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헐외사시에서 약시 및 감각 융합 이상
간헐외사시에서 기능성 약시의 빈도와 감각 융합 이상의 빈도를 알아보고 약시와 감각 융합 이상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간헐외사시 환자 98명을 대상으로 최대 교정 시력을 이용하여 약시군과 비약시군으로 나누어 굴절 이상, 바골리니 렌즈 검사, 워쓰 네점검사, 입체시를 검사하고 교차 분석 방법으로 통계분석하였다. 간헐외사시중 약시군의 빈도는 98명 중 14명[14.3 %]였다.굴절부등은 약시군에서 14명 중 6명(42.9%), 비약시군 84명 중 6명(7.1%)으로 굴절부등은 약시군에 많았다(p<0.002). 감각...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1; no. 2; pp. 495 - 499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2.200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
Cover
Summary: | 간헐외사시에서 기능성 약시의 빈도와 감각 융합 이상의 빈도를 알아보고 약시와 감각 융합 이상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간헐외사시 환자 98명을 대상으로 최대 교정 시력을 이용하여 약시군과 비약시군으로 나누어 굴절 이상, 바골리니 렌즈 검사, 워쓰 네점검사, 입체시를 검사하고 교차 분석 방법으로 통계분석하였다. 간헐외사시중 약시군의 빈도는 98명 중 14명[14.3 %]였다.굴절부등은 약시군에서 14명 중 6명(42.9%), 비약시군 84명 중 6명(7.1%)으로 굴절부등은 약시군에 많았다(p<0.002). 감각 융합 이상 은 워쓰 네점 검사에서 약시군은 근거리 50.0%,원거리 64.3%로 비약시군의 근거리 10.7%,원거리 20.2%에 비해 각각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p<0.001,p<0.002). 바골리니 렌즈 검사에서는 35.7%,비약시군 14.3%로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p>0.064).입체시의 감소는 약시가 있는 경우와(p<0.003)감각 융합 이상이 있는 경우에(p<0.019)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한안지 41:495~499,2000).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amblyopia and sensory fusional anomaly in intermittent exotropi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mblyopia and sensory fusional anomaly. Ninety eight intermittent exotropic patients were selected and using full corrected visual acuity, the select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amblyopia group and non-amblyopia group. Then, refractive errors, Bagolini lens test, Worth 4 dot test and stereoacuity test were measured and these valu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frequency of amblyopia among intermittent exotropia group was 14 patients(14.3%). Anisometropia among amblyopia group was 6 patients(43.9%) and among non-amblyopia group was 6 patients (7.1%). Anisometropia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amblyopia group compared with non-amblyopia group(p<0.002). Sensory fusional anomaly among amblyopia group showed 50%at near distance and 64.3%at far distance, among non-amblyopia group 10.7% at near distance and 20.2%at far distance in Worth 4 dot test. Therefore, it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in amblyopia group compared with non-amblyopia group(p<0.001, p<0.002). Sensory fusional anomaly among amblyopia group showed 35.7%and among non-amblyopia group 14.3%in Bagolini lens test, it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not meaningful(p>0.064). In stereoacuity, it decreased statistically meaningful when amblyopia(p<0.003) or sensory fusional anomaly(p<0.019)were present(J Korean Ophthalmol Soc 41:495~499,2000).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