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L 광고의 배치유형과 프로그램 상황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전 침입성 지각의 조절효과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impact of display type and program condition on advertising attitude, and also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previous intrusiveness perception in such proces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display type had no significa...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4) Vol. 14; no. 4; pp. 297 - 313
Main Authors 김성은, 전중옥, 박현희, Kim, Sung Eun, Jeon, Jung Ok, Park, Hyun H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4.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4.14.04.29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impact of display type and program condition on advertising attitude, and also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previous intrusiveness perception in such proces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display type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advertising attitude. Second, the interaction effect of display type and program situation on advertising attitude was significant.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of display type and previous intrusiveness perception on advertising attitude was not significant. Fourth, the interaction effect of program situation and previous intrusiveness perception on advertising attitude was significant. Fifth, the interaction effect of display type, program situation, and previous intrusiveness perception on advertising attitude was not significant. 본 연구에서는 PPL 광고의 배치유형과 프로그램 상황이 광고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 소비자 개인특성변수로 사전 침입성 지각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배치유형: 현저/모호)${\times}2$(프로그램 상황: 긍정적/부정적)${\times}2$(사전 침입성 지각: 고/저)의 실험설계에 의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PPL 광고의 배치유형에 따른 광고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치유형과 프로그램 상황의 상호작용이 광고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치유형과 사전 침입성 지각의 상호작용은 광고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 상황과 사전 침입성 지각의 상호작용은 광고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배치유형, 프로그램 상황, 사전 침입성 지각은 삼원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PPL 광고 전략수립을 위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414753677947
G704-001475.2014.14.4.037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4.14.04.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