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활성 유기물로 표면이 개질된 임플란트 개발 추이 분석 연구

Purpos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and prospect for current research trend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via analyzing recent biomaterial coated-implants study. Materials and methods: To investigate each subject respectively, several biomaterials that are using for implant surface coating were s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aehan Chikwa Poch'ol Hakhoe chi Vol. 49; no. 3; pp. 254 - 262
Main Authors 황성택, 한인호, 허중보, 강정경, 류재준, Hwang, Sung-Taek, Han, In-Ho, Huh, Jung-Bo, Kang, Jeong-Kyung, Ryu, Jae-J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치과보철학회 01.07.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01-2875
2005-3789
DOI10.4047/jkap.2011.49.3.254

Cover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and prospect for current research trend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via analyzing recent biomaterial coated-implants study. Materials and methods: To investigate each subject respectively, several biomaterials that are using for implant surface coating were set as 'keywords'. By these keywords, major research groups in each subject were chosen, and research trend of them was analyzed. Trend of In vivo studies that examined selected biomaterials were analyzed to evaluate commercial potential. Results: The collagen research accounted for 40% of total implant study, which was the highest, and fibronectin, BMPs (bone morphogenetic proteins) and RGD (Arg-Gly-Asp) peptides followed, which were ranked in descending order. Furthermore, figures of all four research subjects were also increased with time, especially a sharp increase in RGD researc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ajor research group, collagen that was combined with other organic and inorganic biomaterials was mostly examined, rather than using collagen only. Major research groups investigating BMPs mostly focused on rhBMP-2. In animal studies, collagen was used as resorbable membrane in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or drug carrier, while BMPs were used with bone graft materials or coating material for titanium implant surface. Conclusion: There is not consistency of results even in identical subjects research field. Many studies are ongoing to optimize combination between mechanical surface treatment and biomaterials such as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 and growth factors. 연구 목적: 기존의 기계절삭 가공된 티타늄 표면에 생체활성 유기물질이 코팅된 생체 활성 임플란트에 관한연구가 최근에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생체 활성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자체에 골치유 및 골형성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체 활성 임플란트 표면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표면처리 기술 개발의 현황과 향후 발전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문헌 분석 연구는 'Web of Science (http://isiknowledge.com, Thomson Scientific)'를 통해 SCI (science citation index) 등재 논문들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주제별로 연구비중을 비교하기 위해서, 임플란트 표면 코팅에 사용되는 생체활성 유기물들로 키워드를 선정하고 각 키워드로 대표되는 리서치 그룹을 선정하여 각 그룹들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키워드별로 동물실험 동향을 분석하여 상용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결과: 연구의 비중은 콜라겐, 피브로넥틴, 골형성단백질, RGD (Arg-Gly-Asp) 순으로 나타났으며, 콜라겐을 이용한 연구가 40%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네가지 주제 모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연구횟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RGD에 관한 연구횟수가 가장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콜라겐 대표 리서치 그룹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을 때, 콜라겐은 단독 사용보다는 다른 생체활성 유기물 및 무기물과의 병용 처치에 관해 주로 연구가 되고 있었으며, 특히 세포외기질인 콘드로이틴 설패이트와의 병용 처치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형성단백질의 대표 리서치 그룹들에서는 rhBMP-2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동물실험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결과 콜라겐은 차폐막 혹은 약물 전달 매체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었고, 골형성단백질은 치조골이식술 혹은 임플란트 표면 코팅에 대한 효과가 연구되고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주제별로 분석하였을 때 주제별로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기 어려웠으며, 보다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한 기계적 표면처리와 여러 세포외기질, 성장인자 등의 생체물질의 최상의 조합을 찾기 위한 노력이 진행중이었다. 연구가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상용화에 이르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List 연구 목적: 기존의 기계절삭 가공된 티타늄 표면에 생체활성 유기물질이 코팅된 생체 활성 임플란트에 관한연구가 최근에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생체 활성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자체에 골치유 및 골형성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체 활성 임플란트 표면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표면처리 기술 개발의 현황과 향후 발전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문헌 분석 연구는‘Web of Science (http://isiknowledge.com, Thomson Scientific)’를 통해SCI (science citation index) 등재 논문들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주제별로 연구비중을 비교하기 위해서, 임플란트 표면 코팅에 사용되는 생체활성 유기물들로 키워드를 선정하고 각 키워드로 대표되는 리서치 그룹을 선정하여 각 그룹들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키워드별로 동물실험 동향을 분석하여 상용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결과:연구의 비중은 콜라겐, 피브로넥틴, 골형성단백질, RGD (Arg-Gly-Asp) 순으로 나타났으며, 콜라겐을 이용한 연구가 40%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네가지 주제 모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연구횟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RGD에 관한 연구횟수가 가장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콜라겐 대표 리서치 그룹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을 때, 콜라겐은 단독 사용보다는 다른 생체활성 유기물 및 무기물과의 병용 처치에 관해 주로 연구가 되고 있었으며,특히 세포외기질인 콘드로이틴 설패이트와의 병용 처치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형성단백질의 대표 리서치 그룹들에서는 rhBMP-2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동물실험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결과 콜라겐은 차폐막 혹은 약물 전달 매체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었고, 골형성단백질은 치조골이식술 혹은 임플란트 표면 코팅에 대한 효과가 연구되고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주제별로 분석하였을 때 주제별로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기 어려웠으며, 보다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한 기계적 표면처리와 여러세포외기질, 성장인자 등의 생체물질의 최상의 조합을 찾기 위한 노력이 진행중이었다. 연구가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상용화에 이르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and prospect for current research trend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via analyzing recent biomaterial coated-implants study. MATERIALS AND METHODS: To investigate each subject respectively, several biomaterials that are using for implant surface coating were set as‘ keywords’. By these keywords, major research groups in each subject were chosen, and research trend of them was analyzed. Trend of In vivo studies that examined selected biomaterials were analyzed to evaluate commercial potential. RESULTS: The collagen research accounted for 40% of total implant study, which was the highest, and fibronectin, BMPs (bone morphogenetic proteins) and RGD (Arg-Gly-Asp) peptides followed, which were ranked in descending order. Furthermore, figures of all four research subjects were also increased with time, especially a sharp increase in RGD researc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ajor research group, collagen that was combined with other organic and inorganic biomaterials was mostly examined, rather than using collagen only. Major research groups investigating BMPs mostly focused on rhBMP-2. In animal studies, collagen was used as resorbable membrane in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or drug carrier, while BMPs were used with bone graft materials or coating material for titanium implant surface. CONCLUSION: There is not consistency of results even in identical subjects research field. Many studies are ongoing to optimize combination between mechanical surface treatment and biomaterials such as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 and growth factors. KCI Citation Count: 4
Purpos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and prospect for current research trend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via analyzing recent biomaterial coated-implants study. Materials and methods: To investigate each subject respectively, several biomaterials that are using for implant surface coating were set as 'keywords'. By these keywords, major research groups in each subject were chosen, and research trend of them was analyzed. Trend of In vivo studies that examined selected biomaterials were analyzed to evaluate commercial potential. Results: The collagen research accounted for 40% of total implant study, which was the highest, and fibronectin, BMPs (bone morphogenetic proteins) and RGD (Arg-Gly-Asp) peptides followed, which were ranked in descending order. Furthermore, figures of all four research subjects were also increased with time, especially a sharp increase in RGD researc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ajor research group, collagen that was combined with other organic and inorganic biomaterials was mostly examined, rather than using collagen only. Major research groups investigating BMPs mostly focused on rhBMP-2. In animal studies, collagen was used as resorbable membrane in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or drug carrier, while BMPs were used with bone graft materials or coating material for titanium implant surface. Conclusion: There is not consistency of results even in identical subjects research field. Many studies are ongoing to optimize combination between mechanical surface treatment and biomaterials such as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 and growth factors. 연구 목적: 기존의 기계절삭 가공된 티타늄 표면에 생체활성 유기물질이 코팅된 생체 활성 임플란트에 관한연구가 최근에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생체 활성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자체에 골치유 및 골형성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체 활성 임플란트 표면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표면처리 기술 개발의 현황과 향후 발전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문헌 분석 연구는 'Web of Science (http://isiknowledge.com, Thomson Scientific)'를 통해 SCI (science citation index) 등재 논문들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주제별로 연구비중을 비교하기 위해서, 임플란트 표면 코팅에 사용되는 생체활성 유기물들로 키워드를 선정하고 각 키워드로 대표되는 리서치 그룹을 선정하여 각 그룹들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키워드별로 동물실험 동향을 분석하여 상용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결과: 연구의 비중은 콜라겐, 피브로넥틴, 골형성단백질, RGD (Arg-Gly-Asp) 순으로 나타났으며, 콜라겐을 이용한 연구가 40%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네가지 주제 모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연구횟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RGD에 관한 연구횟수가 가장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콜라겐 대표 리서치 그룹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을 때, 콜라겐은 단독 사용보다는 다른 생체활성 유기물 및 무기물과의 병용 처치에 관해 주로 연구가 되고 있었으며, 특히 세포외기질인 콘드로이틴 설패이트와의 병용 처치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형성단백질의 대표 리서치 그룹들에서는 rhBMP-2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동물실험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결과 콜라겐은 차폐막 혹은 약물 전달 매체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었고, 골형성단백질은 치조골이식술 혹은 임플란트 표면 코팅에 대한 효과가 연구되고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주제별로 분석하였을 때 주제별로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기 어려웠으며, 보다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한 기계적 표면처리와 여러 세포외기질, 성장인자 등의 생체물질의 최상의 조합을 찾기 위한 노력이 진행중이었다. 연구가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상용화에 이르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Author 허중보
Ryu, Jae-Jun
강정경
Kang, Jeong-Kyung
한인호
황성택
Hwang, Sung-Taek
Huh, Jung-Bo
류재준
Han, In-Ho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황성택
– sequence: 2
  fullname: 한인호
– sequence: 3
  fullname: 허중보
– sequence: 4
  fullname: 강정경
– sequence: 5
  fullname: 류재준
– sequence: 6
  fullname: Hwang, Sung-Taek
– sequence: 7
  fullname: Han, In-Ho
– sequence: 8
  fullname: Huh, Jung-Bo
– sequence: 9
  fullname: Kang, Jeong-Kyung
– sequence: 10
  fullname: Ryu, Jae-Ju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7280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kM1Kw0AYRQdRsNa-gKtsXLhI_GYyk5ksS_GnWihIcRuSJpGYkkrjAwhmIeJCoSBCWnQlQhdRaunCJ2om72BqXV04HC7cu4XWo37kIbSDQaNA-f5laF9pBDDWqKnpGmF0DVUIAFN1Lsx1VAEdsEoEZ5uoFseBA7pBuGC6qKBzeTuSX9PiJZXJpyLT18U8yyc_-VuqFE9p_jGVo6myyFL5fpc_poocJ8XwIR_fFPfzJc6zks2GSymfJTIZKfI5W3xPttGGb_dir_afVdQ5POg0jtVW-6jZqLfU0KBcZcQXviMI8xmAcF0TA3VMv-sKJmzPc2zmGoZtd4E75TqXgmAlA-Cc-x6npl5Fe6vaaOBbYTew-nbwlxd9KxxY9bNO08JgEkx46e6u3DCIrwMrcuOedVI_bS-PI1RnJsYMc9B_AaHffOI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JDI
ACYCR
DEWEY 617.6
DOI 10.4047/jkap.2011.49.3.254
DatabaseName [Open Acces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Medicine
Dentistry
DocumentTitleAlternate Review of the developmental trend of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using organic biomaterials
EISSN 2005-3789
EndPage 262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92127
JAKO201124359115170
GroupedDBID 34H
5-W
8JR
8XY
9ZL
ALMA_UNASSIGNED_HOLDINGS
JDI
ACYCR
ID FETCH-LOGICAL-k647-52f8fb825f5008dd9104b9fcd858aeeba5d66aac07b011d4085ba500777fe7493
ISSN 0301-2875
IngestDate Tue Nov 21 21:40:53 EST 2023
Fri Dec 22 12:01:20 EST 2023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3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47-52f8fb825f5008dd9104b9fcd858aeeba5d66aac07b011d4085ba500777fe7493
Notes KISTI1.1003/JNL.JAKO201124359115170
https://doi.org/10.4047/jkap.2011.49.3.254
G704-000656.2011.49.03.002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12435911517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92127
kisti_ndsl_JAKO20112435911517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1-07
PublicationDateYYYYMMDD 2011-07-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7
  year: 2011
  text: 2011-07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Taehan Chikwa Poch'ol Hakhoe chi
PublicationTitleAlternat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PublicationYear 2011
Publisher 대한치과보철학회
Publisher_xml – name: 대한치과보철학회
SSID ssib036278538
ssj0064384
ssib012146138
ssib053377070
Score 1.7779019
Snippet Purpos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and prospect for current research trend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via analyzing recent biomaterial coated-implants...
연구 목적: 기존의 기계절삭 가공된 티타늄 표면에 생체활성 유기물질이 코팅된 생체 활성 임플란트에 관한연구가 최근에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생체 활성...
SourceID nrf
kisti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StartPage 254
SubjectTerms 치의학
Title 생체활성 유기물로 표면이 개질된 임플란트 개발 추이 분석 연구
URI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12435911517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72800
Volume 49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11, 49(03), , pp.254-262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ERR
  databaseName: KoreaMed Open Access
  customDbUrl:
  eissn: 2005-3789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j0064384
  issn: 0301-2875
  databaseCode: 5-W
  dateStart: 1991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koreamed.org/journals
  providerNam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B_aCupFtCrWjxLEnJbUfEwyk2Oyu1IrVQ-r9rbk09aUXakVwZPgHkQ8KBRE2BY9idDDKrX04F_UZP8H35vJbtMq-HHJvryd9_LmvWTmN8nMG0KuhWYUW2FqaYke6RoFgKvx0NU1M43AbtOJDfHFdPG2M3-PLizZSxOTfnV1yXo4Fz3_7bqS_4kq8CCuuEr2HyI7VgoMoCG-cIQIw_GvYqw26yq3VLeBhG-qPlWbDdV1Vbcu_qKqb9SQgnNPV5ue6nPVB8JXPRCoC8KAf2tCzhBywHKFpjoq9mlNyOmlTo-pnGMhV5dyUKqJV0IFgEuFAuToyOF4xaoCXxJCzndQonIZH1mclqa7DamdCYtBg62WeSJLLN0KkmVonerLK9mzoHa3i5tase5qbT7IlrsJLlMf3U2lV6BeI68I49Bzh4rYZSXRIC444C5-qIisPviBor_QZAuMPygia2qLIpLwRGQa1dcr-L6YjV6vlMvKdEODYaVd7TJkltXy0bCq7b_MiF1CCVN2NEd7KapT_E7-KAseyxyy1J2z5sai1ZTgR7rq8QTKBe_WHRQ1Ae1Cd2UbTJ8kx0zo2XD7Elt7MGpTDbFx-0EbC3iFAUIbnwPaZ0zHNluiFwCoXKZcK6stF5qhydd_NRhGdDjMWQFg1llLK8CsdZqcKkdUiicfjzNkIutOkxMNnAWHGxlOk-OL5fyRs-R-8XKz-LYz_NAvel-Vov9xf2-Qb__IP_WV4bt-_mWn2NxR9gf94vOr_G1fKbZ6w403-daL4es9ZOcD4O1uYKF8t1f0NpXi_WD_-_Y50rrRbNXntXJnES1zKNNsM-VpyE07tQECxzFAZhq6aRRzmwdJEgZ27DhBEOkMHGjEmAQwxJ1DGGNpwqhrnSdTnW4nuUCUxLFDABRBaNGQcgu_kscsiPUAMBCPjXCGzAoPtTvxk9X2b8I2Q66C69pZtNLGTO_4-7DbztbaMJ69ifNDcAuGi3_ScomcPLh5L5Op9bWnyRVAy-vhrLgdfgJdA59U
linkProvider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83%9D%EC%B2%B4%ED%99%9C%EC%84%B1+%EC%9C%A0%EA%B8%B0%EB%AC%BC%EB%A1%9C+%ED%91%9C%EB%A9%B4%EC%9D%B4+%EA%B0%9C%EC%A7%88%EB%90%9C+%EC%9E%84%ED%94%8C%EB%9E%80%ED%8A%B8+%EA%B0%9C%EB%B0%9C+%EC%B6%94%EC%9D%B4+%EB%B6%84%EC%84%9D+%EC%97%B0%EA%B5%AC&rft.jtitle=Taehan+Chikwa+Poch%27ol+Hakhoe+chi&rft.au=%ED%99%A9%EC%84%B1%ED%83%9D&rft.au=%ED%95%9C%EC%9D%B8%ED%98%B8&rft.au=%ED%97%88%EC%A4%91%EB%B3%B4&rft.au=%EA%B0%95%EC%A0%95%EA%B2%BD&rft.date=2011-07-01&rft.issn=0301-2875&rft.volume=49&rft.issue=3&rft.spage=254&rft.epage=262&rft_id=info:doi/10.4047%2Fjkap.2011.49.3.254&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112435911517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0301-287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0301-287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0301-287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