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처 기술자들을 이용한 이질적 얼굴 인식 시스템
Recently, much of the intelligent security scenario and criminal investigation demands for matching photo and non-photo. Existing face recognition system can not sufficiently guarantee these need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heterogeneous face recognition sy...
Saved in:
| Published in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논문지 Vol. 14; no. 3; pp. 208 - 214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21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005-081X 2288-9302 |
Cover
| Summary: | Recently, much of the intelligent security scenario and criminal investigation demands for matching photo and non-photo. Existing face recognition system can not sufficiently guarantee these need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heterogeneous face recognition systems by reducing the different modality between sketches and photos of the same person. The proposed algorithm extracts each image's texture features through texture descriptors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 multiscale local binary pattern), and based on this, generates a transformation matrix through eigenfeature regularization and extraction techniques. The score value calculated between the vectors generated in this way finally recognizes the identity of the sketch image through the score normalization methods. 최근 많은 지능형 보안 시나리오 및 범죄수사에서는 사진이 아닌 얼굴 영상과 다수의 정면 사진과의 매칭을 요구한다. 기존의 얼굴 인식 시스템은 이러한 요구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동일 인물의 스케치와 사진 간의 양식 차이를 줄임으로써, 이질적 얼굴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텍스처 기술자들(그레이 레벨 동시 발생 행렬, 멀티스케일 지역 이진 패턴)을 통하여 영상의 텍스처 특징들을 각각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유특징 정규화 및 추출기법을 통해 변환 행렬을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벡터들 간 계산된 스코어 값은 스코어 정규화 방식들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스케치 영상의 신원을 인식하게 된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19559820517 |
| ISSN: | 2005-081X 2288-9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