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이념성향 인식과 후보자 및 정당 지지 행태와의 상관관계: 16대 대통령선거와 17대 국회의원선거 비교 분석
본 연구의 대강은 16대 대통령선거와 17대 국회의원선거 시기에 나타난 주요 사회적 이슈들을 중심으로 측정된 한국인의 이념성향이, 지지하는 후보자나 정당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의 유권자들이 스스로를 이념 지표에 자리매김할 때와 지지후보와 정당을 결정하는 두 가지 경우 모두, 국가보안법 이슈가 진보를 보수로부터 분리하는 데 가장 결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권자가 실제 선거를 앞두고 지지후보 혹은 지지정당을 결정할 경우에는 자신의 이념성...
Saved in:
| Published in | 한국과 국제정치 Vol. 23; no. 4; pp. 65 - 98 |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30.12.2007
극동문제연구소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5-3006 2713-7570 |
| DOI | 10.17331/kwp.2007.23.4.003 |
Cover
| Summary: | 본 연구의 대강은 16대 대통령선거와 17대 국회의원선거 시기에 나타난 주요 사회적 이슈들을 중심으로 측정된 한국인의 이념성향이, 지지하는 후보자나 정당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의 유권자들이 스스로를 이념 지표에 자리매김할 때와 지지후보와 정당을 결정하는 두 가지 경우 모두, 국가보안법 이슈가 진보를 보수로부터 분리하는 데 가장 결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권자가 실제 선거를 앞두고 지지후보 혹은 지지정당을 결정할 경우에는 자신의 이념성향을 인식할 때보다 더 단순화된 이슈를 근거로(즉, ‘요약적 심리성향’을 근거로) 판단을 내리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국회의원선거에서보다는 대통령선거에서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사회적 이슈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진보 성향을 표방하는 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의 경우 2004년 17대 총선을 앞둔 조사에서 볼 수 있듯이, 상대적으로 보수 성향의 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보다 좀 더 다양한 분야의 이슈들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한국인의 이념성향이란 것은 여전히 국가보안법 이슈가 중요한 준거틀로 활용되고 있지만, 또 다른 주요 판단 준거로 작용하는 이슈들의 경우는 당시 사회적 상황에 따라서 어느 정도 변화할 개연성이 감지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ssociational relationship between ideological identification of Korean electorates and supporting candidates/political parties based on salient sociological issues during the period of the 16th Presidential Election and 17th Congressional Election. The implication of statistical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Korean electorates use National Security Law as the most influential criterion in deciding their own ideological preferences and their supporting candidates and parties. Second, compared to clarifying their own ideological preferences, electorates have a tendency of considering fewer and condensed issues in deciding supporting candidates and parties. Also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y seem to consider fewer issues that are more structural ones than in the Congressional Election. Third, those who claim to support progressive parties tend to consider more issues when asked to choose their own preferences and supporting candidates and political parties. Although political issues like National Security Law is considered now as the most significant and salient issue for electorates' own ideological preferences and supporting candidates and parties, ideological identifications of Korean electorates are not fixed, and 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ocial atmosphere at that time. KCI Citation Count: 19 |
|---|---|
| Bibliography: |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Kyungnam University G704-000296.2007.23.4.006 |
| ISSN: | 1225-3006 2713-7570 |
| DOI: | 10.17331/kwp.2007.23.4.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