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낭비강문합술에서 얻은 누낭조직의 조직병리학적 소견과 임상적 연관성
목적: 누낭비강문합술 시 얻은 누낭의 조직병리소견과 임상적 특성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비루관 폐쇄로 08년 8월부터 09년 6월까지 누낭비강문합술에서 얻은 47명 49안의 누낭조직의 병리학적 분류를 시행하였고, 의무기록의 후향적 확인을 통해 누낭의 조직학적 분류와 술 전 증상기간, 술 후 증상의 재발여부 및 세척술 이상소견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 47명의 평균 연령은 58.83 ± 11.49세, 술 전 증상 기간은 평균 65.20 ± 69.05개월이었다. 6개월 이상의 경과관찰에서 43안 (88%)의 누낭...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2; no. 4; pp. 385 - 391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4.201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목적: 누낭비강문합술 시 얻은 누낭의 조직병리소견과 임상적 특성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비루관 폐쇄로 08년 8월부터 09년 6월까지 누낭비강문합술에서 얻은 47명 49안의 누낭조직의 병리학적 분류를 시행하였고, 의무기록의 후향적 확인을 통해 누낭의 조직학적 분류와 술 전 증상기간, 술 후 증상의 재발여부 및 세척술 이상소견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 47명의 평균 연령은 58.83 ± 11.49세, 술 전 증상 기간은 평균 65.20 ± 69.05개월이었다. 6개월 이상의 경과관찰에서 43안 (88%)의 누낭비강문합이 유지되었고, 30안(61%)에서 눈물 증상의 완전한 호전을 보였다. 술 전 증상기간과 염증정도는 통계적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술 전 증상기간과 섬유화 정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Spearman correlation p<0.05). 술 후 증상의 재발, 비루관세척술의 이상을 보인 경우 병리학적 염증과 섬유화가 심한 군에 속하였고, 모든 환자에서 항염증제 점안 치료로 증상호전을 보였다. 결론: 누낭비강문합술 후 재협착이 발생하는 환자의 수술 결과에 대한 예측인자의 하나로 누낭의 조직학적 염증 및 섬유화 정도가 의미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1;52(4):385-391>
Purpose: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of lacrimal sac after external dacyrocystorhinostomy (DCR). Methods: From March 2008 to June 2009, 49 lacrimal sac tissues of 47 patients were obtained after external DCR and divided according to fibrosis and inflammatory findings. The correlation of preoperative duration of symptoms with NLD obstruction, symptoms of recurrence and outcomes of the operation to the histopathologic finding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8.83 ± 11.49 years and the mean duration of preoperative symptoms was 65.2 ± 69.05 months. Forty-three cases (88%) maintained good openings and 30 cases (61%) had no recurring symptoms over 6 months after the operation. Among the significant symptoms, severe subepithelial inflammations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at shorter duration. However, the fibrosis showed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preoperative duration of symptoms (Spearman correlation test, p<0.05). Most failures were found in the severe inflammation and fibrosis groups and were recovered with anti-inflammatory treatment. Conclusions: Inflammation and fibrosis of the lacrimal sac could be an important prognostic and predictive factor of outcomes of DCR.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4):385-391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1.52.4.010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