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개인건강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Recent changes in health care environment including aging population and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encourage the adoption of new innovative technological solutions including wearable vital sensors, wireless networks, and smart phone.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ffective at-home lifestyle moni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정보처리학회논문지.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Vol. 4; no. 6; pp. 197 - 204
Main Authors 이난경, 이종욱, Lee, Nan Kyung, Lee, Jong O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정보처리학회 01.06.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5891
2734-049X
DOI10.3745/KTCCS.2015.4.6.19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Recent changes in health care environment including aging population and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encourage the adoption of new innovative technological solutions including wearable vital sensors, wireless networks, and smart phone.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ffective at-home lifestyle monitoring system that can be used for self-management and health intervention of patient himself in the Management-by-Exception perspectives. We implemented the filtering and queuing algorithms as a preprocessor of monitoring system to enhance efficiency of proposed system, and the effective UX design for self-management of patients themselves. The 94,467 actual clinic data was used to test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system. As as a result, 64.8% of the incoming vital data was identified to be filtered out.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만연 등으로 인한 헬스케어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착용형 인체센서, 무선네트워크 및 스마트폰이 결합한 새로운 적용영역을 창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예외 관리적 관점에서 재택환자의 일상의 건강상태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재택환자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강모니터링을 통해 자기관리 및 적절한 건강 개입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의료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이 단지 데이터 전달자로서의 역할에 그친 데 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컴퓨팅 기능을 활용하여 의료인의 재택환자 일상생활 관리를 위한 데이터가공, 모니터링 시스템의 핵심인 필터링과 큐잉 등의 전처리과정을 구현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였고, 환자 스스로의 자기관리를 위한 UX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제안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총 94,467건의 실제 임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안시스템을 테스트한 결과 전체 대비 64.8%가 필터링 되는 등 높은 효율성이 검증되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519264065288
G704-A00564.2015.4.6.001
ISSN:2287-5891
2734-049X
DOI:10.3745/KTCCS.2015.4.6.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