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8개 보 인근 수질측정 지점의 4대강 사업 전·후 수질 변동성 분석

본 연구는 4대강 사업에 따른 낙동강 수질의 변동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낙동강에 건설된 8개 보 건설 전후의 수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보에서 가장 인접한 상류 수질측정지점을 대상으로 4대강 사업전(2003년 1월부터 2008년 11월), 사업중(2008년 9월부터 2012년 4월), 사업후(2012년 5월부터 2017년 9월)까지의 3개 기간에 대해 DO, BOD, COD, SS, T-N, T-P, TOC 등의 수질자료를 수집하였다. 4대강 사업전후 자료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대응검정 T-test를 95%의 신뢰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농업생명과학연구 Vol. 52; no. 6; pp. 89 - 101
Main Authors 조현경, 임효진, 김상민, Hyun Kyung Cho, Hyo Jin Lim, Sang Mi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31.12.2018
농업생명과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5504
2383-8272
DOI10.14397/jals.2018.52.6.8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4대강 사업에 따른 낙동강 수질의 변동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낙동강에 건설된 8개 보 건설 전후의 수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보에서 가장 인접한 상류 수질측정지점을 대상으로 4대강 사업전(2003년 1월부터 2008년 11월), 사업중(2008년 9월부터 2012년 4월), 사업후(2012년 5월부터 2017년 9월)까지의 3개 기간에 대해 DO, BOD, COD, SS, T-N, T-P, TOC 등의 수질자료를 수집하였다. 4대강 사업전후 자료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대응검정 T-test를 95%의 신뢰구간에서 실시 한 결과 DO, BOD, COD, T-N, TOC는 사업 전보다 사업 후 수질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그 중 BOD, COD, TOC의 농도가 큰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SS, T-P는 사업 전보다 사업 후 농도값이 감소하였다. 수질인자 중 변화값이 큰 BOD, COD, TOC를 수질등급으로 나누어 공간적으로 분석 해 본 결과 사업전에 비해 사업후의 수질등급이 나빠지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Nakdong River by the Four major river projects. For this purpose, the nearest upstream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were selected and water quality data such as BOD, COD, SS, TN, TP, and TOC were collected for the before Four major river project(from January 2003 to November 2008), during the project(from September 2008 to April 2012) and after the project(from May 2012 to September 2017). As a result, the concentration of DO, BOD, COD, TN, and TOC after the project tend to be higher than the before project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SS and T-P values decreased after the project. Spatial analysis of BOD, COD, and TOC, which have large changes in water quality factor, by water quality grade, showed a tendency that water quality grade after the project was worse than before the project.
ISSN:1598-5504
2383-8272
DOI:10.14397/jals.2018.52.6.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