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팅 제조방식에 따른 신(新)조형의 표현유형과 특성
3D 프린터의 도입에 따라 제조방식이 대량생산을 위한 금형제작 방식과는 확연히 달라지면서 이에 따른 디자인 형상 구현에 있어서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변혁의 시점에서 디자이너는 산업시대의 제작방식과 미의 원리에서 벗어나 신조형의 표현유형과 특성 등을 다각도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이너들에게 새로운 조형방식을 통해 창의적 사고와 영감에 도움을 주고 더 나아가 새로운 도전적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과 범위는 3D 프린팅으로 출력된 결과물의 조형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Saved in:
      
    
          |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17; no. 2; pp. 583 - 593 |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16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8635 2713-5993  | 
Cover
| Abstract | 3D 프린터의 도입에 따라 제조방식이 대량생산을 위한 금형제작 방식과는 확연히 달라지면서 이에 따른 디자인 형상 구현에 있어서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변혁의 시점에서 디자이너는 산업시대의 제작방식과 미의 원리에서 벗어나 신조형의 표현유형과 특성 등을 다각도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이너들에게 새로운 조형방식을 통해 창의적 사고와 영감에 도움을 주고 더 나아가 새로운 도전적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과 범위는 3D 프린팅으로 출력된 결과물의 조형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까지 3D프린팅으로 출력된 다양한 유형의 결과물들을 문헌자료와 3D프린터회사들이 제공하는 자료, 3D프린팅서비스플랫폼 등을 통해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3장부터 5장으로 나누어 다루었으며,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선정된 조형은 형(Form), 구조(Structure), 패턴(Pattern)으로 나누고, 조형적 스타일에 따라 다시 세부항목으로 재분류하였다. 형(Form)은 마트료시카 형태, 뫼비우스스트립 형태, 비정형의 형태로 파팅라인이 없고 언더컷(Undercut)과 빼내기 경사(Draft angle)와 같은 금형의 제약조건을 벗어난 자유로운 형상을 구현하는 경향이 강하다. 구조는 기본 도형의 연속구조, 모듈의 조합, 면의 연속구조, 움직이는 부품이 포함된 연결구조 등으로 미세하면서 복잡하게 연결되고, 내·외부의 경계가 없으며,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구현해 낼 수 없는 독특한 구조의 경향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3D 프린팅을 통한 질감의 표현 유형은 섬유와 같은 텍스타일의 효과, 타공을 통한 질감의 효과, 표면의 정교한 조각(인그레이빙)의 질감 표현, 적층방식을 통한 질감 표현 등으로 텍스추어를 이미지화 시키고 있다. 이러한 방식들은 전통적인 방식과는 다른 형상과 구조, 텍스추어의 표현 등을 새롭게 발현시킴으로써 조형의 창의성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With the introduction of 3D printers, the manufacturing method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ss production. Accordingly, it makes a big difference in forms and shapes. In this time of transformation, designers need to seize the possibility of new plastic representa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with various angles away from the principle of the production methods and beauty of the industrial ages. Methods and scopes of th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output of 3D printing. So the various types of output of 3D printing so far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documents and data provided by the 3D printer company, 3D printing service platform.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Chapter 3 ~ Chapter 5,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y were classified in the Form, Structure, Pattern, and re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formative style. 3D printed Form has a strong tendency to implement a free shape out of the mold constraints. e.g. Matryoshka doll form, Mobius strip form, in the form of unstructured no parting lines, such as undercut or draft angle. 3D printed Structure shows the trend of unique structures that can not be implemented in the traditional way. A delicate and intricately linked, there is no inside and outside of the boundary, e.g. a continuous structure, combination, a continuous structure of the surface containing the moving parts. Finally, 3D printed Texture has been imaged visually such as looks like textiles, the effects of punching, sophisticated engraving, a layered approach, etc. 3D printing production maximizes the creativity of plastic by expressing new Form and Structure, Texture unlike the traditional methods. | 
    
|---|---|
| AbstractList | 3D 프린터의 도입에 따라 제조방식이 대량생산을 위한 금형제작 방식과는 확연히 달라지면서 이에 따른 디자인 형상 구현에 있어서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변혁의 시점에서 디자이너는 산업시대의 제작방식과 미의 원리에서 벗어나 신조형의 표현유형과 특성 등을 다각도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이너들에게 새로운 조형방식을통해 창의적 사고와 영감에 도움을 주고 더 나아가 새로운 도전적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과 범위는 3D 프린팅으로 출력된 결과물의 조형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까지 3D프린팅으로 출력된 다양한 유형의 결과물들을 문헌자료와 3D프린터회사들이 제공하는 자료, 3D프린팅서비스플랫폼 등을 통해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3장부터 5장으로 나누어 다루었으며,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선정된 조형은 형(Form), 구조(Structure), 패턴(Pattern)으로 나누고, 조형적 스타일에 따라 다시 세부항목으로 재분류하였다. 형(Form)은 마트료시카 형태, 뫼비우스스트립 형태, 비정형의 형태로 파팅라인이 없고 언더컷(Undercut)과 빼내기 경사(Draft angle)와 같은 금형의 제약조건을 벗어난 자유로운 형상을 구현하는 경향이 강하다. 구조는 기본 도형의 연속구조, 모듈의 조합, 면의 연속구조, 움직이는 부품이 포함된 연결구조 등으로 미세하면서 복잡하게 연결되고, 내외부의 경계가 없으며,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구현해 낼 수 없는 독특한 구조의 경향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3D 프린팅을 통한 질감의 표현 유형은 섬유와 같은 텍스타일의 효과, 타공을 통한 질감의 효과, 표면의 정교한 조각(인그레이빙)의 질감 표현, 적층방식을 통한 질감 표현 등으로 텍스추어를 이미지화 시키고 있다. 이러한 방식들은 전통적인 방식과는 다른 형상과구조, 텍스추어의 표현 등을 새롭게 발현시킴으로써 조형의 창의성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With the introduction of 3D printers, the manufacturing method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ss production. Accordingly, it makes a big difference in forms and shapes. In this time of transformation, designers need to seize the possibility of new plastic representa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with various angles away from the principle of the production methods and beauty of the industrial ages.
Methods and scopes of th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output of 3D printing. So the various types of output of 3D printing so far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documents and data provided by the 3D printer company, 3D printing service platform.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Chapter 3 ~ Chapter 5,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y were classified in the Form, Structure, Pattern, and re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formative style. 3D printed Form has a strong tendency to implement a free shape out of the mold constraints. e.g. Matryoshka doll form, Mobius strip form, in the form of unstructured no parting lines, such as undercut or draft angle. 3D printed Structure shows the trend of unique structures that can not be implemented in the traditional way. A delicate and intricately linked, there is no inside and outside of the boundary, e.g. a continuous structure, combination, a continuous structure of the surface containing the moving parts. Finally, 3D printed Texture has been imaged visually such as looks like textiles, the effects of punching, sophisticated engraving, a layered approach, etc. 3D printing production maximizes the creativity of plastic by expressing new Form and Structure, Texture unlike the traditional methods. KCI Citation Count: 1 3D 프린터의 도입에 따라 제조방식이 대량생산을 위한 금형제작 방식과는 확연히 달라지면서 이에 따른 디자인 형상 구현에 있어서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변혁의 시점에서 디자이너는 산업시대의 제작방식과 미의 원리에서 벗어나 신조형의 표현유형과 특성 등을 다각도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이너들에게 새로운 조형방식을 통해 창의적 사고와 영감에 도움을 주고 더 나아가 새로운 도전적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과 범위는 3D 프린팅으로 출력된 결과물의 조형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까지 3D프린팅으로 출력된 다양한 유형의 결과물들을 문헌자료와 3D프린터회사들이 제공하는 자료, 3D프린팅서비스플랫폼 등을 통해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3장부터 5장으로 나누어 다루었으며,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선정된 조형은 형(Form), 구조(Structure), 패턴(Pattern)으로 나누고, 조형적 스타일에 따라 다시 세부항목으로 재분류하였다. 형(Form)은 마트료시카 형태, 뫼비우스스트립 형태, 비정형의 형태로 파팅라인이 없고 언더컷(Undercut)과 빼내기 경사(Draft angle)와 같은 금형의 제약조건을 벗어난 자유로운 형상을 구현하는 경향이 강하다. 구조는 기본 도형의 연속구조, 모듈의 조합, 면의 연속구조, 움직이는 부품이 포함된 연결구조 등으로 미세하면서 복잡하게 연결되고, 내·외부의 경계가 없으며,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구현해 낼 수 없는 독특한 구조의 경향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3D 프린팅을 통한 질감의 표현 유형은 섬유와 같은 텍스타일의 효과, 타공을 통한 질감의 효과, 표면의 정교한 조각(인그레이빙)의 질감 표현, 적층방식을 통한 질감 표현 등으로 텍스추어를 이미지화 시키고 있다. 이러한 방식들은 전통적인 방식과는 다른 형상과 구조, 텍스추어의 표현 등을 새롭게 발현시킴으로써 조형의 창의성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With the introduction of 3D printers, the manufacturing method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ss production. Accordingly, it makes a big difference in forms and shapes. In this time of transformation, designers need to seize the possibility of new plastic representa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with various angles away from the principle of the production methods and beauty of the industrial ages. Methods and scopes of th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output of 3D printing. So the various types of output of 3D printing so far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documents and data provided by the 3D printer company, 3D printing service platform.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Chapter 3 ~ Chapter 5,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y were classified in the Form, Structure, Pattern, and re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formative style. 3D printed Form has a strong tendency to implement a free shape out of the mold constraints. e.g. Matryoshka doll form, Mobius strip form, in the form of unstructured no parting lines, such as undercut or draft angle. 3D printed Structure shows the trend of unique structures that can not be implemented in the traditional way. A delicate and intricately linked, there is no inside and outside of the boundary, e.g. a continuous structure, combination, a continuous structure of the surface containing the moving parts. Finally, 3D printed Texture has been imaged visually such as looks like textiles, the effects of punching, sophisticated engraving, a layered approach, etc. 3D printing production maximizes the creativity of plastic by expressing new Form and Structure, Texture unlike the traditional methods.  | 
    
| Author | 조재경 Euna Ha Jae Kyung Cho 하은아  |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하은아 – sequence: 2 fullname: Euna Ha – sequence: 3 fullname: 조재경 – sequence: 4 fullname: Jae Kyung Cho  |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0453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 BookMark | eNo9jzFLw0AcxQ-pYK39BC5ZRB0Cd_fP5XJjaasWiwXpHi5pTkK0lQQH97pYB4WqHVqog4JbxEXBz-NgLt_BYIvTe4_348FbR6X-oB-soDLlBEwmBJRQmTDhmI4NbA1VkyT0sGVx4NwSZXQIjXw8zF7S_ObK0POpfkqz9FWPZvrx1sjGafb8YejRfOf7Id0tunxyr2cTI7-b5pOhns6L_PP-ZeTXn3r4toFWlTxNgupSK6i71-zWD8x2Z79Vr7XNyKFgBgGVijHmAWZYyR72KLEk2L6ype9LzCVTQjnSUR7zRcBt4lNGbMDUJp4HAipoezHbj5Ub-aE7kOGfngzcKHZrx92WC5gX_ytoa0lexOFZ0Aule14YGV-6R51GkxAHqOBQcJsLLgqT5B8BCwijFvwCKM14cA |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 DBID | HZB Q5X DBRKI TDB ACYCR  | 
    
| DatabaseName |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DBpia Korean Citation Index  | 
    
| DatabaseTitleList |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 DocumentTitleAlternate | 3D프린팅 제조방식에 따른 신(新)조형의 표현유형과 특성 The Type and Characteristic of 3D Printing Expression  | 
    
| DocumentTitle_FL | The Type and Characteristic of 3D Printing Expression | 
    
| EISSN | 2713-5993 | 
    
| EndPage | 593 |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30771 NODE11832973 3431524  | 
    
| GroupedDBID |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 
    
| ID | FETCH-LOGICAL-k823-ee2af555b3050fad0b214a36cf6acca07a5f9f8a8fb5c9e761c251630261bb393 | 
    
| ISSN | 1598-8635 | 
    
| IngestDate | Tue Nov 21 21:42:28 EST 2023 Thu Mar 13 19:39:47 EDT 2025 Tue Aug 13 02:12:05 EDT 2024  | 
    
| IsPeerReviewed | false | 
    
| IsScholarly | false | 
    
| Issue | 2 | 
    
| Keywords | 3D Printing 신조형 New Form 3D Fabrication 3D프린팅 3D제작  | 
    
| Language | Korean | 
    
| LinkModel | OpenURL |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823-ee2af555b3050fad0b214a36cf6acca07a5f9f8a8fb5c9e761c251630261bb393 | 
    
| Notes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G704-001069.2016.17.2.047 http://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27&idx=476  | 
    
| PageCount | 11 |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30771 nurimedia_primary_NODE11832973 kiss_primary_3431524  | 
    
| PublicationCentury | 2000 | 
    
| PublicationDate | 20160430 |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6-04-30 |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4 year: 2016 text: 20160430 day: 30  | 
    
| PublicationDecade | 2010 | 
    
| PublicationTitle | 기초조형학연구 | 
    
| PublicationTitleAlternate | 기초조형학연구 | 
    
| PublicationYear | 2016 | 
    
| Publisher | 한국기초조형학회 | 
    
| Publisher_xml | – name: 한국기초조형학회 | 
    
| SSID | ssib044737749 ssib001148679 ssib009282594  | 
    
| Score | 1.6018126 | 
    
| Snippet | 3D 프린터의 도입에 따라 제조방식이 대량생산을 위한 금형제작 방식과는 확연히 달라지면서 이에 따른 디자인 형상 구현에 있어서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 
    
| SourceID | nrf nurimedia kiss  |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 StartPage | 583 | 
    
| SubjectTerms | 3D Fabrication 3D Printing 3D제작 3D프린팅 New Form 신조형 예술일반  | 
    
| Title | 3D프린팅 제조방식에 따른 신(新)조형의 표현유형과 특성 |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431524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3297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04531  | 
    
| Volume | 17 | 
    
| hasFullText | 1 | 
    
| inHoldings | 1 | 
    
| isFullTextHit | |
| isPrint | |
| ispartofPNX | 기초조형학연구, 2016, 17(2), 74, pp.583-593 |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713-5993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7749 issn: 1598-8635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b9MwFLe2XeCChgaifEw5YAlUBSVxnNjHfKGxaeMypN0iJ00AVWpRaQ9w4FQujANIA3ropHEAiVsRF5D4ezjQ9H_g2c3SCPXAuLj-eH7P9kv8fk7tZ4RuCqMlDA4aEClLdLC3ps6dxNJTwxSEOLnIDXkaeXfP2Xpgbx_Qg5XV9dqupUE_uZM-X3qu5H-0CnmgV3lK9gyarZhCBsRBvxCChiH8Jx2TEEch5gAHbRz52HOwb8gcFmBGmzgKsGdgHqiIqcp8GXpc5jAf81BGuIu50ZRlwGlO5FHss2ZJBTwshiMHc8Xf4jV-IJ1hThUbGW-qLFMJVWWyZYFMenVqD_sE-4GiZpCYNwikm3WwrOiYkhNgH3rJlkkOZch52RNZBLUoXviUPCVhZSuZ4gc5rDr4Ew06orklFjUqMUAYAS_F1MJ-tT96W2TNnWcDuWniUbf-6cR0av8CyYf9VHxw2rDwjP2CiAcqrZsPznTmzB2wVPbFrb1HVs1Y0PkVPn_5-yYA6ahlr6JVYsorOXZfRAt8ayoHiVWay5PHiwnVtl0CcJ4rH8FlSwBqwErkKUCnTg8Q17nOQF4bAXNPDUbtr6ML5fpH8-YP80W00u5uoB0Szo6G08-T2euXWnEyLj5OppMvxeFx8eGNNj2aTD9914rDk1u_3k9uQ9ls9K44Hmmzt-PZaFiMTyD9-9tPbfbqRzH8egnt3432gy29vOVDbzOL6FlmiZxSmoDhMXLRMhLLtAVx0twRMLsYrqA5z5lgeUJTnrmOmQIkd4j8dpAkhJPLaK3T7WRXkAbYWrQAkNEscWw3sXieZzTLmZu1AIgK3kAbcijiJ3M_LnE50g2kwdDE7fRxLH2ty9-H3bjdi2FFeS8GG-iaDbRZjVtVfe9-GJnSInKXXF3O-ho6v3jurqO1fm-Q3QAQ2082lWL_AFscfZ0 |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3D%ED%94%84%EB%A6%B0%ED%8C%85+%EC%A0%9C%EC%A1%B0%EB%B0%A9%EC%8B%9D%EC%97%90+%EB%94%B0%EB%A5%B8+%EC%8B%A0%28%E6%96%B0%29%EC%A1%B0%ED%98%95%EC%9D%98+%ED%91%9C%ED%98%84%EC%9C%A0%ED%98%95%EA%B3%BC+%ED%8A%B9%EC%84%B1&rft.jtitle=%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C%97%B0%EA%B5%AC&rft.au=%ED%95%98%EC%9D%80%EC%95%84&rft.au=Euna+Ha&rft.au=%EC%A1%B0%EC%9E%AC%EA%B2%BD&rft.au=Jae+Kyung+Cho&rft.date=2016-04-30&rft.pub=%ED%95%9C%EA%B5%AD%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D%9A%8C&rft.issn=1598-8635&rft.volume=17&rft.issue=2&rft.spage=583&rft.externalDocID=3431524 |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635&client=summon |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635&client=summon |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635&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