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재활 환자의 운동이행 방해요인 : 건강신념 모형을 바탕으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college students'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among the three groups: non-addicted, potentially addicted, and high-risk addicted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 to May 2, 2021, and 263 university students located G province were enrolled. Pea...
Saved in:
Published in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Vol. 4; no. 4; pp. 157 - 16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융합학회
01.08.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951-2468 |
DOI | 10.23152/JATC.2025.04.04.157 |
Cover
Summary: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college students'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among the three groups: non-addicted, potentially addicted, and high-risk addicted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 to May 2, 2021, and 263 university students located G province were enroll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d ANOVA of SPSS 18.0 program were used for the analyzing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martphone addic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and college adapt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2) non-addict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academic adaptation(F=15.245, p<.000), social adjustment(F=34.135, p=.007), emotional adaptation(F=5.038, p=.007), and belonging support(F=4.985, p=.458) than other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programs to improve students' belonging support and adaptation is needed to be developed. 본 연구는 건강신념 모형을 바탕으로 심장재활 환자에서 운동 행위의 이행의 방해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5월 3일에서 6월 28일까지로 대상자는 D시와 G시에 위치한 종합병원에서 심장수술 후 퇴원하여 외래를 방문하는 심장재활환자 3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의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 chi-square 및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운동이행 평균점수는 이행군에서 3.30(0.55)점, 비이행군에서 1.73(0.43)점 이었다. 운동이행군과 비이행군은 지각된 장애성(5.57 p<.000)과 지각된 심각성(2.28,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지각된 장애성은 대상자의 운동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OR=.304; 95%CI=.185-.499).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심장재활 환자에게 운동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 제공, 개인별 맞춤형 운동 처방, 지역사회 내 심장재활 환자를 위한 운동 시설 마련, 가정 기반 운동 시 원격 모니터링으로 대상자의 심리적 안정감 확보, 다양한 웹 기반 운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 등을 제안하는 바이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526064829307 |
ISSN: | 2951-2468 |
DOI: | 10.23152/JATC.2025.04.04.1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