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효소제 첨가 및 고체상태 발효가 채종박의 in vitro 소화율 및 단쇄지방산 생성에 미치는 효과

본 실험에서는 외인성 효소 첨가제 및 혼합 세균 배양을 통한 고상발효(Solid-state fermentation, SSF)가 채종박(Rapeseed meal, RSM)의 체외건물소화율(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및 단쇄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외인성 효소 칵테일(첨가 및 미첨가) 및 RSM에 대한 SSF(발효 및 비발효)를 나타내는 2 x 2 요인 설계가 적용되었다. 3-step 돼지 소화율 모델을 적용하여 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농업생명과학연구 Vol. 58; no. 1; pp. 61 - 70
Main Authors 구성민, 이에스더, 전현수, 이수협, 장재철, Seong Min Koo, Esther Lee, Hyeon Su Jun, Su Hyup Lee, Jae Cheol J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9.02.2024
농업생명과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5504
2383-8272
DOI10.14397/jals.2024.58.1.61

Cover

Table of Contents:
  • 서론 재료 및 방법 1. 고체상태 발효(Solid-state fermentation, SSF) 2. 외인성 복합 효소제(Exogenous enzyme cocktail) 3. 인비트로 가수분해(In vitro hydrolysis) 4. 체외 발효(In vitro fermentation) 5. 화학 분석 6. 계산 7.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채종박의 영양소 성분 분석 2. 채종박에 대한 SSF 및 외인성 복합 효소제 첨가 효과 3. 단쇄지방산(SCFA) 발생량 4. 채종박의 In vitro 에너지 소화율(IVDGE) 변화 5. 고찰 감사의 글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