 컨텐츠만족요인, 시스템기능요인, 운영지원요인의 네 개의 잠재변인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들 잠재변인들 간의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학습효과와 관련된 주요 요인으로 컨텐츠 요인, 기능요인, 운영지원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이러닝 학습효과에는 운영지원, 컨텐츠 요인이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능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컨텐츠 요인에는 기능 및 운영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능요인 및 운영지원 요인은 컨텐츠 요인을 매개로하여 이러닝 학습효과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effect of e-learning, and to find out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se factors. Subjects are 2,091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e-learning based class during the period of second semester in 2013. Those of them, 1,732 students response to the survey questions. After gathering data, they are analyzed by using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rom the result of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data have reduced four factors, and are named as four latent variables likes e-learning effect, contents satisfaction, managing assistant factor, and system functional factor. From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t is known as the relation and impact among factors: (a) "managing assistant factor“ affects to ”contents satisfaction“ directly. (b) "contents satisfaction“ affects to ”e-learning effect“ directly. (c) ”system function factor“ affects directly to ”contents satisfaction“, but does not affect directly to ”e-learning effect“. (d) both "managing assistant factor“ and ”system function factor“ have an indirect effect on ”e-learning effect“ via ”contents satisfaction“. KCI Citation Count: 7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러닝을 활용 수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2학기를 기준으로 이러닝 기반의 수업인 사이버 강의에 참여한 학생들 2,091명 중 유효했던 1,73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활용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이러닝 학습효과, 컨텐츠만족요인, 시스템기능요인, 운영지원요인의 네 개의 잠재변인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들 잠재변인들 간의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학습효과와 관련된 주요 요인으로 컨텐츠 요인, 기능요인, 운영지원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이러닝 학습효과에는 운영지원, 컨텐츠 요인이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능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컨텐츠 요인에는 기능 및 운영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능요인 및 운영지원 요인은 컨텐츠 요인을 매개로하여 이러닝 학습효과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effect of e-learning, and to find out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se factors. Subjects are 2,091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e-learning based class during the period of second semester in 2013. Those of them, 1,732 students response to the survey questions. After gathering data, they are analyzed by using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rom the result of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data have reduced four factors, and are named as four latent variables likes e-learning effect, contents satisfaction, managing assistant factor, and system functional factor. From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t is known as the relation and impact among factors: (a) "managing assistant factor“ affects to ”contents satisfaction“ directly. (b) "contents satisfaction“ affects to ”e-learning effect“ directly. (c) ”system function factor“ affects directly to ”contents satisfaction“, but does not affect directly to ”e-learning effect“. (d) both "managing assistant factor“ and ”system function factor“ have an indirect effect on ”e-learning effect“ via ”contents satisfaction“. |
Author | 허균 Gyun Heo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허균 – sequence: 2 fullname: Gyun Heo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4974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9kL1Kw1AAhS9SwVr7ArpkEVwS729uMpbiT7VQkA5ulzTNlZjaSuPipripg4O1tRjUQajSoaAFB5-ouXkH01acDpzznTOcZZBptpoeAKsIGpxyvHkchL5vYIiogZhhGpwvgCzGFtcRImYGZBGzLR0iDpdAPgz9GmSEcE5smAWH8e1F0nlUV5GKepqKvuLnYXwTaVPvepz0B5PPH031LpOHN9W_V9G36t5ps86TNhkP1esoHr2rl45KO_HHIOl1NNUdpckKWJROI_Tyf5oD1e2tanFXL1d2SsVCWQ8sgnUb2650TIk5c6krmS0JJ5JyxDhDHvUks6jp1rGNLewxLCWlGFq2pPUakR5BJAc25rPNthSB64uW48_0qCWCtigcVEuCYkYtnKLrczTwwzNfNOthQ-wV9ivT4yChJqQ2opaZcmv_XChO2_6J0z4XhEGGTEJ-ASDRhuQ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HZB Q5X JDI ACYCR |
DEWEY | 004 |
DOI | 10.7472/jksii.2014.15.6.77 |
DatabaseName |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Engineering Computer Science |
DocumentTitleAlternate | 대학생의 이러닝 학습효과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he effect of e-Learning |
EISSN | 2287-1136 |
EndPage | 84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425482 JAKO201403460491486 3505163 |
GroupedDBID | .4S AEMOZ AHQJS AKVCP ALMA_UNASSIGNED_HOLDINGS ARCSS EBA EBE EBR EBU EDO EPL HZB Q5X TH9 TUS JDI ACYCR |
ID | FETCH-LOGICAL-k832-929cfa6f275c4cf59f373f4715751e4ef5846cd29282e52ff442089f4db3fe313 |
ISSN | 1598-0170 |
IngestDate | Sun Mar 09 07:52:53 EDT 2025 Fri Dec 22 11:59:16 EST 2023 Thu Apr 17 08:29:53 EDT 2025 |
IsDoiOpenAccess | true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true |
Issue | 6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832-929cfa6f275c4cf59f373f4715751e4ef5846cd29282e52ff442089f4db3fe313 |
Notes |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KISTI1.1003/JNL.JAKO201403460491486 G704-001022.2014.15.6.015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403460491486&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PageCount | 8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425482 kisti_ndsl_JAKO201403460491486 kiss_primary_3505163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41230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4-12-30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12 year: 2014 text: 20141230 day: 30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Inteonet jeongbo hakoe nonmunji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
PublicationTitleAlternate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PublicationYear | 2014 |
Publisher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
Publisher_xml | – name: 한국인터넷정보학회 |
SSID | ssib053377390 ssib053835315 ssib001195163 ssib018233818 ssj0001908993 ssib036278810 ssib004698036 |
Score | 1.9103984 |
Snippet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러닝을 활용 수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2학기를 기준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effect of e-learning, and to find out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se factors. Subjects are... |
SourceID | nrf kisti kiss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StartPage | 77 |
SubjectTerms | e-learning learning effec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구조방정식모형 이러닝 컴퓨터학 학습효과 |
Title | 대학생의 이러닝 학습효과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연구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505163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403460491486&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49742 |
Volume | 15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2014, 15(6), , pp.77-84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EBS databaseName: EBSCOhost Business Source Ultimate customDbUrl: eissn: 2287-1136 dateEnd: 99991231 omitProxy: false ssIdentifier: ssj0001908993 issn: 1598-0170 databaseCode: AKVCP dateStart: 201412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search.ebscohost.com/login.aspx?authtype=ip,uid&profile=ehost&defaultdb=bsu providerName: EBSCOhost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Lb9NAEF6V9gIHBBREeVRGYk9WQmyvH3u041SlFY9DQb1ZiR8lDcQoTQ5wAnEDDhwoLRURcEAqqIdKUIkDv6hx_gMzayfd0h6Ay3qf48nMbvab9c4uIdcj6CixbcelhMdmiZmVRokDcijZEasDHI9YFKI38q3b1vw9trBsLk-c8KVdS71uoxw-Pdav5H-0CnmgV_SS_QfNjolCBsRBvxCChiH8Kx3TmkedKm5WqPmUm5RzWoOkQbmPEQi5oxYxj2FtPkfdqmgGcV893M6lnilyXOo6tAZJg3rVnIADkFOUWdQ1RY5LORvRdkTEpryiHuEJCQjK-OIqdTXqVbAShK54r1vBeshAwZNH3ZwD5B_K1II6tisoyZgaFzXTdtxVV-Gx0kjVB_VWGqvttP2o115tqtTwVQl3L6Yd_Pogb1fNl0WBQuGcJW9OEFzY1MkFYgO34y1LT3p4TlgqL5xo-fGMlXFXH0thxLovycynDiukgRFbkoYnhM8kBQm9OFV5FkG_RS2_EWU8zZjScJLnjPwamz-nMjDz8Gjc1dZas4k7EFlZM8tWubjz5vAR4QbAWMDVJ8iUbluWPkmm3MX71bsHsFjjWD5Kg0lpIFAbpQHD4KUC4_9tsABs2-BSGmC6UcBGsXYpPhYL35XRL8390ZDpG0dZBrgD1tAa2H9oFDUBxrU7iQTjls6Q00U_UNx8MJ0lE630HDklnco5TZYHr58N199nL_pZf1PJ-j8GH3cGr_oK5r3cG25t73__pWSbz4fvvmRbb7P-z2zjjSLafFD293ayz7uD3a_Zp_UM2gy-bQ8315VsYxdKzpOludpSdb5UXEBSasFEVwLLIUzqVqLbZsjCxOSJYRsJoDn8VhmzOEHwHkY61x09NvUkYbhXhScsahhJbGjGBTIJfT2-SBTeiBgL604dJlSopdXBUNESy66bumkwx54h0yih4HF-xExQaHSGzAqJBe1o7WGw4C7eQbFWDGaBYa8xx5oh10CUQStsBnhOPD5X0qDVCcAavhnAfMwc_dLxtC-Tkwej4gqZ7HZ68VUA2N3GbNF_fgPiqLML |
linkProvider | EBSCOhost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C%80%ED%95%99%EC%83%9D%EC%9D%98+%EC%9D%B4%EB%9F%AC%EB%8B%9D+%ED%95%99%EC%8A%B5%ED%9A%A8%EA%B3%BC+%EC%98%81%ED%96%A5%EC%9A%94%EC%9D%B8%EC%97%90+%EB%8C%80%ED%95%9C+%EA%B5%AC%EC%A1%B0%EB%B0%A9%EC%A0%95%EC%8B%9D+%EB%AA%A8%ED%98%95+%EC%97%B0%EA%B5%AC&rft.jtitle=Inteonet+jeongbo+hakoe+nonmunji+%3D+Journal+of+Korean+Society+for+Internet+Information&rft.au=%ED%97%88%EA%B7%A0&rft.au=Gyun+Heo&rft.date=2014-12-30&rft.pub=%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C%A0%95%EB%B3%B4%ED%95%99%ED%9A%8C&rft.issn=1598-0170&rft.volume=15&rft.issue=6&rft.spage=77&rft_id=info:doi/10.7472%2Fjksii.2014.15.6.77&rft.externalDocID=3505163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0170&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0170&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0170&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