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 평가에서 세극등현미경검사와 전안부 사진에 따른 차이 비교
목적: 백내장을 Lens Opacities Classification System (LOCS III)에 따라 세극등현미경으로 평가한 값과 전안부 사진으로 평가한 값을비교한다. 또한 전안부 사진으로 백내장 평가 시 황색 필터 적용의 의의를 알아본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 8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자1이 세극등현미경으로 백내장을 LOCS III에 따라 평가하고 촬영한 전안부 사진을무작위로 배정 후, 피질혼탁 또는 핵경화 중 어느 유형이 더 우세한지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눴다. 두 그룹 각각에서 검사자1이 백내장을 세극등현미경으로...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64; no. 11; pp. 1009 - 1013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11.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DOI | 10.3341/jkos.2023.64.11.1009 |
Cover
Summary: | 목적: 백내장을 Lens Opacities Classification System (LOCS III)에 따라 세극등현미경으로 평가한 값과 전안부 사진으로 평가한 값을비교한다. 또한 전안부 사진으로 백내장 평가 시 황색 필터 적용의 의의를 알아본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 8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자1이 세극등현미경으로 백내장을 LOCS III에 따라 평가하고 촬영한 전안부 사진을무작위로 배정 후, 피질혼탁 또는 핵경화 중 어느 유형이 더 우세한지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눴다. 두 그룹 각각에서 검사자1이 백내장을 세극등현미경으로 평가한 값, 전안부 사진으로 평가한 값, 황색 필터를 적용한 전안부 사진으로 평가한 값을 비교하였다. 검사자2 와 3에서도 두 그룹에서 백내장 평가 시, 전안부 사진의 황색 필터 적용 여부에 따라 비교하였다.
결과: 피질혼탁 평균은 검사자1이 세극등현미경으로 평가한 값(3.48 ± 0.91)이 전안부 사진으로 평가한 값(2.35 ± 0.77)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전안부 사진에서 황색 필터를 적용하였을 때 피질혼탁 평균은 황색 필터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검사자1 (p<0.001), 2 (p=0.022)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핵경화 평균은 검사자1이 세극등현미경으로 평가한 값(4.08 ± 0.94)이 전안부 사진으로 평가한 값(3.73 ± 1.24)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42).
결론: 백내장을 전안부 사진으로 평가하는 것은 세극등현미경으로 평가하는 것보다 과소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안부 사진 촬영시 황색 필터를 적용한다면 백내장 평가 시 도움이 될 수 있고 특히 피질혼탁의 경우 더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Purpose: We compared the cataract grades with slit lamp examination and anterior segment photography using the Lens Opacities Classification System (LOCS) III criteria. We also explored the effect of a yellow filter on the photographic results.
Methods: Eighty eyes with cataracts were examined by three inspectors (1, 2, and 3). Anterior segment photographs taken by inspector 1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whether cortical opacity or nuclear sclerosis predominated. In each group, the cataract grades determined by inspector 1 on slit lamp examination and anterior segment photography were compared. Also, after randomly assigning the anterior segment photographs taken by inspector 1 to inspectors 2 and 3, the cataract grades of these photographs were compared to the grades of photographs taken by all inspectors using a yellow filter.
Results: The average cortical opacity evaluated by inspector 1 on slit lamp examination (3.48 ± 0.9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apparent on anterior segment photographs (2.35 ± 0.77) (p < 0.001). In the photographs, the average cortical opacity when a yellow filter was used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both inspectors 1 (p < 0.001) and 2 (p = 0.022) than when the filter was absent. The average extent of nuclear sclerosis evaluated by inspector 1 on slit lamp examination (4.08 ± 0.94)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nterior segment photography (3.73 ± 1.24) (p = 0.042).
Conclusions: Cataract evaluation via anterior segment photography underestimates the extent of damage compared to direct slit lamp examination. However, use of a yellow filter during photography aids cataract evaluation, especially cortical opacity.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0378-6471 2092-9374 |
DOI: | 10.3341/jkos.2023.64.11.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