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융합역량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A대학 재학생 인식분석

본 연구는 창의·융합역량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창의·융합역량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A대 학 재학생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대학에서 창의·융합역량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 재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창의·융합 역량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 창의·융합역량 교과·비교과에 대한 교육 경험, 창의·융합역량 교 육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수준 및 선호도를 물었다. 본 연구에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응답 자의 76.2%가 창의·융합역량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양교육연구 Vol. 13; no. 2; pp. 287 - 312
Main Authors 임유진(Lim, Eugene), 김보경(Kim, Bokyung), 김세영(Kim, Seyoung), 임현진(Lim, Hyunj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양교육학회 30.04.2019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3212
2714-1101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창의·융합역량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창의·융합역량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A대 학 재학생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대학에서 창의·융합역량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 재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창의·융합 역량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 창의·융합역량 교과·비교과에 대한 교육 경험, 창의·융합역량 교 육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수준 및 선호도를 물었다. 본 연구에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응답 자의 76.2%가 창의·융합역량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창의·융합역량 함양에 도움이 되었던 교과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1)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과 토론하며 학습하 는 활동, 2) 팀을 이루어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기반의 활동, 3) 디자인 사고나 창의적 기법에 대한 교육이 제공되는 수업 등이었고 응답자 중 약 30%만이 교내 창의·융 합과 관련한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융합역량 교육 주제군에 따라 이해수준 및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들은 ‘창의적 사고 기법’에 대해서 는 비교적 잘 알고 있다고 인식하는 반면, ‘3D 프린팅’, ‘코딩’과 같은 기술 활용 교육이나 ‘디자인 사고 기법’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가장 선호하는 주제 군은 ‘3D 프린팅 활용 교육’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융합역량 교육에 대한 수요 및 타당성을 확인하였으며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and convergence competence(CCC) through an analysis of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A university students. In the study, 332 students from A university were asked about the necessity of CCC education, educational experiences , and understanding level and preferenc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future programs of a similar focus. Analysis of the data yielded several results. First, 76.2%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CC. Second, 30%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d an experience participating extra-curricular programs. Third, respondents' perceptions of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f CCC education indicated that they were relatively familiar with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and the subjects with the highest demand from respondents was '3D printing education'. KCI Citation Count: 9
AbstractList 본 연구는 창의·융합역량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창의·융합역량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A대 학 재학생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대학에서 창의·융합역량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 재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창의·융합 역량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 창의·융합역량 교과·비교과에 대한 교육 경험, 창의·융합역량 교 육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수준 및 선호도를 물었다. 본 연구에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응답 자의 76.2%가 창의·융합역량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창의·융합역량 함양에 도움이 되었던 교과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1)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과 토론하며 학습하 는 활동, 2) 팀을 이루어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기반의 활동, 3) 디자인 사고나 창의적 기법에 대한 교육이 제공되는 수업 등이었고 응답자 중 약 30%만이 교내 창의·융 합과 관련한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융합역량 교육 주제군에 따라 이해수준 및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들은 ‘창의적 사고 기법’에 대해서 는 비교적 잘 알고 있다고 인식하는 반면, ‘3D 프린팅’, ‘코딩’과 같은 기술 활용 교육이나 ‘디자인 사고 기법’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가장 선호하는 주제 군은 ‘3D 프린팅 활용 교육’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융합역량 교육에 대한 수요 및 타당성을 확인하였으며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and convergence competence(CCC) through an analysis of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A university students. In the study, 332 students from A university were asked about the necessity of CCC education, educational experiences , and understanding level and preferenc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future programs of a similar focus. Analysis of the data yielded several results. First, 76.2%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CC. Second, 30%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d an experience participating extra-curricular programs. Third, respondents' perceptions of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f CCC education indicated that they were relatively familiar with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and the subjects with the highest demand from respondents was '3D printing education'. KCI Citation Count: 9
Author 임유진(Lim, Eugene)
김보경(Kim, Bokyung)
김세영(Kim, Seyoung)
임현진(Lim, Hyunjin)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임유진(Lim, Eugene)
– sequence: 2
  fullname: 김보경(Kim, Bokyung)
– sequence: 3
  fullname: 김세영(Kim, Seyoung)
– sequence: 4
  fullname: 임현진(Lim, Hyunji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6123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zj1Lw0AAxvFDKlhrv0MWB4fAXe41Yym-FAqCZD96yUVKJAeti5tgFtGhg6UKTcVNQUGQ2gq6-HGa63cwtE6_5c_Dsw0qqUn1Bqh6HBEXIYgqoIp8zlzsIW8L1Pv9roKQMJ8LiqogsO8_Nr__ndnxdDl8saO34vHaKb6yxXSw-Ph2lndZ8TRezObF5NmOBk5xe7kcjp3GygfHTl5L7FXu2Hxub_LiM7NZvgM2485ZX9f_rYHgYD9oHrnt48NWs9F2E0ZweYjGCHMmIIWK4lDwWCuBMFJC-JgyFXXCkCif-4Rowjw_8uIIal2WWEda4BrYW8-mvVgmYVeaTnflqZFJTzZOgpakHmTEx2W7u26TC6OMVMYkoU7PdU8SiCD0OGOQcoH_APCydiU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ACYCR
DatabaseName Kyobo Scholar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n the creativity and convergence extra-curricular programs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n the creativity and convergence extra-curricular programs
EISSN 2714-1101
EndPage 312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5206493
4010027660578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M~E
P5Y
SSSTE
ACYCR
ID FETCH-LOGICAL-k643-325f13768050b53c87feb8131b889356bdacc4b97944e4629d2fd0ee3c83ede83
ISSN 1976-3212
IngestDate Tue Nov 21 21:39:32 EST 2023
Tue Feb 18 15:08:41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Keywords 창의·융합역량
대학생 인식
비교과 프로그램
demand survey of education
교육 수요조사
extra-curricular programs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creative and convergence competenc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43-325f13768050b53c87feb8131b889356bdacc4b97944e4629d2fd0ee3c83ede83
PageCount 2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5206493
kyobo_bookcenter_401002766057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9-04-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9-04-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19
  text: 2019-04-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교양교육연구
PublicationYear 2019
Publisher 한국교양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Publisher_xml – name: 한국교양교육학회
– name: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SID ssib004697851
ssib009345133
ssib044738157
Score 1.6985307
Snippet 본 연구는 창의·융합역량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창의·융합역량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A대 학 재학생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대학에서 창의·융합역량 비교과...
SourceID nrf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287
SubjectTerms 학제간연구
TableOfContent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Title 창의·융합역량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A대학 재학생 인식분석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2766057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61234
Volume 1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교양교육연구, 2019, 13(2), 48, pp.287-312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714-1101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157
  issn: 1976-3212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7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i9NAFB-2e_IiiorrxxLEOZVIkpkkM8ck7bIKeqqwt5KPiUihhdI96EEEexE97MFlFdoVbwoKgqy7gl78c5r0f_DNJG2zWqF6SSZv3rz35r1M5jeZyQShm7ZDLIOEoR4zHurUZokeQa-pu7YlhMkEtE05o3v3nrN9n97ZsXfWasPKqqXdQXQrfrz0u5L_iSrQIK7yK9l_iOxcKBAgDfGFI0QYjivFGDcD7BvYb8gEb2DOcGBh31WXkGXjJhBt7HFFcbEHnD7mW5jxukz5HDOKm55k5YZKEOwHdVWOqjwfe6YUJvNc7DMloIk9VorkhpLEArlmolDH4XHzB00qDFTJYE6SFEbA8npZAV9JZb5MS_McZUIgj7xRxdEVm6Ggg7l5mhJIqwsDfaPMAsVwP5kEMLVVeQFSmlUokgWVBM_FjC5YPOUqQxkFHip8Bq5uLGFR5hY1gYAwc4kiFapC40JR-e7FrE4jydYy9-qsHo3Vaj93MiQ8CEal_wF0qBOrXFkuFM1yTaoDSjOr_UyJUgrIQmb81d3Ef-vlT-0n3okfth_02p1-G0ZNt9u2BcCUkxqqgSS5_PVJszLzzd3qzDEndPZLIHlNqQuYT22oO7cdxnmdR72oB3Ct208rcK11Dp0tx1maVzSa82it07uAWvnnH_n49c_jfHQ03f-QH3zK3j7Xsm_DydHe5Mt3bfpqmL0bTY5PssP3-cGelr18Ot0faZ46v9Hyw49wyp-NtXx8kr8YZ1-H-XB8EbW2mq1gWy9_K6J3AH6DhXZqQrfKDNuIbBIzNxURM4kZMcDuthMlYRzTiENHReFRZfHEShNDCOAkIhGMXELr3V5XXEaay0LOYfwQhYJQGiY8jWiSCh5bct_GMN1Am8oRbTlgloutRb9NDbnpses4MFBiG-gGeEiF4-9hubIK01V0ZnGDXkPrg_6uuA5weRBtqnj-AsHRmYs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B0%BD%EC%9D%98%C2%B7%EC%9C%B5%ED%95%A9%EC%97%AD%EB%9F%89+%EB%B9%84%EA%B5%90%EA%B3%BC+%ED%94%84%EB%A1%9C%EA%B7%B8%EB%9E%A8%EC%97%90+%EB%8C%80%ED%95%9C+A%EB%8C%80%ED%95%99+%EC%9E%AC%ED%95%99%EC%83%9D+%EC%9D%B8%EC%8B%9D%EB%B6%84%EC%84%9D&rft.jtitle=%EA%B5%90%EC%96%91%EA%B5%90%EC%9C%A1%EC%97%B0%EA%B5%AC%2C+13%282%29&rft.au=%EC%9E%84%EC%9C%A0%EC%A7%84&rft.au=%EA%B9%80%EB%B3%B4%EA%B2%BD&rft.au=%EA%B9%80%EC%84%B8%EC%98%81&rft.au=%EC%9E%84%ED%98%84%EC%A7%84&rft.date=2019-04-30&rft.pub=%ED%95%9C%EA%B5%AD%EA%B5%90%EC%96%91%EA%B5%90%EC%9C%A1%ED%95%99%ED%9A%8C&rft.issn=1976-3212&rft.eissn=2714-1101&rft.spage=287&rft.epage=312&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520649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6-321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6-321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6-321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