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정서·행동 문제, 또래 문제,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초등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정서・행동 문제, 또래 문제, 공격성 측면에서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산시 소재 A초등학교 재학중인 3학년 20명(남11, 여9)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2019년 9월부터 11월까지 12주 동안 총 10회의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집단상담의 효과검증을 위해 한국어판 강점 난점 설문지(SDQ-Kr), 공격성 척도(AQ)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고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품행문제, 또래...
Saved in:
Published in | 심리상담 및 모래놀이치료(구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Vol. 4; no. 1; pp. 1 - 10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사)한국학교공공모래놀이학회
30.06.2022
(사) 한국학교공공모래놀이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13-9395 2799-4481 |
DOI | 10.54084/SCS.2022.4.1.1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초등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정서・행동 문제, 또래 문제, 공격성 측면에서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산시 소재 A초등학교 재학중인 3학년 20명(남11, 여9)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2019년 9월부터 11월까지 12주 동안 총 10회의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집단상담의 효과검증을 위해 한국어판 강점 난점 설문지(SDQ-Kr), 공격성 척도(AQ)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고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품행문제, 또래문제, 총난점,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분노감, 적대감 척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품행문제, 또래문제, 언어적 공격성, 분노감 척도는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초등학생들의 정신건강과 또래문제 개선에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chool sand play group counseling in term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peer problems, and aggress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20 students from A Elementary School in Asan-si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and a total of 10 group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for 12 week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9.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SDQ-Kr) and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AQ)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and the paired t-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ehavior problems, peer problems, total difficulties, physical aggression, verbal aggression, anger, and hostility scal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ile behavior problems, peer problems, verbal aggression, and anger scales showed great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oup counseling for school sand play may be an effective way to improve mental health and peer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2713-9395 2799-4481 |
DOI: | 10.54084/SCS.2022.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