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들레(Taraxacum mongolicum H.) 추출액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개발 및 기능성 성분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functional beverages with dandelion (Taraxacum mongolicum H.) extracts.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10% water extracts of dandelion containing beverage, which was the highest value of overall preference, was chosen for further examinations. Moisture c...
Saved in:
Published in |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Vol. 23; no. 6; pp. 733 - 741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6781 2288-8802 |
Cover
Summary: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functional beverages with dandelion (Taraxacum mongolicum H.) extracts.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10% water extracts of dandelion containing beverage, which was the highest value of overall preference, was chosen for further examinations. Moisture content of developed beverage was $99.6{\pm}0.5%$ and sugar content decreased from 0.8 to $0.7^{\circ}Brix$ whereas pH increased from 3.4 to 3.7 by addition of 10% dandelion extracts.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beverage were $295.8{\pm}5.8mg/L$ and $122.8{\pm}18.4mg/L$, respectively. The developed beverage showed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98.2{\pm}0.6%$ than the beverage without extract. Moreover, concentration of silibinin in the T. mongolicum H. beverage was $0.3{\pm}0.04mg/L$. 본 연구에서는 뛰어난 생리 활성을 가진 전통 민들레 착즙액이 고유의 쓴맛으로 인하여 가공식품으로 활용되는 형태는 매우 제한되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음용하기 편리하고 기호도가 높으며, 항산화 활성과 기능적인 면에서도 뛰어난 새로운 형태의 음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민들레 음료 제조 시 민들레 추출액의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음료의 관능평가를 거쳐 가장 선호도가 높은 10% 민들레 추출액 함유 음료의 pH, 당도, 수분함량, 고형분 함량과 기능성 성분인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 및 silibinin 함량을 분석하여 품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민들레 추출액이 10% 함유된 기능성 음료(C10)의 경우, 수분 함량은 $99.6{\pm}0.5%$를 보였으며, 당도의 경우, 민들레 추출액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대조군 음료(C0)가 $0.8^{\circ}Brix$를 나타냈으나, C10의 경우 $0.7^{\circ}Brix$로 감소하였다. pH는 C0에서 3.4이었으나, 10% 민들레 추출액의 첨가에 의해 C10에서 3.7로 증가하였다. C10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페놀 함량은 $295.8{\pm}5.8mg/L$이었고,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22.8{\pm}18.4mg/L$, DPPH 라디칼 소거 항산화능은 $98.2{\pm}0.6%$로 나타나, C0보다 높은 기능성을 가지므로 고기능성 음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간 보호 효과를 가지는 약학 성분인 silibinin의 함량이 민들레 추출액에서 $2.9{\pm}0.1mg/L$로 분석된 결과, C10에는 약 $0.3{\pm}0.04mg/L$의 silibinin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304163996747 |
ISSN: | 1225-6781 2288-8802 |