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유곡선모수를 이용한 우리나라 Holstein 젖소의 분만간격에 대한 경제성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분만간격에 따른 추가 착유일수를 계산하여 불완전 Gamma모형으로 추정된 비유곡 선모수값을 통하여 추가 착유일 만큼의 산유량을 계산하고, 추가 착유에 따른 경제성을 분석하기 위함 이다. 경제성 분석을 위하여 농협중앙회 젖소개량사업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유우군 능력검정사업에 참 여하고 있는 홀스타인 젖소로부터 조사한 착유기록 2,072개를 분석하였는데, 분석에 이용된 착유기록은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 사이에 분만한 초산우 및 경산우로부터 자료이다. 비유곡선 모수는 Wood 모형을 적용하여, SAS 9.2...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농업생명과학연구 Vol. 51; no. 5; pp. 103 - 113
Main Authors 원정일, 김상범, 임동현, 박수봉, 윤호백, Jeong Il Won, Sang Bum Kim, Dong Hyun Lim, Soo Bong Park, Ho Baek Y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01.10.2017
농업생명과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5504
2383-8272
DOI10.14397/jals.2017.51.5.103

Cov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분만간격에 따른 추가 착유일수를 계산하여 불완전 Gamma모형으로 추정된 비유곡 선모수값을 통하여 추가 착유일 만큼의 산유량을 계산하고, 추가 착유에 따른 경제성을 분석하기 위함 이다. 경제성 분석을 위하여 농협중앙회 젖소개량사업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유우군 능력검정사업에 참 여하고 있는 홀스타인 젖소로부터 조사한 착유기록 2,072개를 분석하였는데, 분석에 이용된 착유기록은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 사이에 분만한 초산우 및 경산우로부터 자료이다. 비유곡선 모수는 Wood 모형을 적용하여, SAS 9.2 NLIN Procedure를 이용해 추정하였다. Wood 모형으로 추정한 비유곡선 함수는 초산우 및 경산우에 대해 각각 yt = 18.00t0.189e-0.00231t 및 yt = 24.73t0.181e-0.00315t로 추정되었다. 초산 우의 경우 산유량이 8,000kg 이하인 우군의 적정 분만간격은 400일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8,000kg 이상인 우군은 분만간격을 400일에서 500일 사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산우의 경 우 산유량이 9,000kg 우군은 적정 분만간격을 400일 이하로 유지하고, 9,000kg 이상인 우군의 분만간 격은 400일에서 500일 사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며, 11,000kg 이상의 고능력 경산우 우군의 경우 분만간격이 길어질수록 순수이익은 증가하나, 차기 임신 및 분만을 위해서는 분만간격을 450일에 서 500일 사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number of additional milking days according to calving interval, to calculate the amount of milk yield for the additional milking through the lactation curve parameter estimated by the incomplete Gamma model, and to economic analysis of the additional milking. The data of 2,072 lactation records was obtained from the Dairy Herd Improvement program run by Dairy Cattle Improvement Center of National Agricultural Federation of Korea. Lactation records were collected from primiparous and multiparous cows calving between Jan. 2010 to Dec. 2012. The estimated lactation curves were drawn using Wood model based on actual milk yield records, and NLIN Procedure of SAS program(ver. 9.2). The estimated lactation functions using Wood model for primiparous and multiparous were yt = 18.00t0.189e-0.00231t and yt = 24.73t0.181e-0.00315t, respectively. In the case of primiparous, it is desirable to keep the optimal calving interval of 400 days or less for the herds having an milk yield amount of 8,000 kg or less, and it is desirable to keep the optimal calving interval of 400 to 500 days for the herds having an milk yield amount of 8,000 kg or more. In the case of multiparous, it is desirable to keep the optimal calving interval of 400 days or less for the herds having an milk yield amount of 9,000 kg or less, and 400 to 500 days for the herds having an milk yield amount of greater than 9,000 kg. In the case of the herds having an milk yield amount of greater than 11,000 kg, net profit increases as the calving interval increases. But, for the next pregnancy and calving, it may be desirable to maintain the calving interval between 450 and 500 days.
AbstractList 본 연구의 목적은 분만간격에 따른 추가 착유일수를 계산하여 불완전 Gamma모형으로 추정된 비유곡선모수값을 통하여 추가 착유일 만큼의 산유량을 계산하고, 추가 착유에 따른 경제성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경제성 분석을 위하여 농협중앙회 젖소개량사업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유우군 능력검정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홀스타인 젖소로부터 조사한 착유기록 2,072개를 분석하였는데, 분석에 이용된 착유기록은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 사이에 분만한 초산우 및 경산우로부터 자료이다. 비유곡선 모수는 Wood모형을 적용하여, SAS 9.2 NLIN Procedure를 이용해 추정하였다. Wood 모형으로 추정한 비유곡선함수는 초산우 및 경산우에 대해 각각 yt = 18.00t0.189e-0.00231t 및 yt = 24.73t0.181e-0.00315t로 추정되었다. 초산우의 경우 산유량이 8,000kg 이하인 우군의 적정 분만간격은 400일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8,000kg 이상인 우군은 분만간격을 400일에서 500일 사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산우의 경우 산유량이 9,000kg 우군은 적정 분만간격을 400일 이하로 유지하고, 9,000kg 이상인 우군의 분만간격은 400일에서 500일 사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며, 11,000kg 이상의 고능력 경산우 우군의경우 분만간격이 길어질수록 순수이익은 증가하나, 차기 임신 및 분만을 위해서는 분만간격을 450일에서 500일 사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number of additional milking days according tocalving interval, to calculate the amount of milk yield for the additional milking through thelactation curve parameter estimated by the incomplete Gamma model, and to economic analysisof the additional milking. The data of 2,072 lactation records was obtained from the Dairy HerdImprovement program run by Dairy Cattle Improvement Center of National AgriculturalFederation of Korea. Lactation records were collected from primiparous and multiparous cowscalving between Jan. 2010 to Dec. 2012. The estimated lactation curves were drawn usingWood model based on actual milk yield records, and NLIN Procedure of SAS program(ver. 9.2). The estimated lactation functions using Wood model for primiparous and multiparous wereyt = 18.00t0.189e-0.00231t and yt = 24.73t0.181e-0.00315t, respectively. In the case of primiparous, it isdesirable to keep the optimal calving interval of 400 days or less for the herds having an milkyield amount of 8,000 kg or less, and it is desirable to keep the optimal calving interval of400 to 500 days for the herds having an milk yield amount of 8,000 kg or more. In the caseof multiparous, it is desirable to keep the optimal calving interval of 400 days or less for theherds having an milk yield amount of 9,000 kg or less, and 400 to 500 days for the herdshaving an milk yield amount of greater than 9,000 kg. In the case of the herds having an milkyield amount of greater than 11,000 kg, net profit increases as the calving interval increases. But, for the next pregnancy and calving, it may be desirable to maintain the calving intervalbetween 450 and 500 days. KCI Citation Count: 0
본 연구의 목적은 분만간격에 따른 추가 착유일수를 계산하여 불완전 Gamma모형으로 추정된 비유곡 선모수값을 통하여 추가 착유일 만큼의 산유량을 계산하고, 추가 착유에 따른 경제성을 분석하기 위함 이다. 경제성 분석을 위하여 농협중앙회 젖소개량사업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유우군 능력검정사업에 참 여하고 있는 홀스타인 젖소로부터 조사한 착유기록 2,072개를 분석하였는데, 분석에 이용된 착유기록은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 사이에 분만한 초산우 및 경산우로부터 자료이다. 비유곡선 모수는 Wood 모형을 적용하여, SAS 9.2 NLIN Procedure를 이용해 추정하였다. Wood 모형으로 추정한 비유곡선 함수는 초산우 및 경산우에 대해 각각 yt = 18.00t0.189e-0.00231t 및 yt = 24.73t0.181e-0.00315t로 추정되었다. 초산 우의 경우 산유량이 8,000kg 이하인 우군의 적정 분만간격은 400일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8,000kg 이상인 우군은 분만간격을 400일에서 500일 사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산우의 경 우 산유량이 9,000kg 우군은 적정 분만간격을 400일 이하로 유지하고, 9,000kg 이상인 우군의 분만간 격은 400일에서 500일 사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며, 11,000kg 이상의 고능력 경산우 우군의 경우 분만간격이 길어질수록 순수이익은 증가하나, 차기 임신 및 분만을 위해서는 분만간격을 450일에 서 500일 사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number of additional milking days according to calving interval, to calculate the amount of milk yield for the additional milking through the lactation curve parameter estimated by the incomplete Gamma model, and to economic analysis of the additional milking. The data of 2,072 lactation records was obtained from the Dairy Herd Improvement program run by Dairy Cattle Improvement Center of National Agricultural Federation of Korea. Lactation records were collected from primiparous and multiparous cows calving between Jan. 2010 to Dec. 2012. The estimated lactation curves were drawn using Wood model based on actual milk yield records, and NLIN Procedure of SAS program(ver. 9.2). The estimated lactation functions using Wood model for primiparous and multiparous were yt = 18.00t0.189e-0.00231t and yt = 24.73t0.181e-0.00315t, respectively. In the case of primiparous, it is desirable to keep the optimal calving interval of 400 days or less for the herds having an milk yield amount of 8,000 kg or less, and it is desirable to keep the optimal calving interval of 400 to 500 days for the herds having an milk yield amount of 8,000 kg or more. In the case of multiparous, it is desirable to keep the optimal calving interval of 400 days or less for the herds having an milk yield amount of 9,000 kg or less, and 400 to 500 days for the herds having an milk yield amount of greater than 9,000 kg. In the case of the herds having an milk yield amount of greater than 11,000 kg, net profit increases as the calving interval increases. But, for the next pregnancy and calving, it may be desirable to maintain the calving interval between 450 and 500 days.
Author 원정일
Jeong Il Won
김상범
Dong Hyun Lim
Ho Baek Yoon
윤호백
임동현
박수봉
Soo Bong Park
Sang Bum Kim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원정일
– sequence: 2
  fullname: 김상범
– sequence: 3
  fullname: 임동현
– sequence: 4
  fullname: 박수봉
– sequence: 5
  fullname: 윤호백
– sequence: 6
  fullname: Jeong Il Won
– sequence: 7
  fullname: Sang Bum Kim
– sequence: 8
  fullname: Dong Hyun Lim
– sequence: 9
  fullname: Soo Bong Park
– sequence: 10
  fullname: Ho Baek Yoo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7741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kDtLw1AAhS9SwVr7C1wCTg6J95Gbx1iK2kJBkO7hJs2tfZBAortIEIcOLmopLcTBR8WhVhGE-odyr__B1Dqd5TuHj7MJCkEY-ABsI6ghndjmXpf1Yw1DZGoUaVRDkKyBIiYWUS1s4gIoImpbKqVQ3wDlOO64ECKkW6ZFiqAtvhI5TrP3e5mk4uVZXg3Fw0KRkw85mv7cjBU5monHV3ExFJOFUgv78anfCRSZ3srLgZwMFfGZiKdBNkuy-VTeXSticL6sZfNvmY5l8rYEZDLZAus81_TL_1kCzYP9ZrWmNo4O69VKQ-0ZWFdtSJhPCaYQt6yWxyhB2MWcQZcT6iLSYp7tWpwb2PU444wyrutEt3kLGx7zMCmB3dVsEHGn53WckHX-sh06vcipHDfrDjagjUw9Z3dWbC-MfBZ7J2GfRU43PIuC3NAhxLDyD38B8pyJB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KROLR
ACYCR
DOI 10.14397/jals.2017.51.5.103
DatabaseName Korea Scholar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Economic Analysis for Calving Interval Using Lactation Curve Parameters of Holstein Cow in Korea
EISSN 2383-8272
EndPage 113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2609174
336838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KROLR
M~E
ACYCR
ID FETCH-LOGICAL-k624-903ae532502d8dca5312b2fa0bf35b13dac9b8ff62bcfafa5af44349fd26cac23
ISSN 1598-5504
IngestDate Tue Nov 21 21:47:15 EST 2023
Sun Jun 22 04:11:49 ED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5
Keywords Economic analysis
Lactation curve
Wood model
비유곡선
경제성 분석
분만간격
Wood 모형
Calving interval
Holstein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24-903ae532502d8dca5312b2fa0bf35b13dac9b8ff62bcfafa5af44349fd26cac23
PageCount 11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2609174
koreascholar_journals_33683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7-10
PublicationDateYYYYMMDD 2017-10-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0
  year: 2017
  text: 2017-1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농업생명과학연구
PublicationYear 2017
Publisher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Publisher_xml – name: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name: 농업생명과학연구원
SSID ssib001148783
ssib008451562
ssib009283157
ssib044743270
Score 2.0178614
Snippet 본 연구의 목적은 분만간격에 따른 추가 착유일수를 계산하여 불완전 Gamma모형으로 추정된 비유곡 선모수값을 통하여 추가 착유일 만큼의 산유량을 계산하고, 추가 착유에 따른 경제성을 분석하기 위함 이다. 경제성 분석을 위하여 농협중앙회 젖소개량사업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유우군...
본 연구의 목적은 분만간격에 따른 추가 착유일수를 계산하여 불완전 Gamma모형으로 추정된 비유곡선모수값을 통하여 추가 착유일 만큼의 산유량을 계산하고, 추가 착유에 따른 경제성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경제성 분석을 위하여 농협중앙회 젖소개량사업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유우군 능력검정사업에...
SourceID nrf
koreascholar
SourceType Open Website
Aggregation Database
StartPage 103
SubjectTerms 자연과학일반
TableOfContents 서론 재료 및 방법 1 공시재료 2 비유곡선 모수 추정 3 경제성 분석 결과 및 고찰 1 일일 평균 산유량 2 비유곡선 모수 추정 3 분만간격에 따른 경제성 분석 감사의 글 References
Title 비유곡선모수를 이용한 우리나라 Holstein 젖소의 분만간격에 대한 경제성 분석
URI 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683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77411
Volume 5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농업생명과학연구, 2017, 51(5), , pp.103-113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rV3Na9RAFA9tvXgRRcVqlSDOqWRNMjPZmWOSTamCnir0tuSzyJYubNuLBxFZxEMPXtRSurAe_Kh4qFUEof5Dm3jzD_DNJNmdWoUqXkJ4efPem_cymd9LMvM07UZICKQVIYYIYEhQeJwaYYwdA9B9nDnUTiwiFgrfuess3iO3l-ny1PQP5a-lzY2oET_47bqSf4kq0CCuYpXsX0R2LBQIcA7xhSNEGI4nijEKPORxxAgKfMR95JoocJGHkWsJCtAFxUOui1wmKQxxJikUef68bNZCXtkemDgKWohTkDVfkbxSgINcX5wwuxIgmsGk1V1dF-UyJTfo4o7U4iDmV7I5m5dWOtJKkNSU16RgQYETW-oF7ibipuQGDmaqpkgur1Vr8aveeZYqXJJ4S4XbUhhcbVXyGZVsWFhW-kVQpMs8v1ZYG-OV3qSi63AjUnjmA_fkzYlkA0-YtVm09qc_YXFlgMxKLbOkveBEckRKUHmHLUj1wm2IKSyeMKaUPw4hRK0si1S_tAEgUP_-Vw6z_9b7uqPqDMaZAWlnaWMqaQDLsMHsskZSNVNZJlZAj1UuCD42nwq4Kgs5rIqt7a1mg1oN2hi3VXcv_wVVHNm_vBPfb690251eG7K0W23IoTlkwtPaKbsJiFf8cPswmIB4yNDVb8uMAOZWNrXkgIiVHaIIARBsy6qQ475X24sJ628etx0wZqcrlnyUr48AVa71MgVVLp3VzlTpoO6WY_ucNtXpntdW8q_9Ync4-vSq6A_z9--Kp9v560O9GHwudva-P9_Vi539_M2H_PF2PjjU6zGoF8MXxZOtYrCt51_6-dut0X5_dLBXvHym51uPRLPRwbdiuFv0PwqGoj-4oC0tBEv-olEVRDE6jk0MbuIwpRiSFjthSRzC9GlHdhaaUYZpZOEkjHnEssyxozgLs5CGGSGY8CyxnTiMbXxRm1nrrqWXNJ05jJI4SSJIoEiC05CJxdQmTxMm6k0ks9qc6qJ29dBbb2PsMMxmtevgMhnWP4f38kmYrminJ-NjTpvZ6G2mVwHmb0TX5F3xE6dvzw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B9%84%EC%9C%A0%EA%B3%A1%EC%84%A0%EB%AA%A8%EC%88%98%EB%A5%BC+%EC%9D%B4%EC%9A%A9%ED%95%9C+%EC%9A%B0%EB%A6%AC%EB%82%98%EB%9D%BC+Holstein+%EC%A0%96%EC%86%8C%EC%9D%98+%EB%B6%84%EB%A7%8C%EA%B0%84%EA%B2%A9%EC%97%90+%EB%8C%80%ED%95%9C+%EA%B2%BD%EC%A0%9C%EC%84%B1+%EB%B6%84%EC%84%9D&rft.jtitle=%EB%86%8D%EC%97%85%EC%83%9D%EB%AA%85%EA%B3%BC%ED%95%99%EC%97%B0%EA%B5%AC%2C+51%285%29&rft.au=%EC%9B%90%EC%A0%95%EC%9D%BC&rft.au=%EA%B9%80%EC%83%81%EB%B2%94&rft.au=%EC%9E%84%EB%8F%99%ED%98%84&rft.au=%EB%B0%95%EC%88%98%EB%B4%89&rft.date=2017-10-01&rft.pub=%EB%86%8D%EC%97%85%EC%83%9D%EB%AA%85%EA%B3%BC%ED%95%99%EC%97%B0%EA%B5%AC%EC%9B%90&rft.issn=1598-5504&rft.eissn=2383-8272&rft.spage=103&rft.epage=113&rft_id=info:doi/10.14397%2Fjals.2017.51.5.10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2609174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550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550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550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