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체육교사의 교재개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 내러티브 연구는 세 중학교 체육교사의 교재개발 경험을 기술하고 그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유목적 표집 중 결정적 사례 표집법에 의해서 선정 된 13년 경력의 세 중학교 체육교사이다. 자료는 공식 인터뷰 자료를 주 자료로 사용하였고 저널, 이메일, 비공식 전화 통화를 추가 자료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참여자의 체육 교재개발의 시작, 교재개발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보람을 시공간, 관계 속에서 기술하는 이야기하기, 그 이야기의 의미를 해석하는 다시 이야기를 통해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진실성...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과교육학연구 Vol. 18; no. 4; pp. 893 - 915
Main Author 윤현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31.12.2014
교과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3217
2671-8324
DOI10.24231/rici.2014.18.4.893

Cover

Abstract 이 내러티브 연구는 세 중학교 체육교사의 교재개발 경험을 기술하고 그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유목적 표집 중 결정적 사례 표집법에 의해서 선정 된 13년 경력의 세 중학교 체육교사이다. 자료는 공식 인터뷰 자료를 주 자료로 사용하였고 저널, 이메일, 비공식 전화 통화를 추가 자료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참여자의 체육 교재개발의 시작, 교재개발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보람을 시공간, 관계 속에서 기술하는 이야기하기, 그 이야기의 의미를 해석하는 다시 이야기를 통해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진실성은 자료수집의 다각도 검증, 연구참여자로부터의 코딩 및 결과물에 대한 확인, 동료연구자와의 연구과정 검토, 부정적 사례의 재검토를 통해 확보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매너리즘에 빠져 새로운 체육수업에 대한 갈증을 느끼고 있었는데 우연히 얻게 된 미국의 체육 교재를 통해 한국형 교재를 개발하고자 의기투합 하였다. 교재를 개발하는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샘플 테스트와 교재에 포함 될 종목 선정, 정확한 개념과 계열성이 확보된 내용틀의 구축, 삽화와 동영상을 활용한 시각화 작업, 정기적 모임을 만드는 과정 그리고 사업과 교육적 가치에 대한 균형을 잡는데에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교재개발 과정에서 어려움만을 겪은 것은 아니었다. 내용발달 체계를 적용하여 교재내용을 재구성하는 과정, 교수방법을 과제, 학생, 교사카드로 확장하는 과정, 샘플제작과 수업실연 준비 과정에서 보람을 느꼈다. 이러한 세 체육교사의 교재개발 과정은 체육 교재개발의 프로슈머, 모방, 창조로 가는 길, 양단불락의 추구, 학습공동체를 통한 지식 창출이라는 4가지 의미로 해석되었다. This narrative research intends to describe thre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inquires the experiences’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participants were thre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ith more than 13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ho were selected by critical case sampling. The main part of the data was obtained from formal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Journals, emails, and informal interviews through telephone calls were also conducted for additional data. Thecollected data were inductively analyzed through the participants’ storytelling about their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in terms of difficulties andrewards,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self interpretation of their own experiences. Theparticipants experienced mannerism in teaching and began demanding for a new physicaleducation class, which encouraged them to develop Korean teaching materials, influenced byUnited States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During the development, they encountereddifficulties in selecting games to be included in the teaching materials and sample testing, andin establishing the correct concepts and proper sequences of contents. Furthermore, there weredifficulties in utilizing illustrations and video clips, holding regular meetings, and striking abalance between projects and educational values. There were positives to take from thedevelopment project, however. Encouragements were found in the process of rearranging thecontents of teaching materials by applying a task development system, of extending theteaching methods to assignment, students, and teacher cards, and of creating samples andpreparations for teaching. The analyses showed that these three physical education teachers'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process has implications as follows: the prosumer of developingthe teaching materials, ways to imitation and creation, pursuits of a win-win situation, andknowledge creation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KCI Citation Count: 5
AbstractList 이 내러티브 연구는 세 중학교 체육교사의 교재개발 경험을 기술하고 그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유목적 표집 중 결정적 사례 표집법에 의해서 선정 된 13년 경력의 세 중학교 체육교사이다. 자료는 공식 인터뷰 자료를 주 자료로 사용하였고 저널, 이메일, 비공식 전화 통화를 추가 자료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참여자의 체육 교재개발의 시작, 교재개발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보람을 시공간, 관계 속에서 기술하는 이야기하기, 그 이야기의 의미를 해석하는 다시 이야기를 통해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진실성은 자료수집의 다각도 검증, 연구참여자로부터의 코딩 및 결과물에 대한 확인, 동료연구자와의 연구과정 검토, 부정적 사례의 재검토를 통해 확보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매너리즘에 빠져 새로운 체육수업에 대한 갈증을 느끼고 있었는데 우연히 얻게 된 미국의 체육 교재를 통해 한국형 교재를 개발하고자 의기투합 하였다. 교재를 개발하는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샘플 테스트와 교재에 포함 될 종목 선정, 정확한 개념과 계열성이 확보된 내용틀의 구축, 삽화와 동영상을 활용한 시각화 작업, 정기적 모임을 만드는 과정 그리고 사업과 교육적 가치에 대한 균형을 잡는데에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교재개발 과정에서 어려움만을 겪은 것은 아니었다. 내용발달 체계를 적용하여 교재내용을 재구성하는 과정, 교수방법을 과제, 학생, 교사카드로 확장하는 과정, 샘플제작과 수업실연 준비 과정에서 보람을 느꼈다. 이러한 세 체육교사의 교재개발 과정은 체육 교재개발의 프로슈머, 모방, 창조로 가는 길, 양단불락의 추구, 학습공동체를 통한 지식 창출이라는 4가지 의미로 해석되었다. This narrative research intends to describe thre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inquires the experiences’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participants were thre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ith more than 13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ho were selected by critical case sampling. The main part of the data was obtained from formal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Journals, emails, and informal interviews through telephone calls were also conducted for additional data. Thecollected data were inductively analyzed through the participants’ storytelling about their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in terms of difficulties andrewards,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self interpretation of their own experiences. Theparticipants experienced mannerism in teaching and began demanding for a new physicaleducation class, which encouraged them to develop Korean teaching materials, influenced byUnited States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During the development, they encountereddifficulties in selecting games to be included in the teaching materials and sample testing, andin establishing the correct concepts and proper sequences of contents. Furthermore, there weredifficulties in utilizing illustrations and video clips, holding regular meetings, and striking abalance between projects and educational values. There were positives to take from thedevelopment project, however. Encouragements were found in the process of rearranging thecontents of teaching materials by applying a task development system, of extending theteaching methods to assignment, students, and teacher cards, and of creating samples andpreparations for teaching. The analyses showed that these three physical education teachers'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process has implications as follows: the prosumer of developingthe teaching materials, ways to imitation and creation, pursuits of a win-win situation, andknowledge creation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KCI Citation Count: 5
Author 윤현수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윤현수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49689$$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rtKw1AAhg9SwVr7BC5ZBJfEc8m5ZCzFS7EgSPeQc3IiIZJA6uImddShDqUVoiI4ZiilBRdfKJd3MF6m7xs-fv5d0IqTWAOwj6CFbUzQURqq0MIQ2RYSlm0Jh2yBNmYcmYJguwXayOHUJBjxHdAdj0MJESYUE4e2wXn18VTPnovN1KhW6yp7b6ya5NXLwvix17xYZuUyM4rVVz1fVPOpUazv6llmlJN1-ZbXD8vy89Go76fFJt8D24F3Pdbdf3bA6OR41D8zhxeng35vaEaMUJNKTbQvWIAw9n2OJUFSCcqD5hDUUguOGVQC-R5TWvoeCZTyGePakQI1KemAw7_ZOA3cSIVu4oW_vErcKHV7l6OBSwlzIG3Sg780uk1k4sokiZSOb3Tq2pBCiCkVmDFCvgHO0Xfj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ACYCR
DOI 10.24231/rici.2014.18.4.893
DatabaseName Kyobo Scholar Journals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Narrative inquiry o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EISSN 2671-8324
EndPage 915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536905
4050025582663
GroupedDBID M~E
P5Y
SSSTE
ACYCR
ID FETCH-LOGICAL-k635-5be3ed86f122dd72b31bc857f2390ebe87260c81da6cebda3fccd667e9b811bc3
ISSN 1975-3217
IngestDate Tue Nov 21 21:34:18 EST 2023
Wed Jun 18 02:24:17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Keywords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narrative inquiry
교재개발
수업개선
teachers change
내러티브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중학교 체육교사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35-5be3ed86f122dd72b31bc857f2390ebe87260c81da6cebda3fccd667e9b811bc3
Notes G704-002067.2014.18.4.005
PageCount 2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536905
kyobo_bookcenter_405002558266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4-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4-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4
  text: 2014-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교과교육학연구
PublicationYear 2014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name: 교과교육연구소
SSID ssib012352395
ssib044738152
Score 1.5640152
Snippet 이 내러티브 연구는 세 중학교 체육교사의 교재개발 경험을 기술하고 그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유목적 표집 중 결정적 사례 표집법에...
SourceID nrf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893
SubjectTerms 교육학
TableOfContents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II. 연구방법 3 1. 연구 참여자와 연구자 3 2. 자료수집 및 분석 4 III. 세 체육교사의 교재개발 경험 5 1. 체육 교재개발의 시작 5 2. 체육 교재개발 과정에서의 어려움 6 3. 체육 교재개발 과정에서의 보람 9 IV. 세 체육교사의 교재개발 경험의 의미 11 1. 체육 교재개발의 프로슈머(prosumer) 11 2. 모방, 창조로 가는 길 12 3. 양단불락(兩端不落)의 추구 14 4. 학습공동체를 통한 지식 창출 15 V. 세 체육교사의 다시 살아가기 16 Abstract 22
Title 중학교 체육교사의 교재개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5002558266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49689
Volume 1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교과교육학연구, 2014, 18(4), , pp.893-915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671-8324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152
  issn: 1975-3217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7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b9Mw1NrGhQsCAWJ8TEHCpykliZ3EPjZtpgEapyLtFtVxikalVqq6AxwQGkc4lMO0IRUQEsceqqmTuPCH2vQ_8Oyk6ceQGFzSJ_v5ffil8XuJ3zNCj8CQdcbd2PRpXZrqQ5EpbF-ajNpCUMlhmPqiu_fc231Bn-67-2vr4cKupcOuKMVv_phX8j9WhTawq8qS_QfLFkShAWCwL1zBwnC9lI1xWMFlirmNwyrmLuYch2UcAGBtq77AwQFVAAc8u-hTLczB5YrugpFse6mPh7oPWiw1MgwyIEMCklXNzodxGtvP2JUVL2bNRFHogWKjJAgw39E0q5hpaoomw0whQRPRjLUEeSnIVzMFC7EAIDioLAuaqVXoroUJVkjB3TTDpRoX-OpJYQxnR1PP3nrYRW3F_D7N5yfIxnHMac4jn7pQywFaVhYUX7LBZcRflVrL5gHRhQWD-65JnCz_9OKKMn9dkvkW2WmQuafBs0TW1UVMebhqFYN18EDtPaQlm5VoqRi7VB0c_G0dFkKU6JF1dMXxPU8d5LH3Npw9VlU2tEPm6deU-uCm6bOoCumzelya8-OLfCFwa75uizb4X61OY8H_ql1H1_LAyShn_4IbaK3ZvomepT8-TY8_j897Rno2SvvfAUqPBumXU0NBXwfjYX8y7Bvjs1_Tk9P0pGeMR--mx31jcjSafBtMPwwnPz8a0_e98fngFqrthLXKrpkfD2I2wUs2XZGQRDKvYTuOlL4jiC1i5voN0NWCRxPzIVSPIRyre3EiZJ004lh6np9wwWxAJbfRRqvdSu4gQ1VMIg0pLEcwKqnNYkqkR5klpec3CN9EW1r_SAW-atN00omWJn4TPYSJiZrxQaTKtavfl-2o2YkgKH0SucTjlnv3b0TuoavzO_0-2uh2DpMH4PF2xZa252-dVoRy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4%91%ED%95%99%EA%B5%90+%EC%B2%B4%EC%9C%A1%EA%B5%90%EC%82%AC%EC%9D%98+%EA%B5%90%EC%9E%AC%EA%B0%9C%EB%B0%9C+%EA%B2%BD%ED%97%98%EC%97%90+%EA%B4%80%ED%95%9C+%EB%82%B4%EB%9F%AC%ED%8B%B0%EB%B8%8C+%ED%83%90%EA%B5%AC&rft.jtitle=%EA%B5%90%EA%B3%BC%EA%B5%90%EC%9C%A1%ED%95%99%EC%97%B0%EA%B5%AC&rft.au=%EC%9C%A4%ED%98%84%EC%88%98&rft.date=2014-12-31&rft.pub=%EC%9D%B4%ED%99%94%EC%97%AC%EC%9E%90%EB%8C%80%ED%95%99%EA%B5%90+%EA%B5%90%EA%B3%BC%EA%B5%90%EC%9C%A1%EC%97%B0%EA%B5%AC%EC%86%8C&rft.issn=1975-3217&rft.volume=18&rft.issue=4&rft.spage=893&rft.epage=915&rft_id=info:doi/10.24231%2Frici.2014.18.4.893&rft.externalDocID=405002558266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5-3217&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5-3217&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5-3217&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