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 분석
본 연구는 스웨덴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전반적으로 분석하여, 이후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스웨덴 수학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수학과의 성격 및 목표, 주요 내용, 성취수준 등을 우리나라의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웨덴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웨덴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문의 행동주체는 ‘교사’이다. 둘째, 하위 내용 요소와 성취수준이 포괄적인 관점에서 학생 활동으로 제시되어 있다. 셋째, 수...
Saved in:
| Published in | 교과교육학연구 Vol. 24; no. 6; pp. 559 - 574 |
|---|---|
| Main Author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31.12.2020
교과교육연구소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975-3217 2671-8324 |
| DOI | 10.24231/rici.2020.24.6.559 |
Cover
| Summary: | 본 연구는 스웨덴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전반적으로 분석하여, 이후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스웨덴 수학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수학과의 성격 및 목표, 주요 내용, 성취수준 등을 우리나라의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웨덴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웨덴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문의 행동주체는 ‘교사’이다. 둘째, 하위 내용 요소와 성취수준이 포괄적인 관점에서 학생 활동으로 제시되어 있다. 셋째, 수학교육에서 프로그래밍 활동과 알고리즘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는 내용들이 의무교육 전 학년에 걸쳐 포함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스웨덴은 국가 교육과정을 문서 외에 온라인에서 웹 검색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과정에 대한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wedish mathematics curriculum in general,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mathematics and education department of Korea going forward. To this end, the document system, characteristics and goals, curriculum system, core content, and knowledge requirements of the Swedish curriculum were analyzed comparing with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Swedish mathematics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re the subject in the presented sentences in Swedish curriculum. Second, the sub-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criteria are presented based on student activitie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ird, programming activities and the contents related to making algorithm are included throughout in all years of compulsory education. Finally, by making it easy to check national curricula online as well as in documents, they promote the utilization of curriculum. KCI Citation Count: 0 |
|---|---|
| ISSN: | 1975-3217 2671-8324 |
| DOI: | 10.24231/rici.2020.24.6.5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