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관찰관의 직무상 위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최근의 형사정책적 흐름에 따라 보호관찰관이 담당해야 하는 범죄자 관 리감독 업무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보호관찰관들이 직무수행 중에 겪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사고와 폭력피해의 규모와 양태를 알아내고 그러한 부정적인 경험이 보호관찰관 의 직무스트레스, 나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 행되었다. 전국의 18개 보호관찰소에서 346명의 보호관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먼 저 직무수행 중 경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험과 폭력피해의 규모를 측정하였다. 보 호관찰관이 직무수행 중 가장 빈번히 경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矯正硏究 Vol. 34; no. 1; pp. 73 - 101
Main Authors 윤옥경, Yoon Okky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정학회 30.04.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6809
2466-0698
DOI10.14819/krscs.2024.34.1.3.73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의 형사정책적 흐름에 따라 보호관찰관이 담당해야 하는 범죄자 관 리감독 업무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보호관찰관들이 직무수행 중에 겪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사고와 폭력피해의 규모와 양태를 알아내고 그러한 부정적인 경험이 보호관찰관 의 직무스트레스, 나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 행되었다. 전국의 18개 보호관찰소에서 346명의 보호관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먼 저 직무수행 중 경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험과 폭력피해의 규모를 측정하였다. 보 호관찰관이 직무수행 중 가장 빈번히 경험하는 사건은 대상자의 재범(93.4%)이었고, 그 다음이 대상자나 그 가족으로 부터의 욕설과 반말 등 언어적 폭력을 당한 경험 (71%)이었다. 이어서 대상자나 가족으로 부터 협박을 받는 등 정서적 폭력의 경험 (65%)이었고, 대상자의 자살이나 자해를 목격한 비율은 28%가 넘었다. 신체적 폭행을 경험한 비율은 9.4%로 높지 않았다. 개방형 질문을 통해 살펴 본 바 비율이 상대적 으로 높지는 않지만 대상자의 자살과 자해를 목격하는 경험과 신체적 폭력을 당한 경 험은 상당한 트라우마와 불안감을 낳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직무수행 중의 위험한 경험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직무수행중의 위험한 경험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정적 인 영향을 주어 직무만족도를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관계는 직무수행 중 에 경험하는 위험 중에서 폭력적인 것을 따로 분리하여 분석하여도 마찬가지 결과를 낳았다. 보호관찰관이 직무수행 중에 경험하는 다양한 위험과 폭력피해가 직무스트레 스를 통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직무수행 중의 위 험에 대해 해당 부처가 관심을 가지고 통계적인 규모를 정기적으로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revalence and pattern of various accidents and violent victimization that probation officers may experience while performing their duties,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such negative experiences on probation offic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a survey of 346 probation officers at 18 probation offices nationwide, I first tried to measure the various risks and violence probation officers face. The most frequent incident experienced by probation officers during job performance was the subject’s recidivism (93.4%), followed by verbal assault such as abusive language and indecent language from the subject or his or her family (71%). Next, the experiences of emotional assault (65%) such as threats from the subject or his family, and the rate of witnessing suicide or self-harm of the subject was over 28%. The rate of experiencing physical assault was 9.4% that is lower than expected. However, from narratives given by the open questionnaire,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witnessing suicide and self-harm of the subject and experiencing physical assault produced considerable trauma and anxiety.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dangerous experiences during job performance negatively affect job stress and lower job satisfaction. This relationship produced the same results even when the violence variable were analyzed separately. It was emphasized that in order to solve the various risks and violence experienced by probation officers during job performance, the ministry must first pay attention to the volume and types of job-related risks and violence.
AbstractList 본 연구는 최근의 형사정책적 흐름에 따라 보호관찰관이 담당해야 하는 범죄자 관 리감독 업무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보호관찰관들이 직무수행 중에 겪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사고와 폭력피해의 규모와 양태를 알아내고 그러한 부정적인 경험이 보호관찰관 의 직무스트레스, 나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 행되었다. 전국의 18개 보호관찰소에서 346명의 보호관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먼 저 직무수행 중 경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험과 폭력피해의 규모를 측정하였다. 보 호관찰관이 직무수행 중 가장 빈번히 경험하는 사건은 대상자의 재범(93.4%)이었고, 그 다음이 대상자나 그 가족으로 부터의 욕설과 반말 등 언어적 폭력을 당한 경험 (71%)이었다. 이어서 대상자나 가족으로 부터 협박을 받는 등 정서적 폭력의 경험 (65%)이었고, 대상자의 자살이나 자해를 목격한 비율은 28%가 넘었다. 신체적 폭행을 경험한 비율은 9.4%로 높지 않았다. 개방형 질문을 통해 살펴 본 바 비율이 상대적 으로 높지는 않지만 대상자의 자살과 자해를 목격하는 경험과 신체적 폭력을 당한 경 험은 상당한 트라우마와 불안감을 낳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직무수행 중의 위험한 경험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직무수행중의 위험한 경험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정적 인 영향을 주어 직무만족도를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관계는 직무수행 중 에 경험하는 위험 중에서 폭력적인 것을 따로 분리하여 분석하여도 마찬가지 결과를 낳았다. 보호관찰관이 직무수행 중에 경험하는 다양한 위험과 폭력피해가 직무스트레 스를 통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직무수행 중의 위 험에 대해 해당 부처가 관심을 가지고 통계적인 규모를 정기적으로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revalence and pattern of various accidents and violent victimization that probation officers may experience while performing their duties,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such negative experiences on probation offic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a survey of 346 probation officers at 18 probation offices nationwide, I first tried to measure the various risks and violence probation officers face. The most frequent incident experienced by probation officers during job performance was the subject’s recidivism (93.4%), followed by verbal assault such as abusive language and indecent language from the subject or his or her family (71%). Next, the experiences of emotional assault (65%) such as threats from the subject or his family, and the rate of witnessing suicide or self-harm of the subject was over 28%. The rate of experiencing physical assault was 9.4% that is lower than expected. However, from narratives given by the open questionnaire,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witnessing suicide and self-harm of the subject and experiencing physical assault produced considerable trauma and anxiety.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dangerous experiences during job performance negatively affect job stress and lower job satisfaction. This relationship produced the same results even when the violence variable were analyzed separately. It was emphasized that in order to solve the various risks and violence experienced by probation officers during job performance, the ministry must first pay attention to the volume and types of job-related risks and violence.
본 연구는 최근의 형사정책적 흐름에 따라 보호관찰관이 담당해야 하는 범죄자 관리감독 업무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보호관찰관들이 직무수행 중에 겪을 수 있는 여러가지 사고와 폭력피해의 규모와 양태를 알아내고 그러한 부정적인 경험이 보호관찰관의 직무스트레스, 나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전국의 18개 보호관찰소에서 346명의 보호관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먼저 직무수행 중 경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험과 폭력피해의 규모를 측정하였다. 보호관찰관이 직무수행 중 가장 빈번히 경험하는 사건은 대상자의 재범(93.4%)이었고, 그 다음이 대상자나 그 가족으로 부터의 욕설과 반말 등 언어적 폭력을 당한 경험(71%)이었다. 이어서 대상자나 가족으로 부터 협박을 받는 등 정서적 폭력의 경험(65%)이었고, 대상자의 자살이나 자해를 목격한 비율은 28%가 넘었다. 신체적 폭행을 경험한 비율은 9.4%로 높지 않았다. 개방형 질문을 통해 살펴 본 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지는 않지만 대상자의 자살과 자해를 목격하는 경험과 신체적 폭력을 당한 경험은 상당한 트라우마와 불안감을 낳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직무수행 중의 위험한 경험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영향에 대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직무수행중의 위험한 경험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직무만족도를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관계는 직무수행 중에 경험하는 위험 중에서 폭력적인 것을 따로 분리하여 분석하여도 마찬가지 결과를낳았다. 보호관찰관이 직무수행 중에 경험하는 다양한 위험과 폭력피해가 직무스트레스를 통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직무수행 중의 위험에 대해 해당 부처가 관심을 가지고 통계적인 규모를 정기적으로 파악하는 것부터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revalence and pattern of various accidents and violent victimization that probation officers may experience while performing their duties,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such negative experiences on probation offic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a survey of 346 probation officers at 18 probation offices nationwide, I first tried to measure the various risks and violence probation officers face. The most frequent incident experienced by probation officers during job performance was the subject’s recidivism (93.4%), followed by verbal assault such as abusive language and indecent language from the subject or his or her family (71%). Next, the experiences of emotional assault (65%) such as threats from the subject or his family, and the rate of witnessing suicide or self-harm of the subject was over 28%. The rate of experiencing physical assault was 9.4% that is lower than expected. However, from narratives given by the open questionnaire,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witnessing suicide and self-harm of the subject and experiencing physical assault produced considerable trauma and anxiety.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dangerous experiences during job performance negatively affect job stress and lower job satisfaction. This relationship produced the same results even when the violence variable were analyzed separately. It was emphasized that in order to solve the various risks and violence experienced by probation officers during job performance, the ministry must first pay attention to the volume and types of job-related risks and violence.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윤옥경
Yoon Okkyung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윤옥경
– sequence: 2
  fullname: Yoon Okkyung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78779$$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j1Lw0AAhg-pYK39CULATUi8r1zuxlL8KBQE6eYQctdEa0oDCe4WO4mgg9oM7eAgXQpWjFD_UnP5D7a2y_vCw8vDuwtKvajnA7CPoIUoR-IojBOVWBhiahFqIYtYDtkCZUwZMyETvATKCGNmMg7FDqgmSUdCImzKkG2XwWX-nRXpfJHd6dlslePU0JN-Ps30fd_Qo0ExTPU427B88qjfv_KngR4-G_nnXP-m-cOLodN-8faxYktD8Toy9HC2-Jnuge3A6yZ-ddMV0Do5btXPzOb5aaNea5ohI9xEbRlwqJAfYGm3A-rIwOYBY4ghCG2lsEeYYBJ5vhLSEZRL3ybUxxRJiJVApAIO19peHLih6riR1_nvq8gNY7d20Wq4CFImMOTL8cF6HEax7yXqOup6sXsT3ca95UWXEoKRQ_4AykiDWg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KROLR
ACYCR
DOI 10.14819/krscs.2024.34.1.3.73
DatabaseName Korea Scholar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The prevalence of job-related risks and their impact on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probation officers in Korea
EISSN 2466-0698
EndPage 101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469208
433217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KROLR
M~E
ACYCR
ID FETCH-LOGICAL-k638-1dbf80c1ef2b5df47bf58f66161005cc2a3696b1aec9b7948be534e241b02c913
ISSN 1226-6809
IngestDate Fri Apr 04 03:31:32 EDT 2025
Sun May 26 04:10:20 EDT 2024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Keywords probation officer
폭력피해
직무만족도
job stress
job-related risks
보호관찰관
직무상 위험
violent victimization
job satisfaction
직무스트레스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38-1dbf80c1ef2b5df47bf58f66161005cc2a3696b1aec9b7948be534e241b02c913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78779
PageCount 2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469208
koreascholar_journals_433217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4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4-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24
  text: 202404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矯正硏究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한국교정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교정학회
SSID ssib039546155
ssib001148516
ssib044738154
ssib006781002
ssib055788494
Score 1.8816074
Snippet 본 연구는 최근의 형사정책적 흐름에 따라 보호관찰관이 담당해야 하는 범죄자 관 리감독 업무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보호관찰관들이 직무수행 중에 겪을 수 있는 여러...
본 연구는 최근의 형사정책적 흐름에 따라 보호관찰관이 담당해야 하는 범죄자 관리감독 업무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보호관찰관들이 직무수행 중에 겪을 수 있는 여러가지...
SourceID nrf
koreascholar
SourceType Open Website
Aggregation Database
StartPage 73
SubjectTerms 법학
TableOfContents 서론: 문제제기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2. 측정도구 IV.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직무수행 중 위험경험 실태 3. 직무관련 위험과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의역할 검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Title 보호관찰관의 직무상 위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URI 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21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78779
Volume 3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교정연구, 2024, 34(1), 98, pp.73-101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466-0698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154
  issn: 1226-6809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4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Ba9RAFB7aevEiioq1VQI6p5J1kkyymWOym6UK1UuFgoeQySaigS5s24MexGJPIuhB7R7agwfppWDFFepf6mb_g-9NZrcRi6iwZGfezHt5mTfJ-2aSeUPIbU90PU-KrmkniW8ipDYTrylNQL9Jl2cAUlOch1y57y0_5PfW3LWZWav21dLWpmykz89cV_I_VgUa2BVXyf6DZadCgQBpsC8cwcJw_Csb0yikoUNDTqM2FT4NfRoFmPUZjVo0ZPirUwRWW8JU0AQMifxBS_G3qO8ARZUJyFQimyi14gv5mXyhorRUkUVDVeR3FH9L8bMlVamjlAMeoURCpYCKSiTkUSSczqOBW-ebag5lLqi1pAv1VblUB458OmkO4OvguSKQ1KaBgxRQCxTChKDhdB5SX2fAtQZ4YhBp07B9-iCEO-NBUTzb0t5dT47YvPaeB7vzVL-JVm2dEKrRA4aluo5QiQCarOYOAJyans-qh3qmaDb3PJN51d7ZEx-iJ2Tr90rlEKp9WjS0sKp5m9-8FgdYBn2t6G-kGEHe5g2HN6yG05hw_xIQHCPOWc1Zcs4GR4a7lay8iE4RMAhza4gfsAgG2Z3kHeFyfBM9yXPeBMim9gqcXqte54ZK3TlLJYBoRQ9XTFSzLwDK1vt5DZStXiQX9GjKCKpb4xKZKXqXyaPRt-F4cHwyfFkeHeFxf2CUB9ujw2H5atso93bGu4Nyf6hpo4M35aevo7c75e47Y_TluPwxGL1-b5SD7fHHz0gDCeMPe0a5e3Ty_fAKWe1Eq61lU-8hYhbgWUyrK3OfpVaW29Lt5rwpc9fPAZPCqIG5aWonuJ-ltJIsFRJcky8z1-EZwFrJ7FRYzlUyt95bz64Rw2auZBm3JcP4VbkrUy68JAcECIP8JBfzZLHeLLF-TmzElb3myS1oprhIn8QY0R3_H_fioh_DuPVujF9aCJv51_8sZIGcP-3li2Rus7-V3QBQvClvqm7wE6mHmzM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B3%B4%ED%98%B8%EA%B4%80%EC%B0%B0%EA%B4%80%EC%9D%98+%EC%A7%81%EB%AC%B4%EC%83%81+%EC%9C%84%ED%97%98%EC%9D%B4+%EC%A7%81%EB%AC%B4%EB%A7%8C%EC%A1%B1%EB%8F%84%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rft.jtitle=%E7%9F%AF%E6%AD%A3%E7%A1%8F%E7%A9%B6&rft.au=%EC%9C%A4%EC%98%A5%EA%B2%BD&rft.au=Yoon+Okkyung&rft.date=2024-04-30&rft.pub=%ED%95%9C%EA%B5%AD%EA%B5%90%EC%A0%95%ED%95%99%ED%9A%8C&rft.issn=1226-6809&rft.eissn=2466-0698&rft.volume=34&rft.issue=1&rft.spage=73&rft.epage=101&rft_id=info:doi/10.14819%2Fkrscs.2024.34.1.3.73&rft.externalDocID=433217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6809&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6809&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6809&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