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학습에서의 대학생 경험에 대한 관찰연구

학습자들의 지속 가능한 핵심역량의 개발에 대한 사회적 기대는 대학 교육의 혁신적인 교수학습법변화를 요구한다. 프로젝트 학습은 학습자가 예측불가능하고 복잡한 문제 상황에 직면하는 실제 상황에대비하여 의미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주도적이고 협력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팀 프로젝트 수업에 주목하여 대학에서 진행되는 팀 프로젝트 수업의 학습 과정에서 행해지는 실제학습자들의 맥락적 행동 양상에 대해 분석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팀 활동 장면이 녹화된 비디오자료를 기반으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과정 중 특히 대화 상황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양교육연구 Vol. 17; no. 1; pp. 227 - 243
Main Authors 박영주, 박진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양교육학회 28.02.2023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3212
2714-1101

Cover

Abstract 학습자들의 지속 가능한 핵심역량의 개발에 대한 사회적 기대는 대학 교육의 혁신적인 교수학습법변화를 요구한다. 프로젝트 학습은 학습자가 예측불가능하고 복잡한 문제 상황에 직면하는 실제 상황에대비하여 의미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주도적이고 협력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팀 프로젝트 수업에 주목하여 대학에서 진행되는 팀 프로젝트 수업의 학습 과정에서 행해지는 실제학습자들의 맥락적 행동 양상에 대해 분석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팀 활동 장면이 녹화된 비디오자료를 기반으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과정 중 특히 대화 상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활동의 목적을 규정하기 위한 학생들의 논의 과정은 배운 지식의 적용 또는 활용이라기보다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들의 경험의 범위를 넘어서는 안목의 확장으로서 배움의 과정임을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프로젝트 결과물의 주제와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학생들의 협력 과정은 협력적상호작용이 의견일치나 동의, 적극적 소통에 기반할 것이라는 일반적 기대와 달리 개별적 차이에 기반한동의와 암묵적 인정의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실제 경험을 통해 예측의 기반이되었던 통상적 경험의 범위 안에 갇힌 동일성의 논리를 넘어 상식과 통념으로 인해 놓치고 있던 의미에눈을 돌려야 함을 성찰하고 이를 통해 문제를 새롭게 규정하는 데로 나아가고 있었다. 넷째, 실제프로젝트 활동의 과정에서 실행된 교수자의 피드백은 일반적 지식과 달리 실제 상황에서 발생한 문제해결을 지원함으로써 학생들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도구이자 지렛대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팀 프로젝트 학습 과정에서 실제 학습자에게 어떠한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지에대한 기초 연구 자료로서 팀 프로젝트 학습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Social expect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core competencies of learners require innovative changes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university education. Project learning enables proac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so that meaningful learning can take place in preparation for real situations in which learners face unpredictable situations and those involving complex problems. This study focuses on these team project classes, analyzes the contextual behavioral aspects of actual learner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of team project classes conducted in universities, and examines thei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discussion among students to define the purpose of the project activity is a learning process in itself. It is also serves as an extension of their perspective that goes beyond the scope of their experience through their interactions, rather than the application or utilization of learned knowledge. In addition, unlike the general expectation that cooperative interaction will be based on consensus, agreement, and active communication, the cooperative process of students discussing the subject and direction of the project outcome is conducted through tacit recogni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agreement on these differences. Moreover, through actual experience, students reflected on the need to focus on the meaning that was missing due to common sense and conventional wisdom, and which goes beyond the logic of identity confined within the range of ordinary experience that was the basis of prediction. Through this, they were able to make progress in redefining the problem. Finally,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instructor's feedback, which was implemented during the actual project activity process, can function as a tool and and as leverage in the process of th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by supporting the problem-solving that occurred in real situations, unlike in general knowledg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team project learning as basic research material to determine what kind of experiences are possible for actual learners in the team project learning process. KCI Citation Count: 1
AbstractList 학습자들의 지속 가능한 핵심역량의 개발에 대한 사회적 기대는 대학 교육의 혁신적인 교수학습법변화를 요구한다. 프로젝트 학습은 학습자가 예측불가능하고 복잡한 문제 상황에 직면하는 실제 상황에대비하여 의미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주도적이고 협력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팀 프로젝트 수업에 주목하여 대학에서 진행되는 팀 프로젝트 수업의 학습 과정에서 행해지는 실제학습자들의 맥락적 행동 양상에 대해 분석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팀 활동 장면이 녹화된 비디오자료를 기반으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과정 중 특히 대화 상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활동의 목적을 규정하기 위한 학생들의 논의 과정은 배운 지식의 적용 또는 활용이라기보다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들의 경험의 범위를 넘어서는 안목의 확장으로서 배움의 과정임을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프로젝트 결과물의 주제와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학생들의 협력 과정은 협력적상호작용이 의견일치나 동의, 적극적 소통에 기반할 것이라는 일반적 기대와 달리 개별적 차이에 기반한동의와 암묵적 인정의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실제 경험을 통해 예측의 기반이되었던 통상적 경험의 범위 안에 갇힌 동일성의 논리를 넘어 상식과 통념으로 인해 놓치고 있던 의미에눈을 돌려야 함을 성찰하고 이를 통해 문제를 새롭게 규정하는 데로 나아가고 있었다. 넷째, 실제프로젝트 활동의 과정에서 실행된 교수자의 피드백은 일반적 지식과 달리 실제 상황에서 발생한 문제해결을 지원함으로써 학생들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도구이자 지렛대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팀 프로젝트 학습 과정에서 실제 학습자에게 어떠한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지에대한 기초 연구 자료로서 팀 프로젝트 학습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Social expect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core competencies of learners require innovative changes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university education. Project learning enables proac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so that meaningful learning can take place in preparation for real situations in which learners face unpredictable situations and those involving complex problems. This study focuses on these team project classes, analyzes the contextual behavioral aspects of actual learner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of team project classes conducted in universities, and examines thei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discussion among students to define the purpose of the project activity is a learning process in itself. It is also serves as an extension of their perspective that goes beyond the scope of their experience through their interactions, rather than the application or utilization of learned knowledge. In addition, unlike the general expectation that cooperative interaction will be based on consensus, agreement, and active communication, the cooperative process of students discussing the subject and direction of the project outcome is conducted through tacit recogni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agreement on these differences. Moreover, through actual experience, students reflected on the need to focus on the meaning that was missing due to common sense and conventional wisdom, and which goes beyond the logic of identity confined within the range of ordinary experience that was the basis of prediction. Through this, they were able to make progress in redefining the problem. Finally,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instructor's feedback, which was implemented during the actual project activity process, can function as a tool and and as leverage in the process of th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by supporting the problem-solving that occurred in real situations, unlike in general knowledg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team project learning as basic research material to determine what kind of experiences are possible for actual learners in the team project learning process. KCI Citation Count: 1
Author 박진희
박영주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박영주
– sequence: 2
  fullname: 박진희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3865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81Kw0AcxBepYK19h1y8CIH972dyLPWrUBCk92WTbiREstB68Vawp-LBg9IWGtC7hyIWvPhC7eYdjMbTwMyPYeYQNXKbmz3UJBKYD4ChgZoQSuFTAuQAtcfjNMKYiVAGHJrotHye7t5W7rUoZ19e-bJ0s42bP7npyhULb_c4-bUeCm_78V3OF1VSeytv-zlx67Wbr7eb9yO0n-jbsWn_awsNzs8G3Uu_f3XR63b6fia48EM2JFrQoYhYHNPAgKYgk4TFwCPBuNbcUGMoHXItIwIcB0DCRGCKpYir8bSFTurafJSoLE6V1emf3liVjVTnetBT1eEwYIGo4OMazu5tZFVkbRab_M6MFMOAMZVARACU_gBinmsS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ACYCR
DatabaseName 교보문고 스콜라 Scholar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n Observation Study on the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Project Learning
EISSN 2714-1101
EndPage 243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198486
4010037126813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M~E
P5Y
SSSTE
ACYCR
ID FETCH-LOGICAL-k656-94d2a63d6b4cc38e1a317ff4c15b645aa5e3ee33d5a7b21508129f603076c2123
ISSN 1976-3212
IngestDate Wed Jan 31 06:58:41 EST 2024
Tue Feb 18 15:08:02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Keywords Experience
Project Learning
Feedback
피드백
성찰
Team Work
Problem Solving
팀 활동
프로젝트 학습
문제 해결
Reflection
경험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56-94d2a63d6b4cc38e1a317ff4c15b645aa5e3ee33d5a7b21508129f603076c2123
PageCount 1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198486
kyobo_bookcenter_401003712681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3-02-28
PublicationDateYYYYMMDD 2023-02-28
PublicationDate_xml – month: 02
  year: 2023
  text: 2023-02-28
  day: 28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교양교육연구
PublicationYear 2023
Publisher 한국교양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Publisher_xml – name: 한국교양교육학회
– name: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SID ssib004697851
ssib009345133
ssib044738157
Score 1.8368806
Snippet 학습자들의 지속 가능한 핵심역량의 개발에 대한 사회적 기대는 대학 교육의 혁신적인 교수학습법변화를 요구한다. 프로젝트 학습은 학습자가 예측불가능하고 복잡한 문제...
SourceID nrf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227
SubjectTerms 학제간연구
TableOfContents 1. 들어가는 말 2. 연구 방법론: 비디오 기반의 맥락적 참여 과정 연구 3. 팀 활동 과정에 대한 분석: 프로젝트 활동에서 이해의 확장 4.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Title 프로젝트 학습에서의 대학생 경험에 대한 관찰연구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3712681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38657
Volume 1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교양교육연구, 2023, 17(1), 71, pp.227-243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714-1101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157
  issn: 1976-3212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7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Pi9NAFB_qnryIouL6ZwnonCSSZCaTzDFJK6uwnirsLSSTRLSwhdI96EEW3NPiwYPSFVrQu4ciLnjx8wjd9Dv43iStqVtwFUo6eTPzMu-9Sef3OjNvCLkHXkaewtBn5sJnJs8ENxO7YKZQhZc4dlZkeqJ954nYfsof77q7rdbPxqql_WH6QL1au6_kf6wKNLAr7pL9B8sumQIB0mBfuIKF4XouG9NOm0oAg5x2QhrYVEa0E9HAorKNWX5AQ_--LuRSKTEPSS4mpEelpSm8rgZ1JJYOqR_h-oeVagyyIQ9qOzTUzJGBv-R0tl5UFeeaFNHQwk9VHBO6HXXcxxcLaTSxapYUVNqrlAhFXM8Begw2AMiyks4HhKx1wWi4vkjgab21Ue6aS_3nh8Mam8mxuy5FWjy0fb6mLhUIiQC00xgAAJ6ZzLFXRwjvzJtQ_9xXcQ1q5OBUAaf-iN8NDqyOi-gIH09XvsBsPGhj53WnMbkMrnxjclYyvjh1B-859wBW6Zi1y9aBK9V72U_7gIj2BkUDEXUvk0u1K2MEVb-8Qlq9_lXSnr8_PP08Lj9N5kffjfmHj-XRSTl6Vx6Oy8mxcfr2AElvJsbs64_56BhyKtrYmH07KKfTcjSdnXy5RroPO91o26xP6jB74A-YkmdOIlgmUq4U83M7AVRaFFzZbiq4myRuzvKcscxNvNTBEwgAZRYCxxehEDtdJxt7_b38BjHAX_GsjLlWYUnuqCzJrII7XpY7Klc-V5tkSwseow-K65fzQbyi4U1yFzQS99TzGCOn4_ezftwbxOAfPsIFjdLnvrj5Nza3yMXf_e022RgO9vM7AD-H6ZY23i9wPmX1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4%84%EB%A1%9C%EC%A0%9D%ED%8A%B8+%ED%95%99%EC%8A%B5%EC%97%90%EC%84%9C%EC%9D%98+%EB%8C%80%ED%95%99%EC%83%9D+%EA%B2%BD%ED%97%98%EC%97%90+%EB%8C%80%ED%95%9C+%EA%B4%80%EC%B0%B0%EC%97%B0%EA%B5%AC&rft.jtitle=%EA%B5%90%EC%96%91%EA%B5%90%EC%9C%A1%EC%97%B0%EA%B5%AC&rft.au=%EB%B0%95%EC%98%81%EC%A3%BC&rft.au=%EB%B0%95%EC%A7%84%ED%9D%AC&rft.date=2023-02-28&rft.pub=%ED%95%9C%EA%B5%AD%EA%B5%90%EC%96%91%EA%B5%90%EC%9C%A1%ED%95%99%ED%9A%8C&rft.issn=1976-3212&rft.volume=17&rft.issue=1&rft.spage=227&rft.epage=243&rft.externalDocID=401003712681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6-321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6-321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6-321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