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가마의 연대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

유적조사가 이루어진 분청사기 가마 중 9곳 유적의 15기의 분청사기 가마로부터 소토시료를 채취하여 그 측정결과를 통해 분청사기 가마의 연대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15기 가마의 측정결과는 1기를 제외하고는 아주 신뢰도가 높은 고고지자기 측정데이터를 구할 수가 있었으며, 오차 연대가 10~20년 정도의 상당히 정밀도가 높은 고고지자기 연대를 추정할 수 있었다. 연대의 오차 범위가 크지 않아서 가마들 사이의 시기 차이가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되지만, 고고지자기 측정연대를 통해 대상 유적 분청사기 가마들의 상대적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백산학보 Vol. 129; pp. 179 - 200
Main Author 성형미(Hyongmi S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백산학회 31.08.2024
The Paek-San Society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7109
DOI10.52557/tpsh.2024.129.179

Cover

Abstract 유적조사가 이루어진 분청사기 가마 중 9곳 유적의 15기의 분청사기 가마로부터 소토시료를 채취하여 그 측정결과를 통해 분청사기 가마의 연대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15기 가마의 측정결과는 1기를 제외하고는 아주 신뢰도가 높은 고고지자기 측정데이터를 구할 수가 있었으며, 오차 연대가 10~20년 정도의 상당히 정밀도가 높은 고고지자기 연대를 추정할 수 있었다. 연대의 오차 범위가 크지 않아서 가마들 사이의 시기 차이가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되지만, 고고지자기 측정연대를 통해 대상 유적 분청사기 가마들의 상대적인 순서를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고고지자기 측정연대와 고고학적 추정연대의 비교를 통해 분청사기 가마의 편년 연구를 진행해 보았는데, 고고지자기 측정연대는 1340~1410년(오차 범위를 포함하면 14세기 초중반~15세기 중반)으로 고고학적 추정연대인 14세기 말~15세기 중후반(1390년경~1480년경)보다 분포 범위가 앞선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마 각각의 연대에서 시기 차이가 거의 없는 가마도 있었으나 다수의 가마에서 고고지자기 측정연대가 50년 정도의 빠른 연대가 구해졌다. 연대의 차이에 대한 원인의 검토에서 고고학적인 추정연대를 50년 정도 올려 볼 수 있는 가능성과고고지자기학적으로 일본의 표준곡선을 통해 연대를 추정함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연대의 오차 가능성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분청사기 가마와 동일 시기이면서 다른 성격의 소성 유구를 통해 고고지자기데이터를 축적하거나 고고지자기 연대측정법 이외의 자연과학적 연대측정법과의 비교 검토 과정에의해 보완이 이루어지면 본 논문에서 소개한 고고지자기 측정데이터를 이용해 분청사기 가마 조성 시기의 우리나라 고고지자기 표준곡선의 상세한 부분을 완성할 수 있다. Baked earth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5 kilns at 9 sites among the surveyed Buncheong kiln sites. Afterwards, archaeomagne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age of the kilns. Except for one kiln, reliable data with an error range of about 10 to 20 years were obtained. Since the margin of error is relatively narrow,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kilns is not expected to be large, but the relative order of the Buncheong kilns was organized through the date of archaeomagnetic measurement data in this paper. The range of dates established based on archaeomagnetic measurements is from 1340 to 1410 (the early 14th to mid-15th centuries, including the error range), which is older than estimates from the late 14th to mid-15th centuries (about 1390 to 1480) based on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Although some of the kilns showed little difference in archaeomagnetic and archaeological dating, many others were dated to about 50 years earlier than the archaeological survey suggested. In considering the causes of this discrepancy, the possibility of raising archaeological dating estimates by about 50 years and the possibility of age errors that can occur when dating is estimated through the Japanese standard curve were discussed. If the accumulation of archaeomagnetic data on various contemporary baked earth remains and comparison with other natural scientific dating methods are made, the archaeomagnetic data presented in this paper can be used to complete a more detailed Korean archaeomagnetic standard curve of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Buncheong kiln.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유적조사가 이루어진 분청사기 가마 중 9곳 유적의 15기의 분청사기 가마로부터 소토시료를 채취하여 그 측정결과를 통해 분청사기 가마의 연대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15기 가마의 측정결과는 1기를 제외하고는 아주 신뢰도가 높은 고고지자기 측정데이터를 구할 수가 있었으며, 오차 연대가 10~20년 정도의 상당히 정밀도가 높은 고고지자기 연대를 추정할 수 있었다. 연대의 오차 범위가 크지 않아서 가마들 사이의 시기 차이가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되지만, 고고지자기 측정연대를 통해 대상 유적 분청사기 가마들의 상대적인 순서를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고고지자기 측정연대와 고고학적 추정연대의 비교를 통해 분청사기 가마의 편년 연구를 진행해 보았는데, 고고지자기 측정연대는 1340~1410년(오차 범위를 포함하면 14세기 초중반~15세기 중반)으로 고고학적 추정연대인 14세기 말~15세기 중후반(1390년경~1480년경)보다 분포 범위가 앞선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마 각각의 연대에서 시기 차이가 거의 없는 가마도 있었으나 다수의 가마에서 고고지자기 측정연대가 50년 정도의 빠른 연대가 구해졌다. 연대의 차이에 대한 원인의 검토에서 고고학적인 추정연대를 50년 정도 올려 볼 수 있는 가능성과고고지자기학적으로 일본의 표준곡선을 통해 연대를 추정함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연대의 오차 가능성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분청사기 가마와 동일 시기이면서 다른 성격의 소성 유구를 통해 고고지자기데이터를 축적하거나 고고지자기 연대측정법 이외의 자연과학적 연대측정법과의 비교 검토 과정에의해 보완이 이루어지면 본 논문에서 소개한 고고지자기 측정데이터를 이용해 분청사기 가마 조성 시기의 우리나라 고고지자기 표준곡선의 상세한 부분을 완성할 수 있다. Baked earth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5 kilns at 9 sites among the surveyed Buncheong kiln sites. Afterwards, archaeomagne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age of the kilns. Except for one kiln, reliable data with an error range of about 10 to 20 years were obtained. Since the margin of error is relatively narrow,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kilns is not expected to be large, but the relative order of the Buncheong kilns was organized through the date of archaeomagnetic measurement data in this paper. The range of dates established based on archaeomagnetic measurements is from 1340 to 1410 (the early 14th to mid-15th centuries, including the error range), which is older than estimates from the late 14th to mid-15th centuries (about 1390 to 1480) based on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Although some of the kilns showed little difference in archaeomagnetic and archaeological dating, many others were dated to about 50 years earlier than the archaeological survey suggested. In considering the causes of this discrepancy, the possibility of raising archaeological dating estimates by about 50 years and the possibility of age errors that can occur when dating is estimated through the Japanese standard curve were discussed. If the accumulation of archaeomagnetic data on various contemporary baked earth remains and comparison with other natural scientific dating methods are made, the archaeomagnetic data presented in this paper can be used to complete a more detailed Korean archaeomagnetic standard curve of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Buncheong kiln.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성형미(Hyongmi Sung)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성형미(Hyongmi Sung)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1114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zj9Lw0AYx_EbKlhr34BTFhch8e7J5S43lvqvUBCk-5FecloiOWm6uFVxcHDoUqqg0q1LhaIovqb0-h6MVnjgu3z48WyhSmayBKEdgr0AgoDvD67yCw8wUI-A8AgXFVQlAIHLCRabqJ7nvS4GAN9nlFbRwfLrzr6_2dt58b1wisVwObu3L4-OnSyWD0M7GTllVuNnp_iYlmdnQ_s6Kulq_GSnN7-s-Jxvow0dXeZJ_b811Dk67DRP3PbpcavZaLspC5hLkzhUPIxFBD5Pyl8pRErgWNFIcyoAszjkSnPlx4QnPoGYUqaxBoGVVnHk19Deejbra5mqnjRR76_nRqZ92TjrtCTBgWAhZiXeXeP02nSN7BqTqiQbJH1JMcGYiRIJDv4PWi9wzQ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ACYCR
DOI 10.52557/tpsh.2024.129.179
DatabaseName Kyobo Scholar Journals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n Archaeomagnetic Study on the Age of Buncheong Kilns
EndPage 200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596806
4010069806972
GroupedDBID M~E
P5Y
SSSTE
ACYCR
ID FETCH-LOGICAL-k656-4ed8c78d9a237e55742ac90dc4af749206d87cf7c3d17e312d446f0f290cfcda3
ISSN 1225-7109
IngestDate Thu Oct 02 04:48:20 EDT 2025
Tue Feb 18 15:18:45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Keywords 고고지자기 연대
Geomagnetic field
Baked earth
Buncheong kiln
소토
분청사기 가마
지자기
Archaeomagnetic dating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56-4ed8c78d9a237e55742ac90dc4af749206d87cf7c3d17e312d446f0f290cfcda3
PageCount 2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596806
kyobo_bookcenter_4010069806972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8-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8-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24
  text: 2024-08-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백산학보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백산학회
The Paek-San Society
Publisher_xml – name: 백산학회
– name: The Paek-San Society
SSID ssib022233644
ssib007837356
ssib050729318
ssib041966827
ssib007859782
Score 1.8941797
Snippet 유적조사가 이루어진 분청사기 가마 중 9곳 유적의 15기의 분청사기 가마로부터 소토시료를 채취하여 그 측정결과를 통해 분청사기 가마의 연대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SourceID nrf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79
SubjectTerms 역사학
TableOfContents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유적 소개 Ⅲ. 시료의 채취와 자화의 측정 Ⅳ. 분청사기 가마의 연대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 Ⅴ. 결론
Title 분청사기 가마의 연대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6980697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11140
Volume 129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백산학보, 2024, 0(129), , pp.179-200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issn: 1225-7109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70101
  customDbUrl:
  isFulltext: true
  dateEnd: 99991231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50729318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NCz14kUUFetHCeicStZkMkkmxySbsgr1tEJvIZkkpS5uZN0e6kFW8eDBQy-lCiq99VJhURTP_pzd9D_4XpLNZqn4BZvk7eR9zOQNb96bZN5I0h2dWakR81RhRqgrLNRSJQSbqKQwujABFlNjuN5584HZfcjubxlbrdaPxldLu6OoLZ79cl3J_2gVykCvuEr2HzRbM4UCgEG_cAYNw_mvdEx8l7gm4Yz4HnEpcToIcAA84jvE5cRV1wtIxS8aANuxCOeIZHeIzdcLyMLbcI97BVJRYiNdXQS4BrG9kpVOHLUBeAXPks4HulrwnMwucKACWlMcIBmkyvv4qNEalbha1YglFi7Kc-uVOgUKK3CxIYiFrdtA0ZR397LB9uMdsIpoyezmzAZl86naqi_-VioADjyEhuWmuC-vptpLpr0SURpnrdy2phrnywypZ4YQA2IsfIs9evIU31VR1gYm7Zp0KTU3xKaY6ZnDYYEbcI7CyILbh2w-92ubZnHdaqYAtDiEcIt8Quie6ebCxWJgEc15Zlb4b2Bm93Kaum5hufarqOjdM9WEIKu_l0UZ-EqDYdrwlXoXpQtVkCM7ZY-9JLX62WWpM_v2Kv_8KX95Mv0-kaeT8ez4df7hrZwfTmZvxvnhvgyX04P38vTLEfzy43H-cR9QTw_e5UcvEG369eSK1Nvwe15XqfbwUPoQKSgsibmweGyHVLcSqDCjobDVWLAwtZhNVTPmmBhL6LFmJbpGY8bMVE2prYpUxKF-VVoZZIPkmiSLRBiRIWgYhUCpRnZsaHGk6SnThEWNaFVaKxoeYHSKXzYnw2BJQavSbXgiQV_sBJhTHa_bWdAfBhA53gswzjAB8fqf2NyQzi86601pZTTcTW6BYzqK1grN_wSMUm_c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B6%84%EC%B2%AD%EC%82%AC%EA%B8%B0+%EA%B0%80%EB%A7%88%EC%9D%98+%EC%97%B0%EB%8C%80%EC%97%90+%EB%8C%80%ED%95%9C+%EA%B3%A0%EA%B3%A0%EC%A7%80%EC%9E%90%EA%B8%B0%ED%95%99%EC%A0%81+%EC%97%B0%EA%B5%AC&rft.jtitle=%EB%B0%B1%EC%82%B0%ED%95%99%EB%B3%B4&rft.au=%EC%84%B1%ED%98%95%EB%AF%B8%28Hyongmi+Sung%29&rft.date=2024-08-31&rft.pub=%EB%B0%B1%EC%82%B0%ED%95%99%ED%9A%8C&rft.issn=1225-7109&rft.volume=129&rft.spage=179&rft.epage=200&rft_id=info:doi/10.52557%2Ftpsh.2024.129.179&rft.externalDocID=4010069806972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7109&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7109&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7109&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