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정산 북사면지역 식생의 생태적 특성

본 연구는 탐방객의 이용밀도가 높은 금정산 북쪽사면의 생태적 특성을 평가하여 식생 관리방안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조사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보면, 조사구1, 2, 3, 6, 7, 8은 산능선으로 해발고는 637 m에서 749m이며, 경사는 5°에서 15°의 신갈나무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사구4는 산능선으로 해발고 605m, 경사 5°의 상수리-떡갈나무 군락, 조사구5는 산능선으로 해발고 645 m, 경사 5°의 졸참나무 군락, 조사구9는 사면으로 해발고 623 m, 경사 15°의 신갈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농업생명과학연구 Vol. 47; no. 3; pp. 1 - 17
Main Authors 남정칠, 서정범, 김종갑, Jung-Chil Nam, Jung-Bum Seo, Jong-Kab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30.06.2013
농업생명과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5504
2383-8272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탐방객의 이용밀도가 높은 금정산 북쪽사면의 생태적 특성을 평가하여 식생 관리방안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조사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보면, 조사구1, 2, 3, 6, 7, 8은 산능선으로 해발고는 637 m에서 749m이며, 경사는 5°에서 15°의 신갈나무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사구4는 산능선으로 해발고 605m, 경사 5°의 상수리-떡갈나무 군락, 조사구5는 산능선으로 해발고 645 m, 경사 5°의 졸참나무 군락, 조사구9는 사면으로 해발고 623 m, 경사 15°의 신갈나무 군락, 조사구10은 사면으로 해발고 380m, 경사 20°의 비목나무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교목층의 수고는 8-15 m, 아교목층의 수고 2-7 m, 관목층의 수고 0.8-1.5 m, 초본층의 수고 0.1-0.7 m으로 조사되었다. 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조사구1은 아교목층에서 소나무와 신갈나무가 우점하여 앞으로 이들 수종이 교목층을 구성할 것으로 생각되며, 조사구2, 조사구3, 조사구4, 조사구8, 조사구9, 조사구10은 교목층에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비목나무 등이 우점하고 있으며, 당분간 현재의 식생군락이 유지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구5와 조사구6은 현재 소나무가 우점되어 있으나 장기적으로 신갈나무 군락으로 천이 될 것으로 평가되었다. 초본의 우점도 및 군도를 분석한 결과, 애기나리와 족제비고사리가 대부분의 조사구에서 다수 우점하고 있었다. 단위면적(400㎡)당 출현종수는 조사구10에서 24종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조사구2에서 10종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등산객의 이용밀도가 높은 조사지역의 식생은 천이가 진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공조림수종은 천이를 방해하고, 다층구조 식생을 이루지 못하게 하여 산림을 생태적으로 불안정상태가 되게 한다. 따라서 식생관리방안으로는 본 조사 자료가 기초자료로 마련될 것으로 예상되며, 식생구조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식생 관리방안을 제시한다면, 탐방객에 의하여 훼손된 도시림의 식생을 합리적으로 관리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vegetation of the northern part of Mt. Gumjung by evaluating its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site 1,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ominant species on the tree layer. For the sub-tree layer of site 1,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were considered as the dominant species based on the importance value. These two species are expected to be as the dominant species in the tree layer in the future. For the site 2, 3, 4, 8, 9 and 10, the dominant species were Q. mongolica, Q. acutissima and Lindera erythrocarpa for the tree layer. For nthe site 5 and 6, the P. densiflora is the dominant species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Q. mongolica species will be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future for this two sites. For the herb later, plots with a size of 400㎡ were established for the herb layer species diversity analysis. The species Disporum smilacinum and Dryopteris bissetiana were the most dominant for the herb layer in most sites.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site 10 had the most number of species with 24 species while the site 2 had the lowest with 10 species. Due to a higher number of visitors in the study sites and the disturbance on the vegetational succession because of artificial foresta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ecological condition of the study sites are unstabl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very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the vegetation. It is also recommended to conduct more studies on the vegetation structure changes because this is very helpful in the vegetation reformation.
AbstractList 본 연구는 탐방객의 이용밀도가 높은 금정산 북쪽사면의 생태적 특성을 평가하여 식생 관리방안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조사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보면, 조사구1, 2, 3, 6, 7, 8은 산능선으로 해발고는 637m에서 749m이며, 경사는 5°에서 15°의 신갈나무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사구4는 산능선으로 해발고 605m, 경사 5°의 상수리-떡갈나무 군락, 조사구5는 산능선으로 해발고 645m, 경사 5°의 졸참나무 군락, 조사구9는 사면으로 해발고 623m, 경사 15°의 신갈나무 군락, 조사구10은 사면으로 해발고 380m, 경사 20°의 비목나무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교목층의 수고는 8-15m, 아교목층의 수고 2-7m, 관목층의 수고 0.8-1.5m, 초본층의 수고 0.1-0.7m으로 조사되었다. 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조사구1은 아교목층에서 소나무와 신갈나무가 우점하여 앞으로 이들 수종이 교목층을 구성할 것으로 생각되며, 조사구2, 조사구3, 조사구4, 조사구8, 조사구9, 조사구10은 교목층에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비목나무 등이 우점하고 있으며, 당분간 현재의 식생군락이 유지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구5와 조사구6은 현재 소나무가 우점되어 있으나 장기적으로 신갈나무 군락으로 천이될 것으로 평가되었다. 초본의 우점도 및 군도를 분석한 결과, 애기나리와 족제비고사리가 대부분의 조사구에서 다수 우점하고 있었다. 단위면적(400㎡)당 출현종수는 조사구10에서 24종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조사구2에서 10종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등산객의 이용밀도가 높은 조사지역의 식생은 천이가 진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공조림수종은 천이를 방해하고, 다층구조 식생을 이루지 못하게 하여 산림을 생태적으로 불안정상태가 되게 한다. 따라서 식생관리방안으로는 본 조사 자료가 기초자료로 마련될 것으로 예상되며, 식생구조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식생 관리방안을 제시한다면, 탐방객에 의하여 훼손된 도시림의 식생을 합리적으로 관리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vegetation of the northern part of Mt. Gumjung by evaluating its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site 1,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ominant species on the tree layer. For the sub-tree layer of site 1,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were considered as the dominant species based on the importance value. These two species are expected to be as the dominant species in the tree layer in the future. For the site 2, 3, 4, 8, 9 and 10, the dominant species were Q. mongolica, Q. acutissima and Lindera erythrocarpa for the tree layer. For nthe site 5 and 6, the P. densiflora is the dominant species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Q. mongolica species will be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future for this two sites. For the herb later, plots with a size of 400㎡ were established for the herb layer species diversity analysis. The species Disporum smilacinum and Dryopteris bissetiana were the most dominant for the herb layer in most sites.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site 10 had the most number of species with 24 species while the site 2 had the lowest with 10 species. Due to a higher number of visitors in the study sites and the disturbance on the vegetational succession because of artificial foresta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ecological condition of the study sites are unstabl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very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the vegetation. It is also recommended to conduct more studies on the vegetation structure changes because this is very helpful in the vegetation reformation. KCI Citation Count: 2
본 연구는 탐방객의 이용밀도가 높은 금정산 북쪽사면의 생태적 특성을 평가하여 식생 관리방안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조사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보면, 조사구1, 2, 3, 6, 7, 8은 산능선으로 해발고는 637 m에서 749m이며, 경사는 5°에서 15°의 신갈나무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사구4는 산능선으로 해발고 605m, 경사 5°의 상수리-떡갈나무 군락, 조사구5는 산능선으로 해발고 645 m, 경사 5°의 졸참나무 군락, 조사구9는 사면으로 해발고 623 m, 경사 15°의 신갈나무 군락, 조사구10은 사면으로 해발고 380m, 경사 20°의 비목나무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교목층의 수고는 8-15 m, 아교목층의 수고 2-7 m, 관목층의 수고 0.8-1.5 m, 초본층의 수고 0.1-0.7 m으로 조사되었다. 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조사구1은 아교목층에서 소나무와 신갈나무가 우점하여 앞으로 이들 수종이 교목층을 구성할 것으로 생각되며, 조사구2, 조사구3, 조사구4, 조사구8, 조사구9, 조사구10은 교목층에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비목나무 등이 우점하고 있으며, 당분간 현재의 식생군락이 유지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구5와 조사구6은 현재 소나무가 우점되어 있으나 장기적으로 신갈나무 군락으로 천이 될 것으로 평가되었다. 초본의 우점도 및 군도를 분석한 결과, 애기나리와 족제비고사리가 대부분의 조사구에서 다수 우점하고 있었다. 단위면적(400㎡)당 출현종수는 조사구10에서 24종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조사구2에서 10종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등산객의 이용밀도가 높은 조사지역의 식생은 천이가 진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공조림수종은 천이를 방해하고, 다층구조 식생을 이루지 못하게 하여 산림을 생태적으로 불안정상태가 되게 한다. 따라서 식생관리방안으로는 본 조사 자료가 기초자료로 마련될 것으로 예상되며, 식생구조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식생 관리방안을 제시한다면, 탐방객에 의하여 훼손된 도시림의 식생을 합리적으로 관리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vegetation of the northern part of Mt. Gumjung by evaluating its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site 1,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ominant species on the tree layer. For the sub-tree layer of site 1,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were considered as the dominant species based on the importance value. These two species are expected to be as the dominant species in the tree layer in the future. For the site 2, 3, 4, 8, 9 and 10, the dominant species were Q. mongolica, Q. acutissima and Lindera erythrocarpa for the tree layer. For nthe site 5 and 6, the P. densiflora is the dominant species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Q. mongolica species will be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future for this two sites. For the herb later, plots with a size of 400㎡ were established for the herb layer species diversity analysis. The species Disporum smilacinum and Dryopteris bissetiana were the most dominant for the herb layer in most sites.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site 10 had the most number of species with 24 species while the site 2 had the lowest with 10 species. Due to a higher number of visitors in the study sites and the disturbance on the vegetational succession because of artificial foresta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ecological condition of the study sites are unstabl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very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the vegetation. It is also recommended to conduct more studies on the vegetation structure changes because this is very helpful in the vegetation reformation.
Author Jong-Kab Kim
남정칠
Jung-Bum Seo
김종갑
Jung-Chil Nam
서정범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남정칠
– sequence: 2
  fullname: 서정범
– sequence: 3
  fullname: 김종갑
– sequence: 4
  fullname: Jung-Chil Nam
– sequence: 5
  fullname: Jung-Bum Seo
– sequence: 6
  fullname: Jong-Kab Ki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8605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stKw0AYRgepYKx9h4AbN4G5Z7IsxUuhIEj2Q0zm15iSgQT3tnUhuha7MNCdCAoKIvpKdvoOBuvqfIvD4dtGndKWZgN5lCkWKBrSDvKIiFQgBOZbqFfX-SnGhHAVKuYh_vN14xb3bvrmLz8nbvqyfP5wT1fu4dV3d42bNa6Z-y1Ws0e3mPir2293_b6DNiEZ16b3zy6KD_bjwVEwOj4cDvqjoJCEBipVVFAukkwIidtJDRAwUpEIGBDJogwkxjwzyhCeQgZUcQiBSgmpIRnror11tqxAF2mubZL_8czqotL9k3iopZIRpq26u1YLW5mkTs_tOKn0hb2syvagpgrTMGK_7bphC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KROLR
ACYCR
DatabaseName Korea Scholar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Vegetation of Northern Area in Mt. Gumjung
EISSN 2383-8272
EndPage 17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686902
280279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KROLR
M~E
ACYCR
ID FETCH-LOGICAL-k612-8c825245ad55602522ef1fe6819f3f1639df6004de8e14cfdf284f7f266fce1d3
ISSN 1598-5504
IngestDate Tue Nov 21 21:38:58 EST 2023
Sun Jun 22 04:11:49 ED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3
Keywords Species diversity
Importance value
금정산
우점도
Dominance
종다양도
중요치
Mt. Gumjung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12-8c825245ad55602522ef1fe6819f3f1639df6004de8e14cfdf284f7f266fce1d3
Notes G704-001926.2013.47.3.002
PageCount 1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686902
koreascholar_journals_280279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3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3-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13
  text: 2013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농업생명과학연구
PublicationYear 2013
Publisher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Publisher_xml – name: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name: 농업생명과학연구원
SSID ssib001148783
ssib008451562
ssib009283157
ssib044743270
Score 1.8513229
Snippet 본 연구는 탐방객의 이용밀도가 높은 금정산 북쪽사면의 생태적 특성을 평가하여 식생 관리방안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본 연구는 탐방객의 이용밀도가 높은 금정산 북쪽사면의 생태적 특성을 평가하여 식생 관리방안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SourceID nrf
koreascholar
SourceType Open Website
Aggregation Database
StartPage 1
SubjectTerms 자연과학일반
Title 금정산 북사면지역 식생의 생태적 특성
URI 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27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86054
Volume 4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농업생명과학연구, 2013, 47(3), , pp.1-17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383-8272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3270
  issn: 1598-5504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1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rV3Ni9QwFA87exdFxdVVKpjTUOlH2ibHtjOyLqynUfZWph8RGZyB3dmLB3F3PYieRQ8O7E0EBQUR_Zfc7v_gL2lnJisiKl7ax-tL8l5em_ySJi-E3BAOy6MoKu1QVtxmYe7beVgUtuDSd4dOBQyv9g5v3Qk37rLN7WB7pXPPWLW0N81vFo9-ua_kX7wKHvyqdsn-hWcXmYIBGv7FFR7G9Y98TPsxTTjlnPZTGjtUBIrgHk2cLu0nNAkBFFtWnCpOLGjCtHSk1jiAEBGNe10tlFDR04TfErgK3jVYPU2kbXHc7WoWlBBaiNHENdGuKpFDh15bEA-MvKBMrDlI7tMkVVnBACFa4cTRjwK6jA6p84Mpp-1F4bGzFNF6LHRUIqgIjwq2FNEKN-bH3lwHyC5ev000gbaK-oze56E5MaIPqZj_41Gvsk6KCp9XnKrvRuvGxFA_gtqpLnBhopYRjZv-RxVpDhzomL2M4DaGho3hleYBOvk296JTXVMTjLT9BH2jn3ENwNLsff0parjHHS8SHdLxXXWux9bj_hIkYwRs_rvlDJjWCBopgDiNCEyMAWR6-tTFhd5AaaOJ2jTRTMAAl413pIHLBmfJmXZAZcXN13GOrIwm5wn7_vVZffSyPvhoHX_Zrw_eH7_7XL99Ur_6YNUvZvXhrJ69tnA7OXxTH-1bJ8-_1U8_XSCDW_1BumG354PYI-BymxfcCzwWDMsAsB2kV0lXViEwrvQlxhmilIDzrKw4mpxClhJQTEYSkFQWlVv6F8nqeDKuLhErj1gokEaEkc-KwhVuILnkDi8D6QzDcI2sm_ZmbRuwmzXVvEauw_5sVDzIVLR2db8_yUY7Gcakt7NQHfrmXf59FlfUhJHvNGvC1snqdGevugq4O82vae_9ANdcfq0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8%88%EC%A0%95%EC%82%B0+%EB%B6%81%EC%82%AC%EB%A9%B4%EC%A7%80%EC%97%AD+%EC%8B%9D%EC%83%9D%EC%9D%98+%EC%83%9D%ED%83%9C%EC%A0%81+%ED%8A%B9%EC%84%B1&rft.jtitle=%EB%86%8D%EC%97%85%EC%83%9D%EB%AA%85%EA%B3%BC%ED%95%99%EC%97%B0%EA%B5%AC&rft.au=%EB%82%A8%EC%A0%95%EC%B9%A0&rft.au=%EC%84%9C%EC%A0%95%EB%B2%94&rft.au=%EA%B9%80%EC%A2%85%EA%B0%91&rft.au=Jung-Chil+Nam&rft.date=2013-06-30&rft.pub=%EA%B2%BD%EC%83%81%EA%B5%AD%EB%A6%BD%EB%8C%80%ED%95%99%EA%B5%90+%EB%86%8D%EC%97%85%EC%83%9D%EB%AA%85%EA%B3%BC%ED%95%99%EC%97%B0%EA%B5%AC%EC%9B%90&rft.issn=1598-5504&rft.eissn=2383-8272&rft.volume=47&rft.issue=3&rft.spage=1&rft.epage=17&rft.externalDocID=280279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550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550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550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